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셀비온(CellBion)은 PSMA 타깃 방사성의약품치료제(RPT) ‘177Lu-DGUL(177Lu-pocuvotide)’과 미국 머크(MSD)의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병용요법을 평가하는 국내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에 신청한 임상1상은 전이성 거세저항성전립선암(mCRPC)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서울대병원에서 안전성, 유능 및 약동학을 평가할 계획이다. 효능 지표로는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기간(rPFS) △1년 전체생존기간(OS) △전체반응률(ORR) △질병통제율(D
핀테라퓨틱스(Pin therpeutics)는 지난 16일(현지시간) 글로벌 최대 바이오행사 바이오 인터내셔널 2025 (BIO USA 2025)의 기업발표에서 E3 리가아제(ligase) 발굴 플랫폼 ’PIN E3’와 신규 E3 리가아제 'Ligase 2(타깃 비공개)'를 공개했다. 핀테라퓨틱스는 자사의 E3 리가아제 스크리닝, 결합력 및 활성 분석법, 최적화 기술 등을 바탕으로 PIN E3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신규 E3 리가아제인 Ligase 2를 발굴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Ligase 2에 대해 기존 표적단백질분해(targ
일동홀딩스(Ildong Holdings)가 계열사인 일동바이오사이언스(Ildong Bioscience)의 지분 47.6%를 아이비케이키움 사업재편 사모투자합자회사를 비롯한 기관 투자자에 300억원에 매도한다고 23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달 중 1차분에 대한 120억원을 먼저 납입받고 나머지 2차분에 대해서는 7월말까지 정산 처리가 완료될 예정이다. 이번 지분매각 후 일동홀딩스는 일동바이오사이언스의 지분 22.5%를 보유하게 되며, 특수관계인을 포함해 경영권은 그대로 유지한다. 일동홀딩스측은 이번 일동바이오사이언스 주식 매각
동아에스티(Dong-A ST)와 미국 자회사 메타비아(MetaVia)는 지난 22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에서 대사이상관련 지방간염(M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DA-1241’과 FGF21 유사체 ‘에프룩시퍼민(efruxifermin)’의 병용요법에 대한 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DA-1241은 GPR119 작용제(agonist) 기전의 약물로 지난해 12월 MASH 추정 환자 대상 임상2a상을 완료했다. 에프룩시퍼민은 미국 아케로 테라퓨틱스(Akero Therapeuti
신라젠(SillaJen)은 1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항암 후보물질로 개발중인 TTK/PLK1 저해제 ‘BAL0891’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IND) 변경 승인을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변경신청 사유는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용량증량 하위시험에서 사용되는 병용약물을 항암제 '카보플라틴(carboplatin)'에서 베이진(BeiGene)의 PD-1 항체 ‘테빔브라(Tevimbra, 성분명: tislelizumab)로 변경하기 위해서다. 신라젠은 지난 1월 베이진과의 계약을 통해 테빔브라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미국과 한국에서 고형암
차바이오텍 계열사 차백신연구소(CHA Vaccine Institute)는 만성 B형간염 치료백신 후보물질 ‘CVI-HBV-002’의 임상2b상 결과보고서(clinical study report, CSR)를 수령했다고 23일 밝혔다. 앞서 차백신연구소는 지난 2019년 10월 CVI-HBV-002의 국내 임상2b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차백신연구소는 임상2b상에서 항바이러스제인 ‘테노포비르(tenofovir)’를 투여하고 있는 만성 B형간염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CVI-HBV-002 투여
HLB뉴로토브(HLB NeuroTobe)는 파킨슨병 치료제 후보물질 ‘NT-3’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2025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HLB뉴로토브는 향후 2년간 15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된다. NT-3는 T형 칼슘채널인 CaV3.1 유전자를 억제할 수 있는 ASO(antisense oligonucleotide)를 기반으로 도파민 신경내 칼슘 증가를 차단해 도파민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동시에 뇌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병리학적 흥분성 신호를 줄여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인
펩트론(Peptron)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당뇨병학회(ADA 2025) 연례 학술대회에서 차세대 비만 및 제2형 당뇨병 치료제 후보물질 ‘PTAP’ 시리즈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를 통해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발표에서는 지속적 식욕억제 및 혈당조절 효과를 갖는 ‘PTAP-009’에 더해, 새롭게 발굴한 ‘PTAP-010’의 연구 데이터도 처음으로 함께 공개했다. PTAP-009와 PTAP-010은 모두 변형된 세마글루타이드(GLP-1RA)와 프롤락틴 분비 펩타이드(prolactin-releasing p
국내 바이오·제약기업 CEO의 36.7%가 2025~2026년 인력채용을 확대할 것이라고 답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초입 상황에서 바이오제약업계는 집중적인 관심을 받으면서 높은 밸류에이션을 인정받아 호황기를 누렸는데, 당시 2021년에 실시한 CEO 설문에서 인력채용 확대 응답은 65.3%에 달했다. 이후 2022년 37.7%로 급격하고 떨어졌으며, 2023년 29.6%까지 감소했고, 2024년에는 30.1%로 보합수준에서 머물렀다가 이번 설문에서 본격적으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채용을 축소하겠다는 답변도 2021년 5.5
