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와이바이오로직스(Y-Biologics)는 9일 자사의 독자적인 항체발굴 플랫폼을 통해 항체-약물접합체(ADC)에 적용할 PD-L1 항체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와이바이오는 시판된 특정 PD-L1 항체와 비교해 내재화율(internalization rate)을 개선한 신규 PD-L1 항체를 발굴했다. PD-L1은 다양한 암종에서 높은 발현을 보이는 반면, 정상 조직에서는 상대적으로 발현이 낮아 면역관문억제제(ICI) 뿐 아니라 ADC 개발을 위한 잠재적 타깃이 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와이바이오는 ADC의 경우
셀트리온(Celltrion)은 서정진 회장이 사재로 500억원 규모, 30만6561주를 장내에서 취득할 예정이라고 9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또한 같은 날 셀트리온그룹의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 그룹내 계열사인 셀트리온스킨큐어도 각각 1000억원, 50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 매입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서 회장을 포함한 대주주는 내달 9일부터 200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을 순차적으로 매입할 계획이다. 서 회장의 주식취득 결정은 셀트리온의 주가가 내재 가치보다 최근 발생한 국내외 이슈에 의한 저평가, 경영진이 미래 성장에
프로티움사이언스(Protium Science)는 한국비엠아이(BMI Korea)와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원스톱(one-stop) CDAMO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2024년 두 회사가 체결한 전략적 업무(MOU) 협력의 첫 사례로, 프로티움사이언스와 한국비엠아이는 본 계약을 통해 효율적인 원스톱 CDAMO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탁개발 및 위탁생산 분야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프로티움사이언스는 고객사의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배양, 정제, 분석, 독성시험을 위한 물질 생산 등 공정개발 분야의 서비스
지난해 HLB그룹에 편입된 바라바이오(Barabio)는 HLB라이프케어(HLB LifeCare)로 사명을 변경한다고 9일 밝혔다. HLB라이프케어는 앞으로 만성질환의 예방, 진단, 관리 등 통합 헬스케어 솔루션에 집중해 사업을 이끌어갈 계획이다. HLB라이프케어는 안철우 강남세브란스병원 교수가 창업한 벤처기업으로 지난해 HLB글로벌에 60억원에 인수됐다. HLB라이프케어는 최근 만성질환 솔루션과 관련해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이번달 1일 HLB라이프케어는 비접촉 헬스케어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는 이노피아테크(innoPia Techno
GC(녹십자홀딩스)의 액체생검 및 임상유전체 전문 계열사인 GC지놈(GC Genome)은 9일 코스닥 상장을 위해 금융위원회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절차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GC지놈은 이번 상장을 통해 400만주를 공모할 계획이다. 희망 공모가는 9000~1만500원으로 공모예정금액은 360억~420억원이다. 수요예측은 다음달 12일부터 16일까지 5일간 진행되며, 다음달 22~23일 양일간 청약을 거쳐 상반기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 지난 2013년 GC녹십자의 자회사로 설립된 GC지놈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의료진과 AI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결과가 북미영상의학회(RSNA)가 발행하는 세계적인 영상의학 학술지 래디올로지(Radiology, IF 12.1)에 게재됐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스웨덴 최대규모 사립병원 카피오 세인트괴란병원(Capio S:t Göran Hospital)의 카린 뎀브로워 박사(Dr. Karin Dembrower) 연구팀이 주도했고, 지난 2023년 9월 란셋 디지털 헬스(Lancet Digital Health)에 게재된 전향적 연구 ‘ScreenTrustC
넥스세라(NexThera)는 습성황반변성(wet AMD)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점안형 후보물질 ‘NT-101’의 미국 임상1/2a상에서 펜실베니아주에 위치한 시험기관에서 첫 환자 등록을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NT-101은 넥스세라의 점안전달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첫 번째 신약 후보물질이다. 점안전달 플랫폼은 안구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망막 조직까지 약물 유효성분을 전달하는 기술로, 기존 VEGF 계열 약물을 안구내 주사(intravitreal injection)하는 방식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회사
GC녹십자(GC Biopharma)는 8일 국내 질병관리청과 공동개발한 탄저백신 ‘배리트락스’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10월31일 식약처에 허가신청서를 제출했고, 이번에 국산신약 39호로 시판허가를 승인받았다. GC녹십자와 질병청은 생물테러 등 국가위기 상황 대비를 위해 배리트락스를 개발했다. 탄저균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장기간 생존이 가능해 공기 중 살포가 용이한 1급 법정감염병이다. 치명률도 97%에 달해 테러에 생물학 무기로 악용될 가능성이 높다. 배리트락스는 2종의 탄저균 독소인자를 세포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1ST Biotherapeutics)는 리가켐 바이오사이언스(LigaChem Biosciences)과 항체-약물접합체(ADC)에 적용하기 위한 신규 페이로드(payload)와 면역항암제, 저분자 신약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옵션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양사는 향후 3년내 차세대 ADC 페이로드를 비롯해 2~4개의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을 목표로 한다. 두 회사는 지난해부터 차세대 페이로드가 적용된 ADC 개발 및 새로운 면역항암제 공동연구 가능성을 함께 모색해 왔고, 이번 계
