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가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Nurr1 활성화약물(Nurr1 activator) ‘HL192(ATH-399A)’의 임상1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확보했다고 25일 밝혔다. HL192는 뉴론 파마슈티컬즈(NurrOn Pharmaceuticals)가 발굴한 퇴행성신경질환 치료제 후보물질로 Nurr1을 활성화해 체내 도파민 수치를 높이고, 신경세포 사멸을 막는 기전의 약물이다. 한올바이오파마와 대웅제약(Daewoong Pharm)은 지난 202
제일약품(Jeil Pharmaceutical)은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소화기학술대회(Asian Pacific Digestive Week 2024, APDW 2024)에 참가했다고 25일 밝혔다. APDW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소화기학술대회로, 작년에는 한국, 중국, 일본, 태국, 인도, 파키스탄 등 60개국에서 3000명이 넘는 소화기내과 의사들이 참석했다. 이번 학회에서 제일약품의 P-CAB 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인 ‘자큐보(성분명: 자스타프라잔)’의 최신 연구성과를 공개했다.
노바티스(Novartis)가 케이트 테라퓨틱스(Kate Therapeutics)를 비공개 계약금을 포함, 총 11억달러에 인수했다. 케이트 인수를 통해 신경근육질환에 대한 AAV 유전자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더 넓히게 됐다. 노바티스는 유전자치료제 분야 선두그룹으로, 희귀 신경근육질환인 척수성근위축증(SMA) 유전자치료제 ‘졸겐스마(Zolgensma)’를 지난 2019년부터 시판하고 있다. 노바티스는 유전자치료제에 꾸준히 투자를 이어오고 있으며, 주로 보이저 테라퓨틱스(Voyager Therapeutics) 등과 신경질환에 대한 파트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자회사인 아이리드비엠에스(iLeadBMS)는 심장질환 분야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대회에서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아이리드비엠에스는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항섬유화 치료제 개발 회의(Antifibrotic Drug Development Summit, AFDD 2024)’에 참가해 CXCR7 작용제인 ‘IL21120038’에 대한 비임상 연구 데이터를 포스터 형식으로 발표했다. IL21120038은 면역과 관련한 신호전달 단백질인 케모카인(chemokine
테라젠이텍스(Theragen Etex)는 지난 22일 이사회를 열고 메드팩토(MedPacto) 보유주식 493만1039주 전량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테라젠이텍스는 메드팩토 지분 16.65%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이번 매각작업이 완료되면 경영권이 바뀌게 된다. 김성진 메드팩토 대표는 6.38%의 지분을 보유한 2대주주이다. 공시에 따르면 테라젠이텍스는 이사회결의일로부터 15일 이내 매각 주관자문사를 선정해 전략적 투자자, 우량기업 등에 보유주식을 장외매각할 계획이다. 향후 구체적인 거래상대방, 거래금액, 일정 등이 확정
삼양그룹(Samyang Group)이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단행을 통해 삼양그룹 바이오팜그룹장에 김경진 전(前) 에스티팜 대표를 사장으로 영입해 신규 선임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인사는 창립 100주년을 맞은 후 진행되는 첫번째 인사와 조직개편으로, 그룹의 핵심사업을 ‘글로벌’과 ‘스페셜티(고기능성)’로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김경진 그룹장은 글로벌 제약사 로슈의 수석연구원을 거쳐 에스티팜에서 합성1연구부장, 연구소장,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며 연구개발자로서는 물론 전문경영인으로서도 우수한 역량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다음달 1일부터 5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북미영상의학회(RSNA 2024)에 참가에서 유방암 및 흉부질환 진단 AI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관련 연구 20건을 발표한다고 25일 밝혔다. 초록이 20건 채택된 것은 루닛이 의료분야 학회에 참가를 시작한 이래 역대 최다 성과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RSNA는 올해로 110회째를 맞이하며 '인공지능과의 연결(Building intelligent connections)'이라는 주제로 개최된다. 이번 학회에서는 영상의학 분
재즈 파마슈티컬(Jazz Pharmaceuticals)이 이중항체로,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Enhertu, T-DXd)’가 있는 HER2 표적항암제 영역에서 경쟁 레이스를 시작했다. 재즈가 HER2 이중항체 ‘자니다타맙(zanidatamab)’으로 첫 침투한 곳은 담관암(BTC)으로, 지난 20일(현지시간) HER2 양성(HER2+, IHC 3+) 담관암 2차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을 받았다고 밝혔다. 제품명은 ‘지헤라(Ziihera®)’이며
