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트리온(Celltrion)은 이사회를 통해 1000억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오는 27일부터 장내매수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건을 포함하면 셀트리온은 올해 7차례에 걸쳐 6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진행했다. 또한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 그룹내 계열사인 셀트리온스킨큐어 등은 올해 4월 각각 500억원, 1000억원, 500억원 규모의 주식취득을 결정했으며 임직원도 약 400억원 규모의 우리사주 매입에 동참한 바 있다. 또한 셀트리온은 올해 약 9000억원 규
유한양행(Yuhan)은 개인용 혈당측정기 신제품인 ‘유한당체크’를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국내 의료기기 전문 제조업체 오상헬스케어가 개발하고, 유한양행이 판매한다. 유한당체크는 개인 건강관리의 핵심 기기인 혈당측정기의 편의성을 구현한 제품이다. 사용자 친화적인 디자인, 직관적인 인디케이터 기능, 2.5인치의 넓은 디스플레이 등 강점을 갖췄으며, 혈당 측정 결과를 컬러 인디케이터로 직관적으로 표시해 고령자나 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손쉽게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인 유노비아(Yunovia)는 지난 20일부터 2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서 경구용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A) ‘ID110521156’으로 진행한 임상1상 결과를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 유노비아는 ID110521156의 임상1상 단회투여 용량상승(SAD) 시험과 반복투여 용량상승(MAD) 시험의 간이 결과 및 관련 데이터 등을 포스터 발표했다. 유노비아는 ID110521156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 및 약력학적 특성을 평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은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세계 최대규모의 바이오행사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 2025)’에 주관연구개발기관의 기업발표와 파트너링 참가를 지원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지원은 ‘2025 우수과제 글로벌 진출 촉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국내 신약개발기업의 우수기술을 글로벌 파트너에게 소개하고,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을 유도하기 위해 이뤄졌다. KDDF는 BIO USA 2025 조직위원회에서 선정한 10개의 주관 연구개발기관을 대상으로 기업발표, 1:1 파트너링,
오스코텍(Oscotec)이 차세대 키워드로 내세우고 있는 항내성(anti-resistance) 항암제 후보물질의 임상개발을 본격화한다. 오스코텍은 오는 4분기 항암제로 개발하고 있는 EP2/4 이중길항제(dual antagonist) ‘OCT-598’의 임상1상 첫 환자 투여를 시작할 계획으로, 고형암에서 기존 표준치료제(SoC)와 병용투여하는 전략이다. 또한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타우병증(tauopathies) 치료제로 개발하는 타우항체 ‘ADEL-Y01’의 환자 대상 임상1b도 시작했다. 오스코텍은 지난 24일 여의도 한국거래
유전자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뉴라클제네틱스(Neuracle Genetics)는 AAV 기반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wAMD) 유전자치료제 ‘NG101’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5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25일 밝혔다. 뉴라클제네틱스의 과제 목표는 NG101의 기존 연구개발 성과를 기반으로 향후 임상1/2a상의 결과를 확보하고 후속 임상단계에 진입하는 것이다. 뉴라클제네틱스는 이번 과제 선정으로 임상시험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NG101은 애플리버셉트(aflibercept) 유전
자이메디(Zymedi)는 KARS1 저해제의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비임상 연구개발 과제가 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지원하는 ‘신약 R&D 생태계구축 연구’ 과제에 선정돼 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에 따라 자이메디는 향후 2년동안 MASH 치료제 비임상 개발에 필요한 약 15억원 규모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는다. MASH는 간에 지방이 축적돼 염증과 섬유화를 유발하며 심해지면서, 간 손상이나 간경화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현재 미국 식품의약국(FDA) 시판허가를 받은 약물은 지난해 승인받은 마드리갈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 바이오텍 에임드바이오(Aimed Bio)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통과했다고 25일 밝혔다. 에임드바이오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두 곳의 기술평가기관으로부터 각각 A, A 등급을 획득하며, 기술력과 사업성을 인정받았다. 에임드바이오는 올해 하반기 코스닥 상장을 위한 본격적인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에임드바이오는 연내 증권신고서 제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스닥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에임드바이오는 미충족 의료수요에 기반한 신규 타깃 발굴, 항체 개발, 중개연구 기술, 자체 링커-페이
한미정밀화학(Hanmi Fine Chemical)이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IVI)에서 진행하는 펩타이드(peptide) 기반 원숭이두창(Mpox) 백신 개발에 참여한다. 한미그룹 원료의약품(API) 전문 계열사 한미정밀화학은 최근 펩타이드 기반 백신개발 바이오텍 에드젠바이오텍(EdJen BioTech), 국제백신연구소와 함께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Mpox 백신 개발 및 생산 협력에 대한 3자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3개 회사는 각사의 전문