삼진제약(Samjin Pharm)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세계 최대규모의 바이오 행사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USA 2025)’ 중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구개발 중심의 제약사로 거듭나고 있다고 밝히며 5년내 기술이전 성과를 내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삼진제약은 BIO USA 2025에서 기업발표(company presentation)를 통해 △면역관련 에셋인 SJN314, SJN309 △차세대 항체-약물 접합체(ADC) 플랫폼으로 암 대사기전 타깃 페이로드 기반 'Oncostarve'와 선천면역 활성화 페이로
RNA 기반 유전자치료제 바이오텍 알지노믹스(Rznomics)는 항암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RZ-001’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5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임상 단계 지원과제로 최종 선정돼, 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에 따라 알지노믹스는 향후 2년간 RZ-001의 교모세포종(glioblastoma) 대상 임상시험에 대한 연구개발비를 지원받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치명적인 형태의 신경교종으로, 5년 생존율이 10% 미만에 불과한 난치성 뇌종양이다. 성인에게 가장 흔한 뇌종양 질환
큐리언트(Qurient)는 항암제로 개발하는 Axl/Mer/CSF1R 삼중저해재 ‘아드릭세티닙(adrixetinib, Q702)’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주관하는 2025년 제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임상단계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과제선정에 따라 향후 2년간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cGvHD) 임상시험에 대한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큐리언트는 최근 혈액암 분야 주요 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아드릭세티닙의 새로운 적응증으로 cGvHD를 발굴하고, 올해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1b상 시험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best-in-class’ GLP/GIP/GCG 수용체 삼중작용제(triple agonist)로 개발하는 ‘HM15275’의 임상1상에서 4주차에 위약대비 최대 4.8%의 체중감량을 확인한 결과를 첫 공개했다. 이는 임상1상에서 비만 환자에게 HM15275을 최대 8mg까지 투여한 결과로, 해당 코호트에서는 용량을 점차 늘려(0.5/2/4/8mg) 총 4회 투여했다. 개별 환자별로 봤을 때 약물투여 전 대비 최대 10.64% 체중감량이 관찰됐다. 한미약품은 연내 HM15275 8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가 지난 4월 오토택신(autotaxin, ATX) 저해제 'BBT-877'의 특발성폐섬유증(IPF) 임상2상에 실패한 여파로, 결국 미국 가상자산 헤지펀드에 회사 경영권을 매각한다. 브릿지바이오는 20일 공시를 통해 최대주인 이정규 대표가 파라택시스코리아펀드1(Parataxis Korea Fund 1 LLC) 및 파라택시스홀딩스(Parataxis Holdings LLC)와 유상증자 및 전환사채 발행을 통해 경영권 변경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파라택시스홀딩스는 미국
CAR-T 치료제 개발 바이오텍 큐로셀(Curocell)은 스위스 루가노에서 열린 국제림프종학회(ICML 2025)에서 면역관문억제제 발현을 낮춘 CD19 CAR-T ‘안발셀(anbal-cel)’의 임상2상 최종 결과에서 무진행생존기간(PFS) 6개월를 확인했다고 업데이트했다. 안발셀은 T세포 억제성 면역관문분자인 PD-1과 TIGIT 발현을 낮춘 기술이 적용됐다. 큐로셀은 앞서 해당 B세포 림프종 임상2상 결과에서 전체반응률(ORR) 75.3%와 완전관해(CR) 67.1%를 발표했었고, 이번에 새롭게 PFS 결과가 도출됐다. 이
유한양행(Yuhan)은 20일 오전 서울 대방동 본사 연수실에서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창립 제99주년 기념행사를 가졌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1926년 유일한 박사가 설립한 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제약기업으로 성장해 왔다. 유한양행은 창립 이래 ‘가장 좋은 상품을 만들어 국가와 동포에게 도움을 주자’라는 창업자 유일한 박사의 정신을 계승하며, 우수한 의약품 생산과 국민보건 향상에 꾸준히 기여해 왔다. 이번 창립기념식에서는 장기근속자 표창식을 갖고, 30년, 20년, 10년의 근속사원 160명 등 장기근속자들에게
펩트론, 대사촉진 ‘GLP1-PrRP’ 비만 전임상 “공개”
에이비엘, 'CLDN18.2x4-1BB' 1b상 "ESMO GI 구두발표"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AZ, "머크 실패" EGFR 폐암서 'TROP2 ADC' 美가속승인
에임드바이오, 'A, A' 코스닥 기술성평가 "통과"
오츠카, 中하버서 'BCMAxCD3' TCE "6.7억弗 L/I"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일루미나, 소마로직 4.25억弗 인수.."단백체학 강화"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유한재단 새 이사장에 원희목 서울대 특임교수 선임
툴젠, 종자사업본부장에 성동렬 부사장 영입
[창간설문]韓바이오, 2025 올해의 인물 ‘서정진·김용주’
뉴라클제네틱스, 황반변성 AAV "KDDF 과제선정"
자이메디, 'KARS1 저해제' MASH 비임상 "KDDF 과제"
한미정밀화학, 펩타이드 '차세대 Mpox 백신' 공동개발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