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AI) 신약개발 리커전(Recursion)이 랠리바이오(RallyBio)와 공동개발해온 저인산증(hypophosphatasia, HPP) 치료제 후보물질 ‘REV102’의 모든 권리를 2500만달러 규모에 인수했다. REV102는 엑센티아(Exscientia)가 지난 2019년부터 랠리와 합작투자로 개발하고 있는 ENPP1 저해제 후보물질이다. 리커전은 지난해 8월 엑센티아와 합병하며 전임상 단계의 REV102를 확보하고 물질 최적화 등의 개발에 참여해왔다. 리커전은 지난 8일(현지시간) 랠리로부터 REV102의 모든 권
일본 JCR 파마슈티컬(JCR Pharmaceuticals)은 지난 8일(현지시간) 자사의 AAV 플랫폼 ‘JUST-AAV’의 캡시드(capsid)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자회사 알렉시온(Alexion)과 라이선스딜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체결된 계약은 JCR의 조직선택성 AAV 기반 유전자전달 플랫폼 JUST-AAV 캡시드에 관한 것으로, 알렉시온은 해당 딜을 통해 JUST-AAV 캡시드를 최대 5개의 유전자치료제(genomic medicines)에 적용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계약에 따라 알렉시
코젠트 바이오사이언스(Cogent Biosciences)가 KIT 저해제로 진행한 전신비만세포증(systemic mastocytosis, SM) 허가임상에서 경쟁력 있는 효능 데이터를 도출하며, 업계의 기대감을 이끌어냈다. 코젠트는 KIT 저해제인 ‘베주클라스티닙(bezuclastinib)’으로 진행한 허가 임상2상에서 SM에 대한 복합적 효능지표를 평가하는 1차종결점을 충족시켰으며, 모든 주요 2차종결점을 달성했다. 회사는 이번 결과에 기반해 올해말 베주클라스티닙의 허가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특히 주요 경쟁사인 블루프린트 메
칼비스타 파마슈티컬(KalVista Pharmaceuticals)이 우여곡절 끝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칼리크레인(kallikrein) 저해제를 유전성 혈관부종(HAE)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이번 승인은 예정된 결정기일인 지난달 17일에서 미뤄진 결정이다. 칼비스타는 예정일이 미뤄지기 전 FDA로부터 ‘과도한 업무량과 제한된 리소스’로 예정일을 지키지 못할 것이라는 통보를 받았다고 전했으며, 이후 업계에서는 마티 마카리(Marty Makary) FDA 국장이 칼비스타의 허가검토 신청서를 승인거절하려 했다는 익명의 내부
아포지 테라퓨틱스(Apogee Therapeutics)는 지난 7일(현지시간) IL-13 항체 ‘APG777’이 아토피피부염(AD) 2상에서 1차종결점 및 주요 2차종결점을 충족하며 피부병변(eczema)을 유의미하게 개선한 긍정적인 결과를 발표했다. APG777은 IL-13에 대한 IgG1 단일클론항체로 IL-13/IL-13Rα1/IL-4Rα 복합체(complex) 형성을 저해하는 기전이다. IL-13은 제2형 염증반응 및 AD를 유발하는 주요 염증물질로 알려져 있다. 현재 시판중인 AD 항체치료제는 사노피(Sanofi)와 리제
로슈(Roche)의 자회사 쥬가이제약(Chugai Pharmaceuticals)이 싱가포르 게로(Gero)와 노화를 타깃한 항체개발에 나선다. 쥬가이는 지난 7일(현지시간) 게로와 노화관련 항체 개발을 위한 2억5000만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쥬가이는 비공개 계약금과 사전에 지정된 개발, 판매 마일스톤 달성에 따라 최대 2억 5000만달러를 게로에 지급하게 된다. 판매에 따른 로열티는 별도다. 두 회사는 협력해 노화 관련 항체를 발굴, 개발할 예정으로 게로는 인공지능(AI) 플랫폼을 기반으로 약물 타깃을 찾아내고 쥬
중국 헨리우스 바이오텍(Henlius Biotech)이 대만 항커바이오(Hanchor Bio)에서 CD47 저해제(blocker)를 2억200만달러에 라이선스인(L/I)했다. 헨리우스는 CD47을 타깃할 수 있는 SIRPα-Fc 융합단백질 후보물질 ‘HCB101’을 확보해 개발하게 된다. HCB101은 현재 미국, 중국, 대만 등의 지역에서의 임상1상과 중국 임상2상 등에서 개발되고 있다. CD47은 유망한 종양치료제 타깃 중 하나로 여겨지는 암항원인 동시에 아직 상업화에 성공하지 못한 타깃이기도 하다. CD47은 면역세포의 SI
싱가포르 허밍버드 바이오사이언스(Hummingbird Bioscience)는 지난달 26일(현지시간) 호주 퍼쉐론 테라퓨틱스(Percheron Therapeutics)에 VISTA(V-domain Ig suppressor of T cell activation) 항체 ‘HMBD-002’를 2억9000만달러에 라이선스아웃(L/O)한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허밍버드는 퍼쉐론으로부터 계약금과 마일스톤을 포함해 최대 2억9000만달러를 수령하며, 순매출(net sales)에 따른 로열티는 별도로 받는다. 구체적인 계약금은 따로 언급하지
비원메디슨(BeOne Medicines, 前베이진)은 PD-1 항체 ‘테빔브라(Tevimbra, tislelizumab)’의 자체개발 피하투여(SC) 제형을, 승인받은 테빔브라 정맥투여(IV) 제형과 직접비교하는 임상3상을 시작한다. 해당 소식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미국 임상정보사이트(ClinicalTrials.gov) 업데이트를 통해 공개됐으며, 비원은 지난 5월 발표한 올해 1분기 실적발표에서 테빔브라SC의 임상3상을 올해 하반기에 시작할 예정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번 임상3상은 위 또는 위식도접합부선암(G/GEJ)
