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쓰촨 바이오킨 파마슈티컬(Sichuan Biokin Pharmaceutical)이 BMS(Bristol Myers Squibb)가 84억달러 규모로 사들였던 EGFRxHER3 이중특이성 항체-약물접합체(ADC)의 긍정적인 결과를 공개하며, 최초의 EGFRxHER3 이중항체 ADC 치료제의 가능성을 높였다. 바이오킨은 지난 3일(현지시간) EGFRxHER3 이중항체 ADC인 ‘BL-B01D1(izalontamab brengitecan, iza-bren)’의 비인두암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해당 소식은 공시
노바티스(Novartis)가 IL-17 항체로 진행한 거대세포동맥염(giant cell arteritis, GCA) 임상3상에 통계적 유의성 달성에 실패했다. 노바티스는 판상건선(plaque psoriasis), 건선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등 자가면역 치료제로 시판하고 있는 ‘코센틱스(Cosentyx, secukinumba)’의 적응증을 GCA로 확장하기 위한 임상을 진행했으나 이번 실패로 적응증 확장이 불투명해졌다. 노바티스는 지난 3일(현지시간) 코센틱스로 진행한 GCA 임상3상에서 주요 평가지표를 충족
4DMT(4D Molecular Therapeutics)가 인력 25%를 해고한다. 4DMT는 지난 2일(현지시간) 이같은 인력감축 소식과 함께 임상3상 단계 습성 연령관련황반변성(wAMD) 치료제 후보물질 ‘4D-150’의 후기 개발 가속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회사에 따르면 이번 인력감축으로 연간 1500만달러의 현금을 절감해 오는 2028년까지 예정된 4D-150의 임상시험 및 바이오의약품허가신청서(BLA) 제출 등에 예상되는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회사는 이번 해고는 주로 초기단계 연구개발 분야가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가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발주자로서 ‘LCB14(IKS014, FS-1502; caxmotabart entudotin)’의 개발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한 초기 미국 임상1상 결과가 도출되기 시작했다. 지금까지는 파트너사 포순파마(Fosun Pharma)가 진행하는 중국 임상 결과만 있었고, 현재 중국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다. 초기 결과로 이전 ‘엔허투(Enhertu, T-DXd)’를 투여받았던 환자 5명에게 LCB14 중간용량(90mg/m^2) 이상 투여시 4
중국의 디잘(Dizal)이 EGFR 엑손20 변이형 폐암을 타깃하는 TKI 약물 ‘선보저티닙(sunvozertinib)’을 미국에서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 받는데 성공했다. 선보저티닙은 제품명 ‘제그프로비(Zegfrovy)’로 시판된다. 디잘은 지난 2017년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에서 분사한 회사로, 아스트라제네카 중국 R&D센터 책임자로 재직하던 장 샤오린(Xiaolin Zhang) 박사가 CEO로 임명돼 회사를 이끌고 있다. 제그프로비는 앞서 지난 2023년 8월 중국에서 먼저 가속승인
인뮨바이오(INmmune Bio)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초기 알츠하이머병(AD) 환자를 대상으로 TNF 저해제 ‘XPro(pegipanermin)’를 평가한 임상2상에서 1차종결점 충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발표 당일 회사의 주가는 60% 넘게 급락했다. XPro는 용해성 TNF(soluble TNF, sTNF)를 저해하는 펩타이드 약물로, 인뮨바이오가 지난 2017년 젠코(Xencor)에서 라이선스인(L/I)한 에셋이다. TNF와 같은 높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는 인지저하를 가속화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MINDFuL
일본 시오노기(Shionogi)가 스위스의 바이오버시스(BioVersys)와 항생제 개발을 위한 6억103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바이오버시는 항생제 개발 바이오텍으로, 두 회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바이오버시스의 비결핵성마이코박테리아(nontuberculous mycobacterial, NTM) 감염증에 대한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인 ‘BV500’를 공동개발할 예정이다. 현재 BV500은 전임상 단계예서 개발되고 있으며 두 회사는 해당 프로그램을 임상단계로 진전시키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다. 시오노기는 지난 2일(현지시간
애브비(AbbVie)가 궤양성대장염(UC) 치료제 후보물질인 NLRX1 작용제(agonist)의 임상2상 개발을 중단했다. 애브비는 지난해 란도스바이오파마(Landos Biopharma)를 인수하며 임상2상 단계에서 개발되고 있던 NLRX1 작용제 ‘ABBV-113(NX-13)’을 주요 에셋이자 유일한 임상 파이프라인으로 확보했다. 당시 애브비는 란도스의 주식을 1억3750만달러에 매입했으며, 이에 특정 임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조건부가격청구권(CVR) 7500만달러를 더해 인수딜은 총 2억1250만달러 규모였다. ABBV-11
