본문 바로가기
레볼루션 메디슨(Revolution Medicines)이 로열티파마(Royalty Pharma)로부터 총 20억달러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게 된다. 이번 자금조달로 레볼루션은 다른 빅파마 등 외부 파트너가 없이도 막바지 임상3상 단계에 들어선 pan-KRAS(ON) 저해제 ‘다락손라십(daraxonrasib, RMC-6236)’를 상업화까지 추진할 수 있는 자금을 확보했다. 특히 이번 자금조달 방식은 자금의 사용이 자유로운 유동적인 펀딩(flexible funding)으로 레볼루션은 임상개발, 사업확장 등 필요에 맞게 리소스를 할당
리부스 파마슈티컬(Rivus Pharmaceuticals)은 지난 24일(현지시간)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2상에서 대사가속화 기전의 후보물질 ‘HU6’가 환자의 간지방(liver fat)을 감소시킨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HU6는 미토콘드리아 분리제(mitochondria uncoupling agent)로 미토콘드리아 막간공간(intermembrane space)의 수소이온을 밖으로 운반해 에너지소비를 높이는 기전이다. 회사는 HU6가 CMA(controlled metabolic accelerator) 기전의 약물이
로슈(Roche)가 CD20xCD3 이중항체 ’룬수미오(Lunsumio, mosunetuzumab)‘와 CD79b 항체-약물접합체(ADC) ‘폴라이비(Polivy, polatuzumab vedotin)‘ 병용요법으로 거대B세포림프종(LBCL) 2차치료제 세팅 임상3상에서 무진행생존기간(PFS)을 59% 개선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로슈는 지난 20일(현지시간)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국제림프종학회(ICML 2025)에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SUNMO 임상3상은 자가조혈모세포 이식(autologous stem cell
암젠(Amgen)이 월1회 투여방식의 펩타이드-항체접합체(peptide antibody conjugate)인 ‘마리타이드(MariTide)’의 비만 임상2상 52주차 평가파트의 전체 결과를 공개했다. 마리타이드는 GLP-1 작용제이면서, GIP를 저해하는 기전이다. 앞서 암젠은 지난해 11월 이번 임상2상의 탑라인 결과를 발표하면서 체중감량, 바이오마커 데이터를 위주로 발표했으며, 안전성 데이터는 제한적으로 공개했었다. 마리타이드는 투약 52주차에 체중을 최대 20%가량 감량하는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암젠은 지난 23일(현지시간
오츠카 파마슈티컬(Otsuka Pharmaceutical)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중국 하버바이오메드(Harbour BioMed)로부터 전임상단계 BCMAxCD3 이중항체 ‘HBM7020’를 총 6억7000만달러 규모로 라이선스인(L/I)했다고 밝혔다. 앞서 하버는 지난 2023년 8월 암환자를 대상으로 HBM7020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승인받은 바 있다. 오츠카는 HBM7020을 암이 아닌 자가면역질환을 타깃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오츠카는 자회사인 비스테라(
일루미나(Illumina)가 단백체학(proteomics)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소마로직(SomaLogic)을 4억2500만달러에 인수한다. 일루미나는 지난 2021년부터 소마로직과 파트너십을 맺고 대용량 단백체 분석 솔루션 ‘일루미나 단백질 프렙(Illumina Protein Prep)’ 등을 공동개발해왔다. 이번에 소마로직을 아예 인수해 단백체학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지난해 발표한 다중체학(multiomics) 전략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일루미나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스탠다드바이오툴즈(Standard BioToo
사노피(Sanofi)가 포메이션바이오(Formation Bio)로부터 JAK/SYK 이중저해제 ‘구사시티닙(gusacitinib)’을 비공개 계약금을 포함해 5억4500만유로(6억3100만달러)에 사들였다. 구사시티닙은 포메이션이 지난 2022년 아사나 바이오사이언스(Asana BioSciences)로부터 인수한 약물로, 아토피피부염, 만성주부습진(chronic hand eczema) 임상2상을 완료한 에셋이다. 포메이션(前 TrialSpark)은 임상관리 툴과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약물개발을 가속화하는 플랫폼을 구축했다
사노피(Sanofi)와 리제네론 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은 지난 20일(현재시간) IL-4Rα 항체 ‘듀피젠트(Dupixent, 성분명: dupilumab)’가 희귀 피부질환인 수포성 유사천포창(Bullous pemphigoid, BP)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듀피젠트는 BP에 대한 유일한 표적 치료제가 됐으며 적응증이 8개로 늘어났다. 기존 듀피젠트의 적응증은 7개로 아토피피부염(AD), 천식, 비용종 동반 만성 부비동염(CRSwNP), 호산구