동아에스티(Dong-A ST)는 24일 항체-약물접합체(ADC) 전문 자회사 앱티스(AbTis)와 클라우딘18.2(CLDN18.2) 타깃 ADC ‘DA-3501(AT-211)’에 대해 국내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DA-3501은 위암, 췌장암 등 고형암을 주요 적응증으로 한다. 특히 앱티스의 독자적인 플랫폼 기술 앱클릭(AbClick®)이 적용된 차세대 ADC로, 기존 ADC 대비 우수한 선택성과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보할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이번 IND 신청은 앱티스의 비임상 데이터를
코어라인소프트는 미국 텍사스메디컬센터(TMC) 의료복합단지 소재의 베일러의대(Baylor College of Medicine, BCM)에 자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에이뷰 씨오피디(AVIEW COPD)'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에이뷰 씨오피디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자동분석 SW로 △폐기종 정량분석 △병변 자동검출 △폐기능 예측 지표 등이 포함된 제품으로, 진료 지원뿐만 아니라 논문, 학회발표 등 학술연구분야에도 최적화된 게 특징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TMC는 약 60개 이상의 병원, 연구소,
국내 바이오제약 CEO 중에서 글로벌 수준에서 유망한 모달리티 및 향후 확장계획이 있는 모달리티로 항체-약물접합체(ADC)가 1위, 항체 및 다중항체가 2위를 차지하며, 항체기반 에셋이 전체 응답의 절반에 가까운 47%를 차지했다. ADC는 지난 2023년과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1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2위였던 세포유전자치료제(CGT)는 공동 4등으로 내려앉았다. 한때 기대를 모았지만 개발의 진척이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승인된 경우에도 상업화의 어려움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향후 확장계획이 있는 모달리티에서도 AD
일동제약그룹의 항암신약개발 전문회사인 아이디언스(Idience)는 24일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5년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의 대상 과제로 회사의 pan-KRAS 저해제 ‘ID12241’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ID12241은 KRAS에 돌연변이를 가진 비소세포폐암, 췌장암, 대장암 등을 표적으로 하는 pan-KRAS 저해제 기전의 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이다. ID12241에 대한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지정에 따라 아이디언스는 향후 2년간 신약물질 도출 및 관련연구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비를 지원받게 될
오토텔릭바이오(Autotelic Bio)는 CHI3L1 타깃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후보물질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5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선도단계 지원과제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과제는 초기단계의 유효물질을 후보물질 단계로 진입하고 선도물질을 도출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CHI3L1은 체내에 존재하는 당단백질로 면역세포 활성화, 대식세포 분극화, 종양미세환경 조성 등 면역과 염증조절에 관여해 염증성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암 등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과제
대웅제약(DAEWOONG)은 지난 3일부터 6일(현지시간) 그리스 테살로니키에서 개최된 유럽 집단연구학회(PAGE 2025)에서 SGLT-2 저해제 계열의 제2형 당뇨병(T2D) 치료제인 ‘엔블로(Envlo, enavogliflozin)'의 집단약동학 모델링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과와 공동으로 총 446명의 한국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물이 인체내에서 어떻게 흡수되고 이동하며 배출되는지를 수학적 모델로 예측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나이는 약물의 체내 배출속도에, 식
인벤티지랩(Inventage Lab)은 지난 20일부터 23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 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2025) 연례 학술대회에 참가해, 차세대 비만 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 인벤티지랩은 GLP-1 수용체 작용제인 세마글루타이드(위고비) 및 터제파타이드(젭바운드)를 기반으로 한 1개월 지속형 주사제 ‘IVL3021’, ‘IVL3024’와 세마글루타이드 경구제 ‘IVL3027’의 전임상 데이터를 공개
로슈, ‘BBB셔틀’ Aβ항체 AD 1b/2a상 "ARIA 5%이하"
노보노, 올 매출 “하향조정”∙새 CEO 선임..주가 23%↓
노보메디슨, 시리즈C 275억 '포셀티닙' "허가임상 착수"
'빅파마 잇딴 딜' in vivo CAR-T "주목하는 이유는?"
AZ, '3.2억弗 인수' 네오진 TCR-T 1상 “개발중단”
머크, '키트루다' 특허만료 대비 "연간 30억弗 절감”
아트바이오, 시리즈B 1.32억弗.."212Pb-PSMA 2상"
루카스바이오, '자가T세포' 중증 코로나19 치료 "논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대웅제약,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본부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와이바이오, 350억 규모 CB발행 결정
닥터노아, 써모피셔와 ‘AI+오가노이드’ 약물개발 협력
SK바사, 2Q 매출 1619억·영업손실 374억
에버엑스, 시리즈B 148억.."AI 동작분석 기술"
지노믹트리, '방광암 진단' 식약처에 최종자료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