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입원환자 모니터링 플랫폼 ‘씽크(thynC™)’의 누적 수주잔고가 지난달 30일 기준 1만3000개 병상을 돌파했다고 1일 밝혔다. 씨어스는 올해 상반기까지 누적 3000개 병상에 씽크를 설치했고, 하반기에는 1만개가 넘는 병상을 신규 수주했다. 회사는 확보한 수주 병상에 빠르게 씽크를 설치해 연내 국내 주요 병동에 대한 보급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한 4분기에도 적극적인 영업활동을 통해 신규 병상 수주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씽크는 환자의 심전도, 산소포화도, 혈압, 체온 등
멧세라(Metsera)가 화이자(Pfizer)와 피인수 딜을 체결한지 1주일만에, 리드 GLP-1 에셋의 임상2b상 탑라인 결과를 도출했다. 멧세라는 이번에 GLP-1 수용체 작용제(agonist) ‘MET-097i’의 주1회 피하주사(SC) 방식을 평가하는 임상2b상에서, 투약 28주차에 위약군과 비교해 체중을 최대 14.1% 줄인 데이터를 확인했다. 이번 임상2b상 결과, 업계 선두인 일라이릴리(Eli Lilly)의 GIP/GLP-1 이중작용제 ‘젭바운드(Zepbound, tirzepatide)’와 유사한 수준의 체중감소 효능
앱클론(AbClon)은 제3자배정 방식으로 360억원 규모의 영구전환사채(CB)와 전환우선주(CPS) 발행을 결정했다고 1일 밝혔다. 앱클론이 이번에 발행하는 영구 CB는 만기 30년에 전환사채권자의 상환권이 존재하지 않아 회계상 자본으로 분류된다. 규모는 252억원이며, 자본금 증가처럼 자본 총계가 증가해, 재무제표의 자기자본 확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번 CB의 표면 이자율은 0%다. 또한 상환 의무가 없는 CPS는 108억원 규모로 발행된다. CPS 역시 자본으로 회계 처리돼 재무구조 개선에 기여한다고 덧붙였다. 이번에
대웅제약(DAEWOONG)과 대웅테라퓨틱스(Daewoong Therapeutics)는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의 마이크로니들 패치(DWRX5003)의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안전성과 약동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노보노디스크의 비만·당뇨 치료제인 ‘오젬픽’과 ‘위고비’ 주사제 대비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확인하게 된다. 대웅의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피부에 부착하면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으로 구성된 미세바늘이 녹아 약물을 피부 진피층으로 직접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오는 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개최되는 유럽 종양학회(EESMO 2025)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스코프(Lunit SCOPE)’를 활용한 연구결과 2건을 발표한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학회에서는 정상불일치복구형(pMMR) 전이성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PD-L1 면역관문억제제 ‘아테졸리주맙(티쎈트릭)’ 병용요법의 치료 효과를 비교한 종양미세환경(TME) 기반 AI 바이오마커 연구가 구두발표로 채택됐다. 이어 포스터 발표를 통해 AI 기반 면역표현형(I
종근당(Chong Kun Dang Pharmaceutical)은 1일 바이엘 코리아(Bayer Korea)와 만성 심부전치료제 ‘베르쿠보(Verquvo, 성분명 베리시구앗)’의 국내 독점 판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종근당은 10월부터 국내 병의원에서 베르쿠보의 유통, 영업, 마케팅 등을 담당하게 된다. 베르쿠보는 좌심실 박출률이 45% 미만으로 저하된 증상성 만성심부전의 2차치료제로, 수용성 구아닐산 고리화효소(sGC, soluble Guanylate Cyclase) 자극제 중 처음으로 만성심부전 치료제로 허가된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분석생산(CDAMO) 프로티움사이언스(Protium Science)가 경동제약(KyungDong pharm)과 차세대 바이오시밀러 위탁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프로티움사이언스의 신약 및 바이오시밀러 기술력을 기반으로, 경동제약은 기존의 합성의약품 중심에서 바이오의약품 영역으로 연구개발 포트폴리오를 확대를 지원하게 된다. 두 회사는 지난달 30일 경동제약이 추진하는 바이오시밀러 프로젝트에 대한 위탁개발 예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말 프로티움과 경동제약이 항체의약품의 개발을 목표로 체결
미국 프랙틸헬스(Fractyl Health)의 내시경 시술인 ‘레비타(Revita)’가 GLP-1 약물 투여를 중단한 비만 환자의 체중을 감소시키며 요요현상을 방지한 결과를 내놨다. 해당 소식이 발표된 당일, 프랙틸의 주가는 32% 이상 급등했다. 프랙틸에 따르면 레비타 시술은 가열된 유체를 이용한 열수절제술(hydrothermal ablation)을 기반으로 십이지장 점막을 재구성해(duodenal mucosal resurfacing) 대사기능과 인슐린 저항성을 정상화하고, 체중을 유지하도록 하는 게 목적이다. 열수절제술은 자궁
알테오젠(Alteogen)이 미국 머크(MSD)로부터 베라히알루로니다제 알파(berahyaluronidase alfa) 기반 ‘ALT-B4’ 관련 마일스톤 2500만달러(350억원)를 수령할 예정이라고 1일 공시했다. 계약서에 따라 알테오젠은 향후 30일이내 머크로부터 해당 마일스톤을 수령하게 된다. 이는 ALT-B4가 적용된 PD-1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 피하투여(SC) 제형의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시판허가 승인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것이다. 알테오젠은 지난 2020년 머크와 ATL-B4에 대한 비독점 라이선스딜을 체
보령(BORYUNG)은 지난달 30일 사노피(Sanofi)와 화학항암제 ‘탁소텔(Taxotere, 성분명: 도세탁셀)’을 1억7500만유로(2878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총 계약규모 1억7500만유로 가운데 1억6100만유로(2648억원)는 거래종결일에 지급하며, 1400만유로(230억원)는 설정된 조건을 달성할 시 지급되는 마일스톤이다. 보령은 구체적인 거래종결일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계약으로 보령은 한국, 중국, 독일, 스페인을 포함한 19개국과 남미 및 중동 지역에서 탁소텔의 사업권을 확보했다.