사노피(Sanofi)가 에이비엘바이오(ABL Bio)의 혈뇌장벽(BBB) 투과 이중항체가 파킨슨병 모델에서 뉴런손실(neuron loss)과 운동기능 결함을 개선할 가능성에 대한 데이터를 공개했다. 이번에 발표한 비임상 데이터로 영장류에서 BBB 셔틀을 적용하자 뇌척수액(CSF)에서 약물 노출이 2~3배 증가했고, 뇌 노출(brain exposure)은 5~10배 늘었다. 에이비엘바이오의 신규 BBB 셔틀 IGF1R(insulin-like growth factor 1 receptor)이 적용된 알파시누클레인(alpha-synucl
신약개발기업 에이프릴바이오(AprilBio)가 일본의 항체 및 단백질엔지니어링 전문기업 EME(Epsilon Molecular Engineering Inc.)와 차세대 나노바디(nanobody) 치료제 개발에 대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두 회사는 EME의 고기능성 나노바디 후보물질을 에이프릴바이오의 REMAP 플랫폼에 통합해 공동개발을 진행할 예정이다. 에이프릴바이오의 독자적 플랫폼 기술인 REMAP(Recombinant and Evolved Multi-specific Antibod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VUNO)는 8일 국내 의료AI 기업들과 ‘AI의료 사업 협력(Medical AI Strategic Alliance)’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MOU를 체결한 기업은 셀바스AI(Selvas AI), 메디아나(Mediana), 제이엘케이(JLK)다. 이번 협약식은 서울 강남구 제이엘케이 사옥에서 열렸으며 이예하 뷰노 대표, 곽민철 셀바스AI 및 메디아나 대표, 김동민 제이엘케이 대표 등 관계자 1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MOU를 통해 각 회사는 본연의 역할과 함께 국내외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는 8일 솔리리스 바이오시밀러인 '에피스클리'(EPYSQLI®, 프로젝트명 SB12, 성분명 에쿨리주맙)를 마케팅 파트너사인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를 통해 미국에 출시했다고 밝혔다. 솔리리스는 알렉시온 파마슈티컬(Alexion Pharmaceuticals)이 개발한 희귀질환 치료제로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 비정형 용혈성요독 증후군(atypical hem
대웅제약(DAEWOONG)은 고려대 안암병원 연구부와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기술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대웅제약의 신약개발 경험 및 AI 신약개발 기술력과 고대 안암병원이 보유하고 있는 의료데이터 자원 등을 접목해 상호협력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체결됐다. 협약을 통해 양측은 AI 신약개발 및 연구에 필요한 기술 및 자원 공유, 유전체 및 생체데이터 등의 제공과 활용을 위한 상호협력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고대 안암병원은 보건복지부 지정 연구중심병원으로 병원이 보유한 임상현장 경험과 환자 데이
루닛(Lunit)은 켄 네스미스(Ken Nesmith) CBO가 보유 주식 2만주를 장내 매도했다고 7일 공시했으며, 이는 미국 시민권자인 네스미스 CBO가 미국의 소득세 납부 시즌(Tax Season)을 맞아 세금 납부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루닛 관계자는 "지난 2021년 11월부터 루닛에 합류해 루닛 스코프의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을 이끌어온 네스미스 CBO의 이번 주식 매도는 개인적인 세금납부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회사의 사업전략이나 향후 전망과는 전혀 무관하다"며 부연했다.
유한양행(Yuhan)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면역항암제로 개발하고 있는 EGFRx4-1BB 이중항체 ‘YH32364’의 임상시험게획서(IND)를 7일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유한양행은 EGFR 변이 폐암 시장에서 3세대 EGFR TKI인 ‘렉라자/라즈클루즈(레이저티닙)’를 출시했으며, EGFR 표적치료제 영역에 대한 투자가 계속되고 있다. 유한양행은 후속 에셋으로 HER2 TKI ‘YH42946’의 임상1/2상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이중항체 신약으로도 포트폴리오를 넓히고 있다. YH32364는 지난 2018년 국내 에이비
머크, '키트루다' 특허만료 대비 "연간 30억弗 절감”
한미, '주식 기반 성과 보상제' 도입.."보상체계 개편"
다이이찌, 알테오젠 '엔허투 SC' 1상 "9월내 시작"
에버엑스, 시리즈B 148억 유치.."AI 동작분석 기술"
7월 비상장 바이오투자, 4곳 1228억.."3.2년래 최대"
GC녹십자, 분기매출 5000억 첫 돌파 ”역대 최대”
日킷세이, 美서 ‘IGF-1R 항체’ 2건 "3.85억弗 사들여"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삼진제약, HR담당에 신승원 이사 영입
대웅제약, '셀트리온 출신' 홍승서 본부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트리오어, J&J 인큐베이터 'JLABS' Korea 입주
HLB생명과학, HLB와 합병철회 결정
큐로셀, 'CD19 CAR-T' 루푸스 국내 1/2상 "IND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