리제네론 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이 BCMAxCD3 이중항체 ‘리노지픽(Lynozyfic, 성분명: linvoseltamab)’을 다발성골수종(MM)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가속승인을 받는데 성공했다. 지난해 제3자 제조업체의 시설결함을 이유로 FDA로부터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을 거절당하며 차질을 빚은 이후, 1년여만에 결국 시판허가를 받게됐다. 리노지픽은 앞서 지난 4월 유럽(EU)에서는 조건부허가(CMA)를 받은 바 있다. 다만 리제네론이 애초에 기
“지금 기회를 놓치면 영원히 못 따라갑니다.” 김용주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 대표가 정부에 바라는 일침이며, 바로 지금이 정부가 바이오 분야에 과감한 투자를 단행해야 할 때라는 것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여년간 생명공학 분야를 전략적 우선순위로 삼고 과감한 투자를 진행해왔다. 그 결과가 최근 3~4년간 가시화되고 있고, 올해 들어서면서 글로벌 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0%까지 확대됐다(1분기 기준). 미국 바이오가 중국에 추격 당할 것이라는 우려가 심심치 않게 나온다. 리가켐바이오는
리가켐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가 항체약물접합체(ADC)의 또다른 한축으로, STING 작용제(agonist) 접근법에 공식적으로 더 무게를 두기 시작했다. 리가켐바이오는 5여년 전부터 면역항암제(IO) 쪽으로 연구개발을 시작했고, 이제 그동안의 준비를 마치고 구체적인 전략을 드러내고 있다. 리가켐바이오는 내년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을 앞두고, 저분자화합물 기반의 프로드럭 유사(prodrug-like) STING 작용제 ‘LCB39’의 구체적인 메커니즘 및 개발 전략을 공개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차
사노피(Sanofi)가 마스킹(masking) 항체 파트너사인 중국의 아다진(Adagene)에 2500만달러 규모의 전략적 지분투자(SI)를 진행했다. 또한 특정 마스킹 이중항체 프로그램에 대한 옵션을 행사해 파트너십 프로그램을 총 3개로 확대했다. 사노피는 지난 2022년 아다진과 마스킹 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개발 딜을 체결했다. 사노피의 단일표적 항체 혹은 이중항체에 아다진의 마스킹 기술을 적용하는 내용이었다. 계약에 따라 비공개 타깃에 대한 2가지 에셋의 개발을 진행해왔으며, 사노피는 추가적인 2개 프로그램에 대한 옵션권리를
지난 6월 비상장 바이오기업 투자는 3곳, 681억원으로 집계돼 지난 5월까지 4개월째 이어지던 저조한 투자 분위기를 다소 바꿔놓은 듯 하다. 상승기조로 전환활 수 있을지는 아직은 조심스럽지만 그런 기대감이 싹트는 것은 사실이다. 올해 2월과 5월은 제로(0) 투자를 보였으며, 3월과 4월에는 각각 1곳씩 120억원, 290억원의 투자에 그쳤다. 다만 이번에 투자를 유치한 3곳 중 신약개발 기업은 에임드바이오(AimedBio) 1곳에 불과했다. 항체-약물접합체(ADC)를 개발하고 있는 에임드바이오는 pre-IPO 단계에서 511억
UNP(Unnatural Products)는 지난 1일(현지시간) 면역학(immunology) 연구기업 아젠엑스(argenX)와 약물개발이 어려웠던(undruggable) 다수의 표적(multi-target)에 대한 거대고리 펩타이드(macrocyclic peptide) 공동개발 및 상업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아젠엑스는 UNP에 수천만달러(double digit million dollar)의 계약금(upfront payment) 및 단기지급금(near-term payments)을 지급한다. 또한 향후 연구
아젠엑스(argenx)의 피하주사(SC)제형 FcRn 항체 ‘비브가르트 하이트룰로(VYVGART Hytrulo, 비브가르트 SC)’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시판후 규제조치 업데이트 목록에 포함됐다. FDA는 이 약물에서 만성염증성 탈수초성 다발성신경병증(CIDP)이 악화되는 부작용이 관찰됨에 따라 별도의 규제조치가 필요한지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젠엑스와 업계 관계자는 이번에 FDA가 지적한 CIDP 악화는 허가 전에도 보고된 바 있으며 최근 논문 및 학회 발표를 통해서도 발생사실이 알려져 있으나 발생 비율이 높거나 심
엠엑스티 바이오텍(MxT Biotech)이 미세유체 기반의 유전자전달기술을 바탕으로 기존 바이러스 벡터(virus vector), 지질나노입자(LNP), 전기천공기(electroporator) 방식의 한계를 개선하는 기기 개발에 나섰다. 첫 제품은 ‘유체천공기(Hydroporator) RUO’로 지난해 12월 출시했다. 정아람 엠엑스티 대표는 지난달 27일 서울 강남 케이스퀘어 루닛러닝홀(Learning Hall)에서 열린 ‘2025 상반기 데일리파트너스 D’LABS 데모데이’에서 유체천공기에 대해 발표했다. 정 대표는 “세포에
셀트리온, 머스트 등 4개社 오픈이노베이션 선발
마이크로바이오틱스, 시리즈B 추가 50억..200억 완료
노바티스도, 바이오아틱과 ‘BBB 셔틀’ 8억弗 옵션딜
에이비온, 793억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KDDF, "TPD·CGT" 논의 '사이언스 컨퍼런스' 개최
인투셀, 'B7-H3 ADC' 고형암 "국내 1상 IND 신청"
릴리, ‘CDK4/6 저해제’ 초기유방암 3상 “OS 개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젠큐릭스, 안세현 교수∙정진구 박사 신규이사 선임
뉴로핏, 과학자문위원에 '이와타 아츠시' 박사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수젠텍, 125억 규모 교환사채(EB) 발행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