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는 25일 별도기준 잠정실적으로 올해 2분기 매출액 1577억원, 영업이익 71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각각 2.3% 증가, 18.9%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79억원으로 전년 대비 63.1% 증가했다. 회사에 따르면 ETC(전문의약품) 부문은 영업환경 악화로 처방의약품 일부 품목 매출이 감소했지만 그로트로핀 성장으로 전년동기 대비 5.3% 증가한 1080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해외사업 부문은 캔박카스(캄보디아) 매출의 기저효과로 전년 대비 7.8% 감소한 377억원을 기록했다. R&D
휴온스그룹의 건강기능식품 전문기업 휴온스푸디언스는 24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신임 대표로 전 휴메딕스 경영관리본부장 손동철 상무를 선임했다고 25일 밝혔다. 손 대표는 1975년생으로 경희대 경영대학원(MBA)를 졸업했다. 손 대표는 1999년 휴온스그룹에 사원으로 입사한 후, 휴온스, 휴메딕스의 기업공개(IPO)를 주도하고, 휴엠앤씨의 재상장을 성공시키는 등 휴온스그룹의 성장에 기여했다. 손동철 휴온스푸디언스 대표는 “휴온스푸디언스의 재무 건전성 강화를 이끌고 한층 강화된 체계적 경영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겠다”며 “전문화된 R
코넥스트(CONNEXT)는 콜라겐분해효소 후보물질 ‘CNT201’의 듀피트렌구축(Dupuytren’s contracture) 호주 임상1/2상에서 첫 환자투여를 시작했다고 25일 밝혔다. 듀피트렌구축 질환은 손바닥 피부와 힘줄 사이의 근막에 콜라겐에 의한 섬유화가 진행되면서 손가락이 굽은 채 고정되는 질환이다.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근막절제술과 같은 수술 또는 콜라겐분해효소 주사제를 통해 증상을 개선시키고 있다. 이번 임상1/2상은 호주 내 3개 병원에서 듀피트렌구축 환자를 대상으로 콜라겐분해효소 후보물질 CNT201를 4가
GSK가 핵심 경구용 이중요법 HIV 치료제인 ‘도바토(Dovato)’와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dnces)의 삼중요법 HIV 치료제 ‘빅타비(Biktarvy)’를 직접비교한 시판후 임상4상에서 체중증가 부작용을 더욱 줄인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빅타비는 길리어드의 대표적인 HIV 치료제로, 시장에서 매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제품이다. 빅타비는 지난 2018년, GSK의 도바토는 2019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았다. GSK는 도바토가 오는 2026년까지 회사의 매출 성장에 기여하는 주요 H
J&J(Johnson & Johnson)가 우울증 치료제로 NMDA 길항제 ‘스프라바토(Spravato, esketamine)’ 단독요법에 대한 보충신약허가신청서(sNDA)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 앞서 스프라바토는 2개 이상의 기존 항우울제로 치료되지 않는 우울증(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TRD) 치료를 위해 경구용 항우울제와 병용요법으로 2019년 FDA로부터 첫 승인을 받았다. 그 다음해 급성 자살충동 또는 행동을 보이는 주요우울장애(MDD)의 우울증상 치료제로 병용요법의 적응증
셀렉타 바이오사이언스(Cellectar Biosciences)가 인지질-방사성접합체(phospholipid radiotherapeutic conjugate, PRC) 후보물질 ‘아이오포포신(Iopofosine I 131)’의 희귀혈액암 허가(pivotal) 임상2상에서 주요반응률(MMR) 56.4%로 1차종결점을 충족시킨 결과를 내놨다. 기존 약물로 2번이상(heavily treated) 치료받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WM)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결과로, 치료옵션이 제
SK바이오사이언스(SK Biosciences)는 25일 미국 바이오기업 선플라워 테라퓨틱스(Sunflower Therapeutics)에 200만달러(한화 27억8000만원)를 투자하는 조건부 지분인수계약(Simple agreement for future equity, SAFE)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AFE는 현재 기업가치 산정이 어려운 초기 스타트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고 향후 요건을 갖춘 후속 투자가 있을 때 약정된 조건대로 지분 비율을 결정하는 인수방식이다. 후속 투자가 이뤄지면 기업가치 또한 높아지기 때문에 SAFE를 통한
JW생명과학(JW Life Science)의 자회사인 JW바이오사이언스(JW Bioscience)는 25일 진단분석 장비 전문기업 바이오이랩(E-LAB Biological Science & Technology Co., BIOELAB)과 전자동 생화학 분석장비 독점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JW바이오사이언스는 바이오이랩의 전자동 생화학 분석장비를 국내에 독점 공급하는 한편, 자체 R&D 기술력을 통해 개발한 진단시약의 판매 확대에 나선다. 바이오이랩은 생화학 분석장비 및 진단시약을 전문으로 제조하는 업체로 중
피노바이오(Pinotbio)는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현지시간) 3일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2nd ADC Toxicity Summit’에서 자체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DC) 약물 ‘PBX-7’ 시리즈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를 공개했다고 25일 밝혔다. 피노바이오는 이중기전 약물을 활용한 ADC라는 주제로 그동안 진행한 이중 작용기전(MoA) 페이로드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중기전’은 하나의 약물이 두가지 기전으로 동시에 작용함으로써 약효를 내는 것을 의미한다. 피노바이오의 PBX-7 시리즈 페이로드는 기존 캄토테