종양침윤림프구(TIL) 세포치료제 개발을 진행해온 턴스톤바이오로직스(Turnstone Biologics)가 결국 소마로열티(Xoma Royalty)에 790만달러 규모에 인수된다. 턴스톤은 지난해 10월 인력 60%를 해고하고 올해 초에는 모든 임상개발 중단 등의 구조조정을 단행했었다. 특히 올해 2월에 구조조정 발표에서 턴스톤은 기업운영을 위한 인수, 합병, 자산매각 등의 모든 전략적 대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알렸으며, 결국 이번에 소마로열티에 피인수되는 결정으로 이어졌다. 소마로열티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턴스톤을 인수하는
AN 벤처파트너스(AN Venture Partners, ANV)가 지난 2일(현지시간) 일본 바이오텍 생태계의 성장을 목표로 하는 자사의 첫번째 펀드 ‘AN Venture Partners Ⅰ, LP’ 조성을 지난달말 완료했다고 밝혔다. ANV는 일본기술을 중심으로 한 블록버스터 바이오텍 육성을 목표로 한다. 회사는 미국의 ARCH 벤처파트너스(ARCH Venture Partners)와의 제휴(alliance)를 통해 2022년 설립됐다. ANV는 현재의 일본 바이오 생태계(ecosystem)를 고려한 적극적인 창업(company-
리제네론 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과 바이엘(Bayer)의 고용량 ‘아일리아(Eylea HD)’의 24주1회 투약방식이 유럽(EU)에서 시판허가를 받았다. 이번 유럽에서의 결정과 대조적으로, 앞서 지난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아일리아HD의 24주1회(6개월1회) 투약방식에 대해 승인을 거절한 바 있다. 리제네론은 아릴리아HD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 24주1회 투약간격을 포함한 라벨 업데이트를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24주1회 투약과 더불어, 리제네론이 아일리아HD의 매출확대
프로타고니스트 테라퓨틱스(Protagonist Therapeutics)가 비만 시장에 뒤늦게 합류하면서 경구복용의 편의성 및 삼중작용제(triple agonist)의 체중감량 개선효과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 프로타고니스트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GLP-1/GIP/GCG 수용체 삼중작용제 펩타이드 ‘PN-477’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프로타고니스트는 PN-477을 1일1회 복용하는 경구치료제로 개발중이며, 또한 주1회 피하투여(SC) 제형으로도 개발하고 있다. 프로타고니스트의 PN-477 개발은 경구복
중국 쓰촨 바이오킨 파마슈티컬(Sichuan Biokin Pharmaceutical)이 BMS(Bristol Myers Squibb)가 84억달러 규모로 사들였던 EGFRxHER3 이중특이성 항체-약물접합체(ADC)의 긍정적인 결과를 공개하며, 최초의 EGFRxHER3 이중항체 ADC 치료제의 가능성을 높였다. 바이오킨은 지난 3일(현지시간) EGFRxHER3 이중항체 ADC인 ‘BL-B01D1(izalontamab brengitecan, iza-bren)’의 비인두암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해당 소식은 공시
노바티스(Novartis)가 IL-17 항체로 진행한 거대세포동맥염(giant cell arteritis, GCA) 임상3상에 통계적 유의성 달성에 실패했다. 노바티스는 판상건선(plaque psoriasis), 건선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등 자가면역 치료제로 시판하고 있는 ‘코센틱스(Cosentyx, secukinumba)’의 적응증을 GCA로 확장하기 위한 임상을 진행했으나 이번 실패로 적응증 확장이 불투명해졌다. 노바티스는 지난 3일(현지시간) 코센틱스로 진행한 GCA 임상3상에서 주요 평가지표를 충족
4DMT(4D Molecular Therapeutics)가 인력 25%를 해고한다. 4DMT는 지난 2일(현지시간) 이같은 인력감축 소식과 함께 임상3상 단계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wAMD) 치료제 후보물질 ‘4D-150’의 후기 개발 가속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인력감축으로 연간 1500만달러의 현금을 절감해 오는 2028년까지 예정된 4D-150의 임상시험 및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서(BLA) 제출 등에 예상되는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회사는 이번 해고는 주로 초기단계 연구개발 분야가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셀트리온, 머스트 등 4개社 오픈이노베이션 선발
마이크로바이오틱스, 시리즈B 추가 50억..200억 완료
노바티스도, 바이오아틱과 ‘BBB 셔틀’ 8억弗 옵션딜
에이비온, 793억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리제네론, 앨라일람서 L/I 'C5 siRNA' gMG 3상 "성공"
인투셀, 'B7-H3 ADC' 고형암 "국내 1상 IND 신청"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젠큐릭스, 안세현 교수∙정진구 박사 신규이사 선임
뉴로핏, 과학자문위원에 '이와타 아츠시' 박사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수젠텍, 125억 규모 교환사채(EB) 발행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