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W신약은 탈모 치료 외용제 신제품 ‘마이딜 5% 폼 에어로졸’을 출시하며 탈모케어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고 29일 밝혔다. 마이딜 5% 폼 에어로졸은 미녹시딜 5%를 함유한 일반의약품으로, 남성형 탈모증인 안드로겐탈모증과 여성형 탈모증 모두에 효과가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 제품은 거품형태로 탈모부위에 간편하게 바를 수 있고, 끈적임이나 흘러내림 없이 빠르게 흡수돼 머리카락이 엉켜붙는 불편함이 적은 등 기존 액상 또는 겔 제형 대비 사용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JW신약 관계자는 “탈모는 미용을 넘어 삶의질과 연결되는 중요
프로테나(Prothena)는 지난 23일(현지시간) AL아밀로이드증(AL Amyloidosis) 환자를 대상으로 아밀로이드 저해제 ‘버타미맙(birtamimab)’을 투여한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 도달에 실패해 개발중단한다고 밝혔다. 해당 발표 직후 주가는 장마감후 시간외거래에서 종가대비 22% 하락했다. 이번 임상은 AL아밀로이드증 환자 207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NCT04973137). 연구진은 환자들을 2:1비율로 버타미맙 투여군과 위약군(placebo)을 나눴고 표준치료제(SoC)와 병용투여했다. 표준치료제는 ‘보르테조밉
GC녹십자(GC Biopharma)는 29일 헌터증후군 효소대체요법(ERT) 치료제 ‘헌터라제(성분명: 이두설파제-베타, idursulfase-beta)’의 임상3상 결과를 국제학술지인 ‘제네틱스 인 메디슨(Genetics in Medicine)’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이번 임상3상은 기존 치료제를 사용한 경험이 없는 헌터증후군(Hunter syndrome, MPS II) 국내 신규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회사는 헌터라제를 1년간 정맥투여했을 때의 유효성과 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GC녹십자는 이
그래디언트 자회사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Gradient Bioconvergence)는 오는 30일부터 다음달 3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5)에서 비소세포폐암 신규 타깃으로 발굴한 ‘GBC-11004’ 연구를 포스터 발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발표될 GBC-11004는 자사의 환자유래 오가노이드(PDO) 빅데이터와 AI 기반 플랫폼으로 발굴한 신규 키나아제로, 3세대 EGFR 저해제에 내성을 보이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서 과발현하는 특징이 있다. 회사는 기존 차세대 염기서열
HLB펩(HLB Pep)은 야뇨증 치료제 ‘데스모프레신(desmopressin)’ 원료의약품(API)이 대만 식약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9일 밝혔다. 데스모프레신은 야뇨증, 과도한 소변이 생성되는 중추성 요붕증 등의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는 의약품이다. 데스모프레신의 전세계 시장규모는 14억달러 수준으로 최근 고령화의 영향으로 시장규모가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경재 HLB펩 대표는 “HLB그룹의 인수 후 확보된 유동성을 바탕으로 그간 미진했던 신규 바이오 소재 개발과 글로벌 영업, 신약개발 등 모든 분야에서 속도를
중국 항서제약(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은 지난 23일(현지시간) 홍콩증권거래소(HKEX)에 98억홍콩달러(약 12억7000만달러)를 모집하며 기업공개(IPO)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는 2020년말 JD헬스가 34억8000만달러 규모로 홍콩시장에 IPO 한 이후 헬스케어 분야에서 최대규모이다. 앞서 항서제약은 지난 2000년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SSE)에도 상장했다. 항서제약은 지난 21일 HKEX에 상장할 주식의 공모(public offering) 가격을 주당 44.05홍콩달러로 책정했다. 이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s)는 29일 백신 생산시설 ‘안동 L HOUSE’의 증축공사를 완료해 안동시로부터 건축물 사용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Sanofi)와 공동개발 중인 21가 폐렴구균 백신 후보물질 ‘GBP410’의 생산시설 확보를 목표로 기존 백신 생산동을 1층에서 3층 규모로 확장해 4,200㎡(1,300평) 규모 신규 공간을 확보했다. 증축에 필요한 비용은 양사가 공동 투자를 통해 마련했다. 회사는 지난해 3월 시작한 증축공사를 완료함에 따라 빠르게 내부 공정
대웅제약(DAEWOONG)은 지난 11일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린 유럽비만학회(ECO 2025) 당뇨약 ‘엔블로(Envlo, enavogliflozin)’가 지방간 지표를 개선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554명의 제2형 당뇨병(T2D)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3건의 엔블로 임상3상 데이터를 활용해 엔블로의 간 지방증 지표 개선 효과를 통합 분석한 결과다. 엔블로는 SGLT2 저해제 계열 제2형 당뇨병 치료제다. 연구 결과 엔블로 0.3mg을 24주간 매일 복용한 환자들은 간 지방증 지수(HSI) 및 프레이