독일 그뤼넨탈(Grünenthal)이 지난 22일(현지시간) 2억5000만달러에 미국의 발리노르 파마(Valinor Pharma)를 인수하며 오피오이드 유발 변비(opioid induced constipation, OIC) 경구 치료제 ‘모반틱(Movantik, naloxegol)’의 글로벌 판권을 사들였다고 밝혔다. 모반틱은 흔히 마약성 진통제라고 불리는 오피오이드계열 진통제 복용자의 50% 이상이 겪는 부작용인 심한 변비(doi: 10.2147/DDDT.S221278)의 치료제로 처방되는 약물이다. 그뤼넨탈과 발리노르에 따르면
미국 머크(MSD)가 영아의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중인 장기지속형 단일항체 ‘클레스로비맙(clesrovimab, MK-1654)’의 임상2b/3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도출하며 임상을 마무리했다. 클레스로비맙은 RSV 유행기간에 영아에 직접 1회 투여하여 RSV 감염을 예방하는 약물이다. 현재까지 영유아 RSV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클레스로비맙처럼 영유아에 직접 예방항체를 투약하는 방법과 산모에게 백신을 투약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지난 1998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시나
파멥신(PharmAbcine)은 24일 코스닥시장위원회가 파멥신 주권의 상장폐지 여부의 건을 심의한 결과, 파멥신 주권의 상장폐지를 심의, 의결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상장폐지에 대한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15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파멥신은 이의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의신청이 없는 경우 이의신청 만료일 경과 후 상장폐지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파멥신의 이의신청이 있는 경우, 이의신청을 받은 날로부터 20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코스닥시장위원회를 개최해 상장폐지 여부 또는 개선기간 부여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된다.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창립 이래 최초로, 상반기에 매출 2조원을 돌파했다. 대규모 수주에 기반한 4공장의 원활한 램프업(Ramp-up, 가동률 증가), 바이오시밀러 허가에 따른 마일스톤 수령, 우호적인 환율 환경에 따른 결과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4일 연결기준으로 2024년 상반기 매출 2조1038억원, 영업이익 6558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32.6%, 영업이익은 47.3% 각각 증가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연결기준 2분기 매출은 1조1569억원, 영
서드아크바이오(Third Arc Bio)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1억65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서드아크는 올해 1월까지 11년여동안 J&J(Johnson & Johnson)에서 종양학 R&D 글로벌 책임자를 역임했던 피터 레보비츠(Peter F. Lebowitz) 박사가 회사의 대표를 맡고 있으며, 애브비(AbbVie)의 블록버스터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스카이리지(Skyrizi, risankizumab)’의 공동개발자로 알려진 산자야 싱(Sanjaya Singh) 박사가 지난 2022년 설립한 바이오텍이다.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Ionis Pharmaceuticals)이 희귀 신경질환인 안젤만증후군 타깃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약물의 긍정적인 임상1/2상 세부 데이터를 공개하며, 내년에 임상3상을 진행하겠다는 결정을 알렸다. 아이오니스가 안젤만증후군(Angelman syndrome)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UBE3A-ATS 타깃 ASO 약물인 ‘ION582’는 지난 5월 공동개발 파트너사인 바이오젠(Biogen)이 옵션권리를 포기한 에셋이다. 그러나 바이오젠이 공동개발을 포기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아이오니스는 ION5
한국거래소는 24일 제3차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민경욱 한국거래소 전문위원을 코스닥시장 본부장(상임이사)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민 본부장의 임기는 이날부터 2027년 7월23일까지 3년이다. 민 본부장은 서강대 경제학과를 거쳐 미국 콜로라도대에서 경영학석사(MBA)를 취득했다. 그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상장관리부장, 경영지원본부 전략기획부장, 본부장보, 전문위원을 역임했다.
유한양행,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셀트리온제약, 신규 '이중페이로드' 플랫폼 "첫 공개"
릴리, ‘GLP-1/GIP’ 폭발적 증가 "1Q 매출, 전년比 45%↑”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노바티스, 레귤러스 17억弗 인수.."신장질환 강화"
AZ, 신경과학 임상개발 "3건 중단..파이프라인 제로(0)"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