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사나 테라퓨틱스(Mersana Therapeutics)는 지난 15일(현지시간) B7-H4 타깃 ADC ‘에밀타투그 레다도티(emiltatug ledadoti, Emi-Le)’의 임상1상 업데이트 결과를 발표했다. 머사나는 용량증량(DES) 및 보강코호트(backfill cohort) 임상1상 결과를 공개하며 Emi-Le을 계속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최소 1번이상 TOP1(topoisomerase I) ADC로 치료받은 적 있고(post-TOP1), 4번 이하의 사전치료를 받은 삼중음성유방암(TNBC) 환자’의 제한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은 22일 프로젠(ProGen)과 항노화(anti-aging)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21일 지아이이노베이션 본사에서 진행된 MOU 체결식에는 장명호 지아이이노베이션 대표, 윤나리 전무, 김종균 프로젠 대표, 김세원 이사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회사는 지아이이노베이션의 면역증강을 위한 CD80-IL2 융합단백질 ‘GI-102’, 관계사 지아이바이옴(GI Biome)의 근력향상 및 장내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신바이오틱스(synbiotics) ‘G
크리스퍼 테라퓨틱스(CRISPR Therapeutics)가 CRISPR-Cas9에 이은 새로운 치료제 모달리티로 RNAi 전략을 선택했다. 중국의 시리우스 테라퓨틱스(Sirius Therapeutics)가 임상1상을 완료한 혈액응고인자 11번(FXI) siRNA 약물의 공동개발 권리를 확보하고, 추가적인 2개 에셋에 대한 라이선스 옵션권리를 사들인 것이다. 계약금 9500만달러와 비공개 규모의 마일스톤이 포함된 딜이다. 크리스퍼는 CRISPR-Cas9 편집약물 선두주자로, 버텍스 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22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분할 공시와 관련, 오는 10월 바이오사업 관련 지주회사 삼성에피스홀딩스가 출범하며,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삼성바이오에피스와 향후 바이오신사업 수행을 위해 설립될 신규 자회사들을 산하에 두게 된다고 밝혔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독자적 의사결정 체계로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자회사의 사업역량을 극대화하면서, 삼성 바이오사업의 새로운 성장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번 회사 분할로 차세대 바이오기술 분야의 사업 확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두보를 마
셀트리온(Celltrion)은 미국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 1곳과 ‘스텔라라(Stelara)’ 바이오시밀러인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Steqeym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의 처방집 등재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이번에 미국 상위 5개 PBM 중 1곳과 계약을 체결해 해당 PBM에서 관할하는 사보험 영역을 확보하며 오는 7월부터 스테키마에 환급적용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계약은 셀트리온이 스테키마의 처방집 등재를 위해 미국 대형 PBM과 체결한 2번째 계약으로, 올해 3월 미국 3대 PBM 중 1
우정바이오가 지난 21일 이사회를 통해 고(故) 천병년 대표이사 유고에 따라, 천희정 대표이사를 신규 선임했다고 22일 공시했다. 천 신임 대표는 천병년 회장의 장녀로, 지난 2019년 우정바이오에 입사해 홍보팀장, 전략기획실장, 미래전략기획실장 등을 맡았다. 천희정 대표는 “회장님께서 강조하신 ‘혁신과 행동’의 경영철학을 가슴 깊이 새기며, 우정바이오가 신약개발 생태계의 중심에서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바이오 플랫폼 기업 알테오젠(Alteogen)의 자회사인 알테오젠헬스케어와 알토스바이오로직스가 지난 20일 합병을 완료하고,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Alteogen Biologics)라는 새로운 사명 아래 통합법인으로 공식 출범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합병은 의약품 유통, 영업, 마케팅 역량을 보유한 알테오젠헬스케어와, 임상개발 및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한 알토스바이오로직스 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알테오젠헬스케어는 현재 유착방지제, 성장호르몬, 그리고 국내 최초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제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22일 인적분할 방식으로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해 바이오 의약품 위탁 개발/생산(CDMO)사업과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완전히 분리한다고 22일 공시했다. 이번 기업 분할은 주주가 기존법인과 신설법인의 주식을 지분율에 비례해 나눠 갖게 되는 인적분할 방식으로 진행되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기존 주주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과 삼성에피스홀딩스 주식을 0.6503913대 0.3496087의 비율로 교부받게 된다. 분할 비율은 현재 순자산 장부가액을 기준으로 정해졌다. 신주 배정 기준일