아스트라제네카(AZ)가 바로 직전 미국 머크(MSD)가 실패한 EGFR 변이 폐암 영역에서, TROP2 항체-약물접합체(ADC) ‘다트로웨이(Datroway, Dato-DXd)’의 미국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을 얻어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가 HER2 ADC 블록버스터 ‘엔허투’에 이어 개발하고 있는 야심작이다. 그동안 TROP2 ADC는 전체생존기간(OS) 이슈로 불확실성을 겪고 있던 영역으로, 아스트라제네카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러한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국민의 생체세포(living cells)를 중국 등의 적대국으로 반출하는 과정이 포함된 새로운 임상시험을 중단시켰다고 밝혔다. FDA는 이 ‘관행(practice)’이 바이든 행정부에 의한 생물보안규정 예외조항에 따라 시행되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새로운 임상의 중단과 함께 이 예외조항과 관련된 기존의 모든 임상시험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민감한 생물학적 물질의 사용에 대한 완전한 투명성, 윤리적 동의, 미국내에서의 취급을 기업이 입증하도록 요구할 예정이며, 이
버텍스 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이 동종유래 췌도세포(islet cell therapy) 치료제의 제1형 당뇨병 임상1/2상의 업데이트 결과, 12명 중 10명(83%)의 환자가 투약 1년차에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비의존(insulin free)을 달성했다. 버텍스는 지난해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4)에서 이번 1/2상 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당시에는 12명 중 1년 이상 추적관찰을 진행한 3명의 환자가 인슐린 비의존을 달성했었다. 그리고 이번에 12명 전원에 대한 추적관찰 결과를 업
스칼라락(Scholar Rock)이 마이오스타틴(GDF8) 항체로 진행한 비만 임상2상에서,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젭바운드(Zepbound)’와 병용투여했을 때 근육량 감소를 51.7% 줄인 긍정적인 개념입증(PoC) 데이터를 도출했다. 앞서 스칼라락은 지난해 10월 해당 마이오스타틴 항체인 ‘아피테그로맙(apitegromab)’으로 진행한 척수성근위축증(SMA) 임상3상에 성공하며 주가가 350% 이상 폭등한 바 있다. 그리고 이번에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비만 적응증에서도 긍정적인 초기결과를 확보한 것이다
웨일스의 드레이그 테라퓨틱스(Draig Therapeutics)가 지난 18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1억40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하며 출범을 알렸다. 드레이그는 사이먼 워드(Simon Ward), 존 애택(John Atack) 카디프대(Cardiff University) 교수와 SV헬스인베스터스(SV Health Investors)가 지난해 설립한 신경정신질환 전문 바이오텍이다. 드레이그는 치료제 개발이 어려운 AMPA 수용체 타깃 약물을 개발하고 있으며, 리드 프로그램으로 우울증(MDD)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회사의 공동설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가 1년2회 투여방식의 장기지속형 HIV-1 치료제 ‘레나카파비르(lenacapavir)’를 노출전예방요법(PrEP)으로도 시판한다. 길리어드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레나카파비르가 HIV-1에 대한 노출전예방요법(PrEP)으로 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해당 치료법에서 제품명 ‘예즈투고(Yeztugo)’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레나카파비르는 HIV-1 캡시드 억제제로, 길리어드는 지난 2022년 FDA로부터 HIV-1 치료제로 승인을 받아 제품명 ‘선렌카(Sunlenca)’로 시판해왔다
질랜드 파마(Zealand Pharma)가 GLP-1/2 이중작용제(dual agonist) ‘다피글루타이드(dapiglutide)’의 비만 임상1b상 파트2에서 체중이 11.6% 감소한 탑라인(top-line) 결과를 내놨다. 질랜드의 이번 임상 데이터에서 주목해야하는 부분은 임상에 참여한 환자 중 93%(28/30명)가 남성이었다는 부분이다. 비만 임상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에서 체중감량이 더 두드러진다고 알려져 있어, 업계에서는 대부분 남성으로 이뤄진 이번 임상의 경우 체중감량 효과가 과소평가됐을 수도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세이지 테라퓨틱스(Sage Therapeutics)가 전략적 대안을 모색한 끝에 또다른 신경질환 플레이어인 수퍼너스 파마슈티컬(Supernus Pharmaceuticals)에 5억6100만달러 규모로 피인수 된다. 조건부가격청구권(CVR)까지 포함하면 7억9500만달러 규모의 딜이다. 세이지는 바이오젠(Biogen)과 공동개발한 GABA 조절제 ‘주르주베(Zurzuvae, zuranolone)’의 우울증 적응증 확대에 실패한 이후, 후속 에셋의 임상에서도 연달아 실패하며 난항을 겪어왔다. 올해초 파트너사인 바이오젠이 4억6900만
릴리, ‘차세대' 경구 GLP-1 비만 임상 2건 “중단”
롯데바이오로직스, 美바이오기업과 “CMO 계약”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노보노 '위고비', 젭바운드보다 “MACE 위험 57%↓”
카나프, '롯데 공동개발' ADC 링커 "첫 공개..차별성은?"
자임웍스, ‘MSLNxCD3’ 고형암 1상 "독성이슈..중단"
노바티스, "1상 앞둔" BBB 'αSyn siRNA' 22억弗 딜
AZ, 13억弗 베팅 'AS 저해제' 고혈압 3상 “반전 성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한국 노보노, 카카오헬스와 '비만 디지털헬스' MOU
셀트리온, '아일리아 시밀러' 3상 "국제학술지 게재"
대원제약, 159억 규모 교환사채(EB) 발행결정
일리아스, '항염증 엑소좀' “식약처 바이오챌린저”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