멥스젠(MEPSGEN)은 미국 클리브랜드클리닉(Cleveland Clinic)과 장모델 개발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김현중 클리브랜드클리닉 교수 연구팀과 진행하며, 혁신적인 장 모델 형성과 흡수기능 평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김 교수 연구팀은 멥스젠의 생체조직칩 및 장기조직모델 배양 자동화 장비 ‘프로멥스(ProMEPS™)’의 기능적 역량을 평가할 예정이다. 멥스젠의 생체조직칩과 프로멥스가 인간 장세포의 안정적인 배양을 유지하고 장기의 생리적 특성을 재현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또한 시스템 내에서 배
피부미용 의료장비 및 뷰티디바이스 전문기업 메딕콘(MEDICON)은 오가노이드 및 첨단 생체소재 전문기업 세라트젠(Cellartgen)과 피부 ECM을 활용한 메디컬 에스테틱분야 공동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 2006년에 설립된 메딕콘은 초음파와 고주파 기반 피부미용 의료기기와 홈 뷰티 디바이스 제조 전문기업으로 국내외 대형 제약사 및 글로벌 뷰티기업 등에 뷰티 디바이스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세계 유명 피부학회지에 실린 SCI급 논문 3건, 기술 특허 34건 등 75개의 지식재산
오는 6월 13~14일 양일간 재미한인제약인협회(KASBP)가 임상개발 성공 전략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 이번 세미나는 위싱턴DC 지역에서 첫 개최되는 만큼, 지역 특성을 담아 ‘임상개발의 성공전략: 심사절차 극복 및 지속적인 혁신(Strategies For Success In Clinical Development: Overcoming Regulatory Hurdles And Driving Innovation)’이라는 주제로, 해당 분야 전문가 10인이 발표한다. 한미 제약산업과 생명과학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활
나이벡(NIBEC)은 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 ‘NP-201’을 비공개 미국 기업에 총규모 4억3500만달러로 라이선스아웃(L/O)했다고 28일 공시했다. 나이벡은 30일내에 계약금 800만달러를 수령하게 될 예정이며, 이후 누적 판매마일스톤 달성시 4억2700만달러를 추가로 수령하게 된다. 또한 NP-201로 발생하는 순매출액의 4%를 별도의 로열티로 받을 수 있다. 라이선스아웃 대상은 미국 바이오소재 기업으로 구체적인 사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해당 회사는 NP-201에 대한 개발 및 상업화를 할 수 있는 전세계 대상 독점권을 확
이엔셀(ENCell)은 국내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기업과 약 20억원 규모의 임상시험용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19억1749만원 규모의 고객사 임상시험용의약품 CDMO 계약으로 계약기간은 내년 7월31일까지다. 계약의 주요 사항은 두 회사간 비밀유지 협약에 따라 공개하지 않았다. 이엔셀은 세포와 바이러스를 동시에 생산이 가능한 글로벌 수준의 GMP 시설을 통해 원스탑(One-Stop) 서비스와 함께 차별화된 생산 및 품질관리 시스템을 통해 고객사에게 CDMO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사이트원테라퓨틱스(SiteOne Therapeutics)를 10억달러 규모로 인수하며 소듐채널 저해제(sodium channel inhibitor) 경쟁에 뛰어들었다. 사이트원은 비마약성(non-opioid) 진통제로 NaV1.8 저해제 ‘STC-004’을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하반기 임상2상을 앞두고 있다. 릴리는 이같은 STC-004를 비마약성 진통제 분야에서 주요 에셋으로 개발하게 될 예정으로, 버텍스 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과의 경쟁이 예상된다. 버텍스는 올해
GSK는 지난 23일(현지시간) BCMA 항체-약물접합체(ADC) ‘블렌렙(Blenrep, belantamab mafodotin)’의 병용요법이 유럽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재발성·불응성(r/r) 다발성골수종(MM) 2차치료제로 승인권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CHMP 권고는 동일한 적응증에 대해 지난달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과 이달 일본 후생노동성(MHLW)이 블렌렙의 시판허가를 승인한 데 이어진 결정이다. 현재 미국, 중국, 캐나다, 스위스에서도 허가심사를 받고 있으며 미국의
면역분야 전문 비임상시험기관(CRO) 프리클리나(Preclina)는 28일 지난해 유럽법인 설립에 이어, 올해는 국내외 주요 바이오 행사에 연이어 참가하며 해외 네트워크 확대에 주력하는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프리클리나는 자가면역질환, 염증성 질환, 섬유화 질환을 중심으로 하는 면역질환 특화 CRO로, 인간화 마우스 기반 유효성 평가 플랫폼을 독자적으로 개발해왔다. 특히 인간화 폐섬유증(BILF) 모델과 인간화 염증성 장질환(IBD) 모델은 기존 마우스 모델로 구현하기 어려운 병리학적
펩트론, 대사촉진 ‘GLP1-PrRP’ 비만 전임상 “공개”
에이비엘, 'CLDN18.2x4-1BB' 1b상 "ESMO GI 구두발표"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AZ, "머크 실패" EGFR 폐암서 'TROP2 ADC' 美가속승인
에임드바이오, 'A, A' 코스닥 기술성평가 "통과"
오츠카, 中하버서 'BCMAxCD3' TCE "6.7억弗 L/I"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일루미나, 소마로직 4.25억弗 인수.."단백체학 강화"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유한재단 새 이사장에 원희목 서울대 특임교수 선임
툴젠, 종자사업본부장에 성동렬 부사장 영입
[창간설문]韓바이오, 2025 올해의 인물 ‘서정진·김용주’
뉴라클제네틱스, 황반변성 AAV "KDDF 과제선정"
자이메디, 'KARS1 저해제' MASH 비임상 "KDDF 과제"
한미정밀화학, 펩타이드 '차세대 Mpox 백신' 공동개발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