동아제약(Dong-A Pharmaceutical)은 지난 2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0회 국가품질경영대회 시상식에서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 대통령상 금상, 은상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국가품질혁신경진대회는 산업현장 품질혁신 주역인 근로자들이 현장 품질개선 우수 사례를 발표하는 방식으로 경연을 펼치는 산업계의 전국체전이다. 이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주최하고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한다. 이 대회는 지난 8월26일부터 30일까지 5일간 경기도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렸으며, 전국 17개 시, 도에서 예선을 거쳐 선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은 지난 19~21일(현지시간) 영국에서 개최 중인 ‘제프리스 런던 헬스케어 컨퍼런스(Jefferies London Healthcare Conference)’에서 메인세션 발표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 컨퍼런스의 메인세션에서 2년 연속 발표를 진행한 기업은 SK바이오팜이 국내 최초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제프리스 헬스케어 컨퍼런스는 유럽 최대규모 제약바이오 컨퍼런스로, 전세계 500개 이상 기업과 3000명 이상의 투자자가 참석해 업계 최신 동향과 투자 기회를 논의하는 글로벌 플
지씨셀(GC Cell)은 22일 B세포림프종(B-cell lymphoma)치료제로 개발중인 CD19 CAR-NK 'GCC2004'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KDDF) 비임상 단계 지원과제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국가신약개발사업은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신약 개발 전주기를 지원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이다. GCC2004는 CAR 신호 도메인으로 CAR-NK 세포의 활성을 높이고, IL-15를 공동 발현시켜 체내 지속력과 항암효능을 강화한 CD19 표적 CAR-N
캐롤린 베르토지(Carolyn Bertozzi) 스탠포드대 교수가 새롭게 설립한 밸로라 테라퓨틱스(Valora Therapeutics)가 지난 20일(현지시간) 시드투자로 3000만달러를 유치하며 출범했다. 베르토지 교수는 지난 2022년 생물직교화학(bioorthogonal chemistry) 개발을 통해 클릭화학을 생체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공로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베르토지 교수는 여러 바이오텍을 설립한 연쇄창업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신규 TPD 모달리티로 잘 알려진 라이탁(LYTAC)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항체-분해
글로벌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베터파마(Vetter Pharma International GmbH)는 21일(현지시간) 수석부사장 3명을 새로운 매니징 디렉터(managing director)로 선임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매니징 디렉터에 선임되는 헨릭 바닥(Henryk Badack), 타이투스 오팅어(Titus Ottinger), 카르스텐 프레스(Carsten Press) 수석부사장은 내년 1월부터 임기가 시작될 예정이다. 기존에 매니징 디렉터를 맡고 있던 토마스 오토(Thomas Otto), 피터 줼크너(Peter Soel
GC녹십자(GC Biopharma)는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와 이중항체 항체-약물접합체(ADC) 공동개발을 위한 계약을 21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옵션권리가 포함된 공동개발 계약으로, 카나프가 개발 중인 이중항체 ADC 후보물질이 두 회사가 합의한 요건에 충족할 시 GC녹십자가 옵션행사를 통해 공동개발에 참여하는 형태이다. 구체적인 타깃, 옵션요건, 전체 계약규모 등 구체적인 계약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두 회사가 계약을 체결한 이중항체 ADC는 여러 고형암에 발현하는 타깃을 대상으로
셀트리온(Celltrion)은 폐경 후 여성 골다공증 환자 치료를 위한 프롤리아(PROLIA, 성분명: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스토보클로(STOBOCLO, 개발명: CT-P41)’, 암 환자의 골 전이 예방을 위한 엑스지바(XGEVA, 성분명: 데노수맙) 바이오시밀러 ‘오센벨트(OSENVELT, 개발명: CT-P41)’ 등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2일 밝혔다. 프롤리아와 엑스지바 두 치료제 모두 데노수맙을 주성분으로 하며 각각 골다공증 치료제, 암환자 골 전이 합병증 예방 치료제로 허가된 약물이
앨라일람 파마슈티컬(Alnylam Pharmaceuticals)이 승부를 걸고 있는 트랜스티레틴(TTR) 아밀로이드증(ATTR) 질환 영역에서, 치열한 경쟁속에서 갈수록 높아지는 기준을 돌파하기 위해 온 힘을 쏟고 있다. 이번에는 두 시판 제품에 이어 3번째 차세대 TTR RNAi 에셋에 대한 윤곽이 드러났으며,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심장학회(AHA 2024)에서 구두발표를 통해 긍정적인 임상1상 데이터를 업데이트했다. 일단은 의미있는 수치 개선을 확인했으며, 약물을 1회 투여하자 15일차부터 TTR이 90% 이상 감소하는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유한양행,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셀트리온제약, 신규 '이중페이로드' 플랫폼 "첫 공개"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LG화학, 新면역관문 ‘LILRB1 항체’ 전임상 “첫 공개”
노바티스, 레귤러스 17억弗 인수.."신장질환 강화"
AZ, 신경과학 임상개발 "3건 중단..파이프라인 제로(0)"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