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동제약그룹(Ildong Pharmaceutical Group)의 항암신약개발 전문회사인 아이디언스(Idience)가 회사의 신규 파이프라인인 LIN28 저해제의 개발전략을 공개했다. LIN28을 저해함으로써 암을 억제하는 microRNA(miRNA)인 let-7의 발현을 복구시키는 접근법이다. 암과 관련된 여러 경로를 조절하는 let-7을 다시 높여 복잡한 저항성 메커니즘과 암 전이를 효과적으로 타깃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보고 있다. 이명재 아이디언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전이 암(metastasis)에는 여전히 큰 임
지노믹트리(Genomictree)는 소변내 PENK 메틸화 기반 분자진단검사법 ‘얼리텍-B 검사(EarlyTect®-B)’의 상부요로상피암(upper tract urothelial carcinoma, UTUC)에 대한 진단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지노믹트리와 서울아산병원이 공동으로 수행한 전향적 임상연구로, 지난 2022년 8월부터 2023년 4월까지 총 183명의 암환자 소변 시료를 분석했다. 이 중 요로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아이맵(I-Mab)과 공동개발하는 클라우든18.2(CLDN18.2)x4-1BB 이중항체 ‘지바스토믹(givastomig, ABL111)’의 단독투여를 평가하는 CLDN18.2 발현 위식도암(GEJ) 임상1상에서 전체반응률(ORR) 18%로 개선됐다고 2일 업데이트했다. 이전 발표했던 지바스토믹 단독투여 임상1상에서 추가 모집된 환자 가운데 1명에게서 부분반응(PR)이 관찰되면서, ORR 수치가 기존 16%에서 18%로 개선됐다. 아이맵은 임상1상에서 확인한 지바스토믹의 초기효능, 안전성 데이터를 기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2일 보령(BORYUNG)과 골질환 치료제 엑스지바(Xgeva) 바이오시밀러인 ‘엑스브릭(Xbryk, 성분명 데노수맙)’의 국내 판매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 5월 엑스브릭을 국내에서 시판허가 받았으며, 미국과 유럽에서는 지난 2월 승인받았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개발사로서 엑스브릭의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고, 보령이 국내 독점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맡게된다. 엑스지바는 암젠(Amgen)이 개발한 RANKL 항체로, 골전이 암환자 등의 골격계증
Lunit announced on the 2nd that a collaboration with Microsoft to accelerate the delivery of AI-powered healthcare solutions. In conjunction with their recent acquisition of Volpara, a Microsoft Industry Health Certified Partner, this collaboration will give health professionals globally access to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글로벌 빅테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와 차세대 의료AI 솔루션 공동 개발에 나선다고 2일 밝혔다. 두 회사는 MS의 클라우드 플랫폼 ‘애저(Azure)’에 루닛의 암진단 AI 솔루션을 탑재, 실제 임상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맞춤형 AI 서비스와 워크플로우 자동화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 이로써 루닛은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AI 제품 공급을 가속화하게 됐다. 양사는 의료기관에서 AI 모델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병원별 맞춤형 AI인 ‘AI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듀셀바이오테라퓨틱스(Dewcell Biotherapeutics)는 써모피셔 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과 협력해 인공혈소판 생산 전용 맞춤형 배양배지 개발 프로젝트에 착수 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써모피셔의 Gibco™ Media by Design™ 서비스를 활용해 혈소판 생산성을 극대화할 최적의 배지 조성을 설계하는 프로젝트다. 또한 무혈청 및 동물유래 성분이 완전히 배제된(AOF, animal-origin-free) 배지 구성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개발동향에 맞춘 규제 대응력
웨어러블 AI(인공지능) 전문기업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몽골 국립심혈관센터 소장인 닥터 멍거(Dr.Mungun)와의 협력으로 입원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솔루션 '씽크(thynC)' 실증에 돌입했다고 1일 밝혔다. 씨어스는 몽골 제3국립병원(3rd State Central Hospital) 내 심장내과센터에 씽크를 설치해 현지 실증을 시작했다. 회사는 해당 병원이 간호사나 의사가 필요시 수동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있었으며 의료진들이 씽크의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한 후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고 설명했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는 파트너사 익수다 테라퓨틱스(IKSUDA Therapeutics)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IKS014’의 글로벌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확대 승인받았다고 1일 밝혔다. 리가켐과 익수다는 IKS014를 ‘best-in-class’ HER2 ADC를 목표로 개발하고 있고, MMAF 페이로드(payload)가 적용됐다(DAR=2). 현재 IKS014는 임상2상 권장용량(RP2D)를 결정하기 위한 용량증량(dose-escala
