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과 GC녹십자(GC Biopharma)는 지난 9일 파브리병 치료제 후보물질 ‘LA-GLA(HM15421/GC1134A)’의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13일 밝혔다. LA-GLA은 한미약품과 GC녹십자가 세계 최초 월1회 피하투여(SC) 용법으로 공동 개발중인 파브리병 치료제다. 두 회사는 지난해 8월 임상1/2상 IND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바 있다. 회사는 임상에서 파브리병 환자를 대상으로 LA-GLA의 안전성,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영국 알케맙 테라퓨틱스(Alchemab Therapeutics)와 루게릭병(ALS,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항체 발굴에 나선다. 릴리는 지난 9일(현지시간) 알케맙과 ALS를 적응증으로 하는 항체 발굴을 위한 딜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릴리는 알케맙에 비공개 계약금을 지급했으며 계약에 따라 이후 발굴, 개발, 상업화 등에 따른 마일스톤과 판매에 따른 로열티 등을 지급한다. 이번 딜의 최대 마일스톤 규모 등도 공개하지 않았다. 항체의 구체적인 타깃항원 등도 밝히지 않았으며 두 회사는 최대 5개 타
사노피(Sanofi)가 다발성골수종 영역에서 J&J를 따라잡기 위한 움직임으로, CD38 항체 ‘사클리사(Sarclisa, isatuximab)’ 피하투여(SC)의 임상3상에서 성공했다. 사노피는 지난 9일(현지시간) 사클리사 SC제형의 IRAKLIA 다발성골수종 임상3상에서 1차 종결점을 달성했다고 밝혔으며, 올해 상반기 미국과 유럽에 허가서류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미 격차는 상당히 벌어진 상태이다. 앞서가는 J&J는 지난 2020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다발성골수종 블록버스터 CD38 항체 ‘다잘렉스(Darzalex
HLB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인 베리스모 테라퓨틱스(Verismo Therapeutics)는 혈액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CD19 타깃 CAR-T 후보물질 'SynKIR-310'의 임상1상 첫 환자 투여를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SynKIR-310의 첫 환자 투여는 미국 사라 캐논 연구소(SCRI)의 콜로라도 혈액암 연구소(CBCI)에서 진행됐다. 이번 CELESTIAL-301 임상1상은 기존 CAR-T 치료를 받은 적이 있거나 CAR-T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재발성/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NHL) 환자 최대 18명을
유한양행(Yuhan)이 면역항암제 개발 전문회사 박셀바이오(Vaxcell Bio)와 지난 10일 반려견 전용 유선종양 면역항암제 '박스루킨-15'의 마케팅과 판매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박셀바이오의 박스루킨-15는 지난해 8월 국내 최초로 반려견 전용 유선종양 면역항암제로 품목허가를 받았다. 지난 12월에는 적응증을 림프종으로 확대하기 위한 품목허가 확대 신청서를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제출한 상태이며 추가적인 적응증 확대를 위한 연구도 별도로 추진중에 있다. 회사에 따르면 최근 9세 이상의 노령견 비율이
프랑스의 마트파마(MaaT Pharma)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으로 진행한 위장관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GI-aGvHD) 유럽 임상3상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마트파마는 사람의 분변에서 유래한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후보물질 ‘MaaT013’을 개발하고 있다. MaaT013은 약물을 직장에 투여(enema)하는 방식이다. GI-aGvHD 환자를 대상으로 MaaT013 단일투약군을 평가한 이번 임상3상에서 마트파마는 62%의 위장관 반응률(GI-ORR)을 확인했다. 파트파마는 ORR 62%의 결
한독(HANDOK) 자회사 바이오·헬스케어 액셀러레이터 이노큐브(INNOCUVE)가 연세대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와 함께 세브란스-이노큐브 벤처투자조합을 결성해 9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고 13일 밝혔다. 또한 지난달 23일에 중소벤처기업부에 등록을 마쳤다. 세브란스-이노큐브 벤처투자조합은 의약품,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바이오·헬스케어 전 분야에서 혁신 기술을 보유한 국내외 스타트업을 발굴할 계획이다. 세브란스-이노큐브 벤처투자조합은 이노큐브와 연세대 바이오헬스기술지주회사가 보유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협력해 성장 가능성
이중항체에 이중페이로드(dual-payload)를 적용하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약물개발 딜이 첫 포착됐다. ADC 분야에서 이중항체 ADC, 또는 이중페이로드 ADC를 개발하려는 시도도 이제 막 시작단계이다. 이중항체 ADC는 초기 임상 개발 단계이고, 아직까지 이중페이로드 ADC로 임상에 들어간 케이스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두 컨셉을 모두 적용한 ADC 개발 파트너십 딜이 나온 것이다. 중국 바이오사이토젠(Biocytogen)은 지난 7일(현지시간) 아케포디아(Acepodia)와 이중페이로드 이중항체 AD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13일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와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 ‘에피스클리(Epysqli, 프로젝트명 SB12, 성분명 에쿨리주맙)’의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상업화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에피스클리 개발사로서 제품의 생산 및 공급을 담당하고 테바는 미국 내 마케팅 및 영업 활동을 맡을 예정이다. 에피스클리는 미국 알렉시온(Alexion)이 개발한 희귀질환 치료제 ‘솔리리스(SOLIRI
