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토텔릭바이오(Autotelic Bio)는 CHI3L1 타깃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후보물질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5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선도단계 지원과제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과제는 초기단계의 유효물질을 후보물질 단계로 진입하고 선도물질을 도출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CHI3L1은 체내에 존재하는 당단백질로 면역세포 활성화, 대식세포 분극화, 종양미세환경 조성 등 면역과 염증조절에 관여해 염증성 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암 등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과제
아스트라제네카(AZ)가 바로 직전 미국 머크(MSD)가 실패한 EGFR 변이 폐암 영역에서, TROP2 항체-약물접합체(ADC) ‘다트로웨이(Datroway, Dato-DXd)’의 미국 가속승인(accelerated approval)을 얻어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가 HER2 ADC 블록버스터 ‘엔허투’에 이어 개발하고 있는 야심작이다. 그동안 TROP2 ADC는 전체생존기간(OS) 이슈로 불확실성을 겪고 있던 영역으로, 아스트라제네카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러한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국민의 생체세포(living cells)를 중국 등의 적대국으로 반출하는 과정이 포함된 새로운 임상시험을 중단시켰다고 밝혔다. FDA는 이 ‘관행(practice)’이 바이든 행정부에 의한 생물보안규정 예외조항에 따라 시행되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새로운 임상의 중단과 함께 이 예외조항과 관련된 기존의 모든 임상시험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민감한 생물학적 물질의 사용에 대한 완전한 투명성, 윤리적 동의, 미국내에서의 취급을 기업이 입증하도록 요구할 예정이며, 이
대웅제약(DAEWOONG)은 지난 3일부터 6일(현지시간) 그리스 테살로니키에서 개최된 유럽 집단연구학회(PAGE 2025)에서 SGLT-2 저해제 계열의 제2형 당뇨병(T2D) 치료제인 ‘엔블로(Envlo, enavogliflozin)'의 집단약동학 모델링 연구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임상약리학과와 공동으로 총 446명의 한국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물이 인체내에서 어떻게 흡수되고 이동하며 배출되는지를 수학적 모델로 예측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나이는 약물의 체내 배출속도에, 식
인벤티지랩(Inventage Lab)은 지난 20일부터 23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 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2025) 연례 학술대회에 참가해, 차세대 비만 치료제 플랫폼 기술을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 인벤티지랩은 GLP-1 수용체 작용제인 세마글루타이드(위고비) 및 터제파타이드(젭바운드)를 기반으로 한 1개월 지속형 주사제 ‘IVL3021’, ‘IVL3024’와 세마글루타이드 경구제 ‘IVL3027’의 전임상 데이터를 공개
에이비온(Abion)은 24일 비공개 회사에 클라우딘3(CLDN3) 항체 ‘ABN501’에 대한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ABN501 이외에 4개의 추가적인 단백질 표적 항체도 계약 대상이다. 에이비온은 ABN501에 대한 계약금 500만달러를 지급받으며, 계약 상대방이 ABN501 이외에 4개의 다른 표적 항체치료제를 모두 개발할 경우 각 타깃당 500만달러를 추가로 지급받게 된다. 에이비온은 공시에서 5개 항체를 모두 합친 전체 계약금을 2500만달러라고 기재했다. 다만 상기 금액
HLB테라퓨틱스(HLB Therapeutics)는 미국 자회사인 리젠트리(ReGenTree)가 진행한 신경영양성각막염(NK) 치료제 후보물질 'RGN-259'의 유럽 임상3상에서 통계적 유효성을 확보하지 못했다고 24일 밝혔다. 리젠트리는 전날 SEER-3 유럽 임상3상을 수행한 임상시험수탁기관(CRO)으로부터 탑라인(topline) 1차 평가지표 결과를 전달받았으며, 1차 평가변수인 4주 후의 RGN-259 투약군과 위약군의 완치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임상 결과 RGN-259 투약군에서 다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올해 하반기 임상1상 시작을 예정하고 있는, 비인크레틴(non-incretin) UCN2 유사체 ‘HM17321’이 영장류 시험에서 체중을 줄이면서 근육을 늘린 결과를 공개했다. 체중감량 질(weight loss quality, WLQ)을 개선하기 위한 접근법이다. 한미약품은 미국 시카고에서 지난 20일부터 23일(현지시간) 열린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서 HM17321가 비만에서 단독투여 및 병용투여 치료제로서 차별성을 보여주는 연구결과와, 당뇨병으로 적응증 확장 가능
에이비엘바이오(ABL Bio)가 아이맵(I-Mab)과 공동개발하는 클라우딘18.2(CLDN118.2)x4-1BB 이중항체 ‘지바스토믹(givastomig, ABL111)’의 위암 1차치료제 임상1b상 결과가 공개된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아이앱이 내달 2일부터 5일(현지시간)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유럽종양학회 소화기암(ESMO GI 2025)에서 지바스토믹 병용요법 임상1b상 결과를 미니 구두발표(mini oral presentation) 형식으로 발표한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결과는 ‘전이성 위식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