신라젠(SillaJen)이 지난 4월 이사회에서 결의한 우성제약과의 소규모 흡수합병 절차를 완료했다고 1일 공시했다. 이번 합병은 신라젠이 존속회사, 우성제약이 소멸회사가 되는 100% 자회사 흡수합병 방식으로, 신주발행 없이 진행됐다. 합병 후 우성제약은 신라젠 내 제약사업부로 운영된다. 신라젠은 이번 합병을 통해 연구개발 시너지와 수익기반 다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우성제약이 연구중이던 세계 최초의 '덱시부프로펜' 수액제 개발을 계속 진행한다. 또한 회사는 오는 3분기부터 우성제약의 매출이 신라젠 연결실적에 반영될
한미그룹 창업주 고(故) 임성기 회장의 신약개발에 대한 철학과 유지를 잇기 위해 설립된 임성기재단이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분야의 탁월한 업적에 대해 시상하는 ‘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수상 후보자를 공모한다. 임성기재단은 총 4억원의 상금을 수여하는 ‘제5회 임성기연구자상’ 수상 후보자 공모를 오는 8월 31일까지 두 달간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 대상 1명에게 상금 3억원, 젊은연구자상 2명에게는 각 상금 5000만원을 수여한다. 국내 최고 권위의 생명공학 및 의약학 분야 상인 임성기연구자상의 자격 기준은 한국인 또는 한국계 인사(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는 롯데바이오로직스(Lotte Biologics)와 최근 항체-약물 접합체(ADC) 기술 플랫폼 구축을 위한 2차 공동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앞서 지난 2023년 7월 신규 ADC 플랫폼 공동연구 계약에 따른, 후속 공동개발로 다양한 링커(linker)와 페이로드(payload) 연구를 통해 도출된 솔루플렉스 링크(SoluFlex LinK™) 기술을 더욱 고도화하기 위한 것이다. SoluFlex LinK™는 링커-페이로드의 용해도를 높이고, ADC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은 면역성 혈소판 감소증(ITP) 치료제 ‘타발리스정(성분명: 포스타마티닙)’을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타발리스정은 비장 티로신 인산화효소(spleen tyrosine kinase, SYK)를 억제해 대식세포에 의한 혈소판 파괴를 억제하는 경구용 혁신신약(first-in-class)이다. 타발리스정은 앞서 미국 리겔 파마슈티컬(Rigel Pharmaceuticals)이 개발했으며, 지난 201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은 바 있다. 같은 해 일본
분자진단 기업 씨젠(Seegene)이 차세대 통계서비스 플랫폼 ‘STAgora™(스타고라)’를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씨젠에 따르면 STAgora™는 실제 진단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실시간 감염병 발생상황을 도시, 국가 및 대륙 단위로 시각화해 글로벌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검사결과와 통계분석 데이터를 리포트 형태로 제공받을 수 있다. STAgora™는 개별감염, 증상 기반 다중감염, 감염률 분석 등 40개 이상의 통계도구를 탑재해 병원체의 이상징후를 미리 감지하고 계절성 유행을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다.
셀트리온제약(Celltrion Pharm)은 당뇨병치료제 ‘네시나메트서방정(성분명: 알로글립틴+메르포르민)’을 국내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네시나메트서방정은 당뇨병치료제 주성분인 ‘알로글립틴(alogliptin)’과 ‘메트로포민(metroformin)’의 복합제다. 알로글립틴은 혈당조절에 중요한 인크레틴을 분해하는 효소 DPP-4(dipeptidyl peptidase-4)를 억제해 혈당조절을 개선하고 메트로포민은 간에서 포도당이 생성되는 것을 막고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한다. 네시나메트서방정은 약효가 오래 지
에스티팜(ST Pharm)은 미국의 글로벌 바이오텍 두 곳과 1825만달러(249억원) 규모 올리고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두 건의 공급계약은 심혈관질환 상업화용 2026년 1차 공급 분 1656만달러와 대사질환 신규 임상용 169만달러에 해당한다. 납기는 각각 내년 5월, 올해 12월까지다. 회사는 글로벌학회 발표 및 파트너링 미팅과 함께 제 2올리고동의 완공을 앞두고 글로벌제약사 및 바이오텍 기업들로부터 신규 프로젝트 등 수주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머크, '사활' TROP2 ADC "블랙스톤서 7억弗 조달"
에이비엘 美자회사 '네옥' 공식출범..이중항체 ADC 공개
온코크로스, 복지부 주관 '전임상·임상 모델개발' 사업선정
프로티나, 'AI항체' 270억 국책과제.."2027년 10개 목표"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B7H4 ADC' 고형암 1상 "고용량 코호트 추가"
인사이트, 프렐류드와 ‘JAK2 변이형’ 9.35억弗 옵션딜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씨젠, 3분기 매출 1135억 "전년比 4.3%↑"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한미약품, 'AI 신약개발' 구축 "국책과제 연구기관 선정"
리스큐어, ‘LB-P8’ 희귀간질환 글로벌 2상 "환자투여"
동아 메타비아, ‘GLP-1/GCG’ 신규 전임상 “美학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