아스트라제네카(AZ)와 다이이찌산쿄의 HER2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Enhertu, T-DXd)’가 이번엔 초기 유방암 치료제 수술후 보조요법(adjuvant) 세팅의 임상3상에서 ‘캐싸일라(Kadcyla, T-DM1)’를 이긴 결과를 내놨다. 엔허투는 이제 1차치료제를 넘어 더 초기 치료제 세팅으로 옮겨가고 있으며, 이는 엔허투가 초기 라인에서 긍정적 탑라인을 낸 2번째 임상3상 결과이다. 앞서 지난 5월에는 수술전 보조요법(neoadjuvant)에서 엔허투가 표준요법 대비 1차종결점인 병리학적 완전관해(pCR)를
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 바이오텍 알지노믹스(Rznomics)가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30일 밝혔다. 알지노믹스는 지난 2017년 설립돼 RNA 치환효소(RNA trans-splicing ribozyme) 기반 RNA 편집 기술을 이용해 항암제와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알지노믹스는 연내 상장을 목표하고 있다. 이번 코스닥 상장을 통해 적응증 확장, 임상개발 및 상업화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상장주관사는 NH투자증권과 삼성증권이다. 알지노믹스는 신설된 초격차 기술특례제도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지난 2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직접 상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NYSE에 주식을 직접 상장하면서, 기존에 미국 나스닥(Nasdaq)에 미국예탁증서(ADR) 방식으로 상장된 것을 대체하게 된다. 아스트라제네카에 따르면 영국 런던증권거래소(LSE)와 스웨덴의 나스닥 스톡홀름(STO) 시장에서도 아스트라제네카 주식을 계속 거래할 수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이사회는 이번 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통해 회사는 ‘조화로운 상장구조(harmonised listi
HLB테라퓨틱스(HLB Therapeutics)는 30일 미국 자회사 리젠트리(ReGenTree)가 Tβ4(thymosin beta 4) 점안제 ‘RGN-259’로 진행중인 SEER-2 신경영양성각막염(neurotrophic keratopathy) 미국 임상3상의 피험자 모집을 유럽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회사는 이번 유럽지역 확대가 임상3상의 탑라인 결과 도출을 앞당기는 전략에 따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안기홍 HLB테라퓨틱스 대표를 비롯한 주요 임원들은 최근 유럽 확장에 참여할 유럽 주요 임상사이트의 연구책임자(PI
오노파마슈티컬(Ono Pharmaceutical)이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의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cenobamate)’의 일본 허가신청서를 제출했다. SK바이오팜은 오노파마가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에 기존 항경련제에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뇌전증 치료제로 세노바메이트의 신약허가신청(NDA)을 제출했다고 30일 밝혔다. 일본의 뇌전증 환자 수는 약 100만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30%는 기존 항경련제로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NDA 제출은 일본 환자에게
바이오젠(Biogen)이 이제는 AAV(adeno-associated viruse)에 대한 연구개발을 끝낸다. AAV 기반 유전자치료제는 불과 4~5년전만 하더라도, 빅파마의 M&A 딜이 가장 활발했던 영역이다. 바이오젠은 일찍이 지난 2023년부터 대규모 파이프라인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유전자치료제에 대한 R&D 우선순위를 낮춰왔기에, 자체만으로는 놀라운 소식은 아니다. 바이오젠은 최근까지 혈뇌장벽(BBB) 투과율을 높인 새로운 AAV 캡시드(capsid)에 대한 발표를 진행하며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30일 업계에 따르면 이
리가켐, 첫 공개 '넥틴-4 ADC' ESMO서 "경쟁력 발표"
유한양행 "첫 적응증", 'IgE Trap' CSU 2상 "IND 승인"
에임드, 베링거에 '임상前' TOP1 ADC "9.9억弗 L/O"
머크, '키트루다SC vs IV' 2상 "65%가 피하주사 선호"
아이엠바이오, pre-IPO 422억 펀딩.."내년 상반기 IPO"
아스텔라스, 'CLDN18.2' 췌장암 1차 2상 "OS개선 실패"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아이젠사이언스, 박현선 부사장·박억 상무 영입
오름테라퓨틱, 'DAC 기술총괄'에 도린 토오더 박사 영입
[기고]'조용한 수호자' Treg 노벨상 "면역치료의 진화"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지아이이노, 유한양행서 'IgE Trap' 마일스톤 55억 수령
대원제약, 'P-CAB 신약' 국내 3상 "IND 승인"
차백신연구소, ‘대상포진 백신’ 국내 2상 “IND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