베링거인겔하임(Boehringer Ingelheim)이 시나픽스(Synaffix)와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을 위해 13억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했다. 이번 딜은 베링거가 지난 2023년 9월 NBE 테라퓨틱스(NBE Therapeutics) 주도로 개발하던 ROR1 ADC 임상1/2상을 중단한 이후 공식적으로는 처음 업데이트된 ADC 개발 관련 딜이다. NBE는 베링거가 2020년 인수해 현재 베링거의 ADC 개발을 맡고 있다. 베링거는 지난 9일(현지시간) 론자(Lonza)의 자회사 시나픽스와 ADC 플랫폼 계약을 체결했다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는 12일(현지시간) 미국 파트너사 넥스트큐어(NextCure)와 공동개발하고 있는 B7-H4 항체-약물접합체(ADC) ‘LNCB74(LCB41A)’의 고형암 대상 미국 임상1상 첫 환자 투약이 개시됐다고 밝혔다. 앞서 넥트스큐어는 지난해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LNCB74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은 바 있다. 이번 임상은 리가켐바이오의 미국 자회사 ACB(AntibodyChem Biosciences)의 임상전문가과 협력하에 넥스트큐어가 주도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 셔틀 플랫폼을 개발하는 리스큐어 바이오사이언스(Liscure Bioscience)가 pre-IPO로 200억원을 유치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신규 투자자로 유안타인베스트먼트, 인터밸류파트너스, 디티앤인베스트먼트, IBK증권, 이지스자산운용 등이 참여했고, 기존 투자자로 인트론바이오, 로이투자파트너스, 뮤어우즈벤처스, 유경PSG자산운용 등이 참여했다. 리스큐어는 이번 투자금을 간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LB-P8’의 미국 임상2상 진행과 글로벌 제약사들과 BBB셔틀
이수그룹 계열사 이수앱지스(ISU ABXIS)는 ErbB3 항체 'ISU104'를 적용한 CAR-NK 약물 ‘ISU104-CAR-NK’로 유방암 마우스모델에서 종양크기의 감소를 확인한 내용의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CII(Cancer Immunology Immunotherapy, IF:4.6)에 게재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이수앱지스와 김석호 동아대 의생명과학과 교수팀이 공동으로 진행했다. 이수앱지스는 ISU104-CAR-NK를 유방암 세포주를 이식한 마우스모델에 처리해 효능, 안전성 등을 확인했다. 그 결과 암세포가 사
새해 연초에도 비만 붐은 계속되며 베르디바 바이오(Verdiva Bio)가 중국에서 도입한 임상단계 에셋으로 시리즈A 펀딩에서 4억1100만달러의 대규모 자금을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GSK에 지난해 1월 TSLP 항체를 개발하는 아이올리스 바이오(Aiolos Bio)를 총 14억달러에 매각한 팀이 다시 비만으로 뭉친 것으로, 이번에 고른 키워드는 주1회 투여(once-weekly) 경구용 GLP-1과 경구용 아밀린(amylin) 치료제이다. 앞서 아이올리스는 중국 항서제약(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
IGM 바이오사이언스(IGM Biosciences)가 인력의 73%를 감원하고 리드에셋을 포함한 주요 프로그램 개발을 중단한다. 지난해 9월 회사의 CEO, 최고과학책임자(CSO), 최고의학책임자(CMO) 등 3명의 주요 경영진이 사퇴하고 암을 제외한 자가면역질환에 포커싱해 IgM 항체를 개발하기로 전략을 변경한 이후, 4달여만에 다시 난관에 봉착했다. IGM은 지난 9일(현지시간) 자가면역질환 프로그램 전략을 업데이트하며 회사의 리드 에셋인 CD20xCD3 T세포 인게이저(TCE) ‘임보타맙(imvotamab, IGM-2323)
LG화학(LG Chem)은 10일 PN(Polynucleotide; 폴리뉴클레오티드)성분 스킨부스터 ‘비타란(HP VITARAN, 수출명 HP Cell VITARAN i)’ 태국 판매를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태국법인의 직판망을 바탕으로 2021년 태국에 첫 선을 보인 미용필러 ‘이브아르(YVOIRE)’에 이어 에스테틱 제품군을 확장한 것으로 두 제품 간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태국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회사에 따르면 비타란은 지난해 재생의학기술 연구 및 제조기업인 ‘비알팜’에서 도입한 스킨부스터 의료기기로 주사제형, 고품질
'AAV' 뉴라클제네틱스, 시리즈C 261억..이연제약 최대주주
서밋, 'PD-1xVEGF' 폐암3상 세부 "의문가중..OS 미충족"
AZ "마침내", '타그리소 병용' 폐암1차 OS 도출.."경쟁↑"
머크, ‘B7-H3 ADC’ 소세포폐암 2상 “ORR 48.2%”
그래비티랩스, 시리즈A 180억 유치.."디지털 헬스케어"
삼성바이오, 美 제약사와 1.8조원 "CMO 수주계약 체결"
J&J, '리브리반트 병용’ 폐암 1차 "타그리소比 내성 줄여"
서밋, PD-1xVEGF 폐암3상 세부 "의문가중..OS 미충족"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루닛, 페루 AI 암 조기진단 구축사업 착수..외교부 사업선정
차백신연구소, SML바이오팜과 ‘mRNA백신 개발' MOU
한미약품, ‘롤론티스’ 중동 진출..사우디 ‘타북’과 공급계약
GC녹십자, 혈장분획제제 접근성제고 전략 “GBC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