신라젠(SillaJen)은 지난 12일부터 15일(현지시간)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유럽혈액학회(EHA 2025)에서 TTK/PLK1 저해제 ‘BAL0891’의 단독투여 및 BCL-2 저해제 ‘베네토클락스(venetoclax)’와 병용투여시 AML 세포사멸이 증가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신라젠은 이와함께 지난 4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승인받은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임상의 연구개요(trial in progress)도 소개했다. EHA 초록에 따르면 AML 세포주를 사용한 in vit
셀비온(CellBion)은 PSMA 타깃 방사성의약품치료제(RPT) ‘177Lu-DGUL(177Lu-pocuvotide)’과 미국 머크(MSD)의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국내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신청한 임상1상은 전이성 거세저항성전립선암(mCRPC)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서울대병원에서 안전성, 유능 및 약동학을 평가할 계획이다. 효능 지표로는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기간(rPFS) △1년 전체생존기간(OS) △전체반응률(ORR) △질병통제율(D
핀테라퓨틱스(Pin therpeutics)는 지난 16일(현지시간) 글로벌 최대 바이오행사 바이오 인터내셔널 2025 (BIO USA 2025)의 기업발표에서 E3 리가아제(ligase) 발굴 플랫폼 ’PIN E3’와 신규 E3 리가아제 'Ligase 2(타깃 비공개)'를 공개했다. 핀테라퓨틱스는 자사의 E3 리가아제 스크리닝, 결합력 및 활성 분석법, 최적화 기술 등을 바탕으로 PIN E3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신규 E3 리가아제인 Ligase 2를 발굴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Ligase 2에 대해 기존 표적단백질분해(targ
일동홀딩스(Ildong Holdings)가 계열사인 일동바이오사이언스(Ildong Bioscience)의 지분 47.6%를 아이비케이키움 사업재편 사모투자합자회사를 비롯한 기관 투자자에 300억원에 매도한다고 23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달 중 1차분에 대한 120억원을 먼저 납입받고 나머지 2차분에 대해서는 7월말까지 정산 처리가 완료될 예정이다. 이번 지분매각 후 일동홀딩스는 일동바이오사이언스의 지분 22.5%를 보유하게 되며, 특수관계인을 포함해 경영권은 그대로 유지한다. 일동홀딩스측은 이번 일동바이오사이언스 주식 매각
버텍스 파마슈티컬(Vertex Pharmaceuticals)이 동종유래 췌도세포(islet cell therapy) 치료제의 제1형 당뇨병 임상1/2상의 업데이트 결과, 12명 중 10명(83%)의 환자가 투약 1년차에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하지 않는 비의존(insulin free)을 달성했다. 버텍스는 지난해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4)에서 이번 1/2상 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당시에는 12명 중 1년 이상 추적관찰을 진행한 3명의 환자가 인슐린 비의존을 달성했었다. 그리고 이번에 12명 전원에 대한 추적관찰 결과를 업
스칼라락(Scholar Rock)이 마이오스타틴(GDF8) 항체로 진행한 비만 임상2상에서,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젭바운드(Zepbound)’와 병용투여했을 때 근육량 감소를 51.7% 줄인 긍정적인 개념입증(PoC) 데이터를 도출했다. 앞서 스칼라락은 지난해 10월 해당 마이오스타틴 항체인 ‘아피테그로맙(apitegromab)’으로 진행한 척수성근위축증(SMA) 임상3상에 성공하며 주가가 350% 이상 폭등한 바 있다. 그리고 이번에 업계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비만 적응증에서도 긍정적인 초기결과를 확보한 것이다
동아에스티(Dong-A ST)와 미국 자회사 메타비아(MetaVia)는 지난 22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서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DA-1241’과 FGF21 유사체 ‘에프룩시퍼민(efruxifermin)’의 병용요법에 대한 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DA-1241은 GPR119 작용제(agonist) 기전의 약물로 지난해 12월 MASH 추정 환자 대상 임상2a상을 완료했다. 에프룩시퍼민은 미국 아케로 테라퓨틱스(Akero Therapeuti
HLB제약, 중앙연구소장에 강성권 박사 선임
에이비엘, 인투셀 'TOP1 ADC' 계약해지.."특허이슈"
브릿지바이오. '파라택시스 코리아'로 사명변경
종근당바이오, '보툴리눔 톡신' 국내 임상3상 결과공개
CJ바이오사이언스, 윤상배 대표 내정.."천종식 고문"
퓨쳐켐,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 국내 3상 “최종결과”
입셀, 3개 기관과 ‘iPSC 분양’ 60억 계약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큐리언트, '텔라세벡' 호주 임상서 "80명 추가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