‘포지오티닙(poziotinib)’의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다시금 HER2 저해제로 비소세포폐암 영역에서 승부를 건다. 한미약품은 선택적 HER2 저해제 ‘HM100714’로 올해 4분기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신청할 계획이다. 한미약품의 포지오티닙은 저분자화합물 기반 HER2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개발에 가장 근접했던 약물로, HER2 엑손20 삽입변이(exon 20 insertion mutation) 환자에게서 효능을 보였지만 독성의 문턱을 넘지 못했다. 임상에서 EGFR 관련 약물 부작용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s)는 화이자(Pfizer)가 제기한 ‘13가 폐렴구균 단백접합 백신(PCV 13)’ 특허소송에서 대법원 최종 승소 판결을 받았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화이자는 2020년 SK바이오사이언스가 러시아에 공급한 PCV 13 개별접합체 원액과 연구용 완제 의약품이 화이자 ‘프리베나13’의 조성물 특허를 침해한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대법원은 PCV 13을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접합체는 특허의 청구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해 화이자 패소판결 원심을 확정했다. PCV 13 완제의약품을 연구와 시험
파이안바이오테크놀로지(Paean Biotechnology)는 미토콘드리아 기반 치료제를 임상단계로 진전시킨 국내 바이오텍으로, 근육의 미토콘드리아에 이상을 보이는 희귀 자가면역질환인 다발성근염(polymyositis, PM), 피부근염(dermatomyositis, DM) 등을 적응증으로 미토콘드리아 이식법의 국내 임상2상 시작을 앞두고 있다. 파이안은 줄기세포에서 유래한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이식하는 방법 외에도 미토콘드리아를 변형해 치료제로 사용하는 컨셉의 신규 모달리티(modality)도 개발하고 있다. 파이안의 변형 미토콘
아이진(Eyegene)은 지난 20일 엠브릭스(MVRIX)로부터 차세대 재조합 보툴리눔 톡신 기술 ‘MBT-002’ 도입을 위한 기술이전(L/I) 및 글로벌 판권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아이진은 MBT-002에 대해 전세계 독점개발 및 판권을 확보했다. 계약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아이진은 MBT-002의 비임상 및 국내 임상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며 국내 시장과 더불어 중국, 북미,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엠브릭스가 개발하고 있는 MBT-002는 기존 제품 대비 확산이 적고 독성이
화이자(Pfizer)가 더이상 파트너사의 PD-1xVEGF 이중항체 ‘이보네스시맙(ivonescimab)’에 의존하는 애매한 방식으로는, 충분치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화이자는 이제 제대로 PD-(L)1xVEGF 선두 플레이어가 되려하고 있고, 이보네스시맙과 같은 기전의 중국 3S바이오(3SBio)의 PD-1xVEGF 이중항체 ‘SSGJ-707’의 중국외 독점권을 계약금 12억5000만달러에 사들였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연내 중국 임상3상 시작을 앞둔 에셋으로, 임상에서 이보네스시맙과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효능을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와 공동판매 협약을 맺은 ‘오보덴스®(Obodence®, 프롤리아 바이오시밀러)’의 국내출시를 앞두고 의료진을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3상 결과를 공유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1일부터 사흘간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대한내분비학회 국제학술대회(SICEM 2025)에 참가해 전국 내분비내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오보덴스의 임상적 이점에 관한 런천 심포지엄을 진행했다고 21일 밝혔다. 한미약품은 지난 3월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오보덴스의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ViGenCell)은 2025년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연구과제는 제대혈 줄기세포 증폭기술 기반 차세대 골수성억제세포(CBMS) 이용 이식편대숙주질환(GvHD) 치료제 개발이다.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가 재생의료 핵심 원천기술 확보와 임상 연계를 통한 재생의료 치료제 및 치료기술 확보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바이젠셀은 이번 국책사업 선정을 통해 CBMS의 대량증폭 및 임상용 치료제 개발, 상업용 임상1/2a상 시
HLB파나진(HLB Panagene)은 지난 19일(현지시간)부터 22일까지 미국 샌디에고에서 열리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펩타이드 치료제 컨퍼런스(TIDES USA 2025)에 참가해 변형 PNA를 이용한 유전자조절 기술을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PNA(peptide nucleic acid)는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DAN와 유사한 모습의 인공소재로, HLB파나진은 새로운 형태의 변형 PNA가 인간 비소세포폐암(NSCLC) 세포에서 암 발생과 관련된 miRNA를 억제하고, 동시에 해당 miRNA의 하위 유전자 발현을 회복시킨
셀트리온, 머스트 등 4개社 오픈이노베이션 선발
마이크로바이오틱스, 시리즈B 추가 50억..200억 완료
노바티스도, 바이오아틱과 ‘BBB 셔틀’ 8억弗 옵션딜
KDDF, "TPD·CGT" 논의 '사이언스 컨퍼런스' 개최
에이비온, 793억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인투셀, 'B7-H3 ADC' 고형암 "국내 1상 IND 신청"
릴리, ‘CDK4/6 저해제’ 초기유방암 3상 “OS 개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젠큐릭스, 안세현 교수∙정진구 박사 신규이사 선임
뉴로핏, 과학자문위원에 '이와타 아츠시' 박사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수젠텍, 125억 규모 교환사채(EB) 발행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