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이 자체 개발한 의약품들의 고른 성장세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국내 원외처방 실적 1위를 달성했다. 한미약품은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유비스트(UBIST) 기준으로, 아모잘탄패밀리, 에소메졸패밀리 등 자체 개발 의약품의 성장으로 올해 상반기 원외처방 실적 5353억원을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증가한 수치로, 개별 제품 기준으로는 총 10개의 제품이 상반기 매출 100억원을 넘겼다. 특히 한미약품은 2018년 처음으로 연간 처방실적 1위에 오른 이후
동화약품(Dongwha Pharm)이 창업터인 서울시 중구 순화동(서소문로9길 20)에 신사옥 건립을 완료해 입주한다고 28일 밝혔다. 1897년 동화약방으로 문을 연 이후 128년만에 창업터로 돌아가게 됐다. 사옥명은 동화약품의 창립연도인 1897년을 기념해 '빌딩1897'로 명명했다. 동화약품은 1996년 한국기네스협회로부터 국내 최고(最古)의 제약회사로 공식 인정받은 바 있다. 이번에 입주하는 신사옥은 연면적 1만5821.23㎡(4785.92평) 규모로 지하 5층, 지상 16층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 2022년 11월 착공해
뉴라클사이언스(Neuracle Science)는 자사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핵심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리서치&테라피(Alzheimer’s Research & Therapy, IF: 7.6)’에 게재했다고 28일 밝혔다. 논문 제목은 ‘Inhibition of reverses synaptic loss and cognitive decline in mouse models of Alzheimer’s disease’이며, 알츠하이머병 마우스모델에서 FAM19A5을 억제했을 때 시냅스손실 및 인지저하를 회복시킨
대웅제약(DAEWOONG)은 디지털트윈(Digital Twin) 기반 바이오의약품 차세대 제조공정 기술개발 과제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제1차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사업의 국책과제로 선정됐다고 28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이번 국책과제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주요 공정인 세포배양부터 정제까지 전(全) 과정을 통합한 디지털트윈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바이오의약품 제조에 적용해 실제로 잘 작동하는지를 검증하는 실증 연구를 수행한다. 디지털트윈은 실제 바이오의약품의 생산공정을 가상 환경에 정밀하게 재현해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은 28일 IgE Trap 알러지 치료제 후보물질 ‘레시게르셉트(GI-301, YH35324)’에 대해 핵심 물질특허가 미국에서 등록결정 됐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는 단백질의 구조 조합을 기반으로 한 물질특허이다. GI-301의 주요성분 자체에 대한 권리를 확보한 것으로, 지난 5월 미국에서 등록결정된 시알산 고함량 기반 특허와 함께 레시게르셉트를 성분 및 품질 양 측면에서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 체계를 완성하게 됐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전에 등록된 시알산 고함량 특허는 단백
HLB는 미국 자회사 엘레바 테라퓨틱스(Elevar Therapeutics)가 FGFR2 저해제 ‘리라푸그라티닙(lirafugratinib, RLY-4008)’의 FGFR2 융합변이 담관암 환자 대상 글로벌 임상2상에서 독립평가위원회(IRC) 기준 주요 유효성 지표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효능 평가결과 회사는 객관적반응률(ORR), 반응지속기간(DoR) 등이 기존에 허가된 치료제와 비교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완전관해(CR) 사례도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안전성 평가결과에서도 기존 허가 치료제 대비 설사, 고인산혈증 등의 부
알테오젠(Alteogen)은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로부터 알테오젠바이오로직스와 공동 개발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제품 ‘아일럭스비(Eyluxvi®, 프로젝트명 ALT-L9)’의 시판허가에 대한 긍정 의견(positive opinion)을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 CHMP의 품목 허가 긍정 의견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가 의약품을 승인하는 역할을 하고, 통상적으로 CHMP의 긍정 의견 후 2~3개월 뒤 공식적인 시판허가가 결정된다. 아일리아®(Eylea®
한미그룹(Hanmi)은 지주회사 한미사이언스(Hanmi Science)가 올해 2분기에 대폭적인 실적 개선을 실현했고, 핵심 사업회사인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도 지속적인 성장과 미래를 위한 혁신 동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한미사이언스는 올해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3383억원, 영업이익 346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각각 9.4%, 30.7% 증가한 수치이다. 한미사이언스는 지주회사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면서도 자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며 안정적인 기반을 다져나가고 있다고
종근당(Chong Kun Dang Pharmaceutical)은 25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MET 항체-약물접합체(ADC) ‘CKD-703’의 임상1/2a상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 승인으로 종근당은 미국 내 비소세포폐암 및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CKD-703에 대한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적 용량증량을 통한 안전성 및 최대내약용량 확인 △개념입증(POC)을 통한 최적용량 도출 △약동학 △면역원성 △초기 유효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예정이다. CKD-703은 종근당이 자체개발한 c-M
유한양행(Yuahn)은 국내 최장수 치과기업 신흥과 임플란트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양사는 ‘유한에버티스’ 임플란트를 조속히 출시하는 한편, 치과 의료기기 및 의약품 등 전 제품에 대한 공동 기획, 마케팅, 판매를 포함하는 포괄적 협력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조욱제 유한양행 대표는 “우수한 품질의 에버티스 임플란트가 유한양행과 신흥의 시너지를 통해 판매가 확대됨으로써, 국민 구강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용익 신흥 대표는 “유한 브랜드가 적용된 에버티스 임플란트가 치과
온코크로스(Oncocross)는 지난 9일 서울대병원과 ‘신약개발 분야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에서 실제 임상환경에서 수집된 환자의 임상 데이터 및 조직 데이터를 AI기술과 융합해 정밀성과 현실 적용성을 겸비한 새로운 신약개발 모델을 구축하기로 했다. 서울대병원은 전향적 임상시험과 후향적 환자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설계 및 수행을 지원하며, 온코크로스는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RAPTOR AI’를 통해 수집된 환자샘플과 유전자, 단백질 정보 등을 분석해 암, 희귀질환
GC녹십자(GC Biopharma)는 지난 24일 아주대에서 ‘공동연구노트 경진대회’ 시상식을 열고 수상자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날 시상식에는 김용성 아주대 첨단바이오융합대학 학장과 최영일 GC녹십자 R&D부문 RED본부장 등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아주대 혜강관에서 진행됐다. 분자진단, 혁신신약, 바이오소재를 주제로 진행된 이번 시상식에서 성유진 학생(분자과학기술학과)이 분자진단 분야로 대상을 수상했다. 이외 5명에게 각각 최우수상, 우수상이 돌아갔다. 이번 공동연구노트 경진대회는 GC녹십자가 아
대웅제약(DAEWOONG)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NABOTA)’의 쿠웨이트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계약은 걸프만 연안 6국에서 UAE,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에 이은 4번째 진출이며 중동 전체에서는 5번째 진출이다. 대웅제약은 걸프만 연안 6국은 미용과 성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 중동을 대표하는 프리미엄 시장으로 꼽히며, 특히 쿠웨이트는 높은 1인당 국민소득, 잘 갖춰진 의료 인프라, 활발한 주변 걸프만 연안국 교류 등으로 전략적 가치가 큰 지역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대웅제약은 쿠웨이트를 비롯해 걸프만 연안
동아에스티(Dong-A ST)는 24일 올해 2분기 매출은 전문의약품(ETC) 부문, 해외사업 부문이 성장하며 전년동기 대비 12.5% 증가한 177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의 경우 원가율이 상승하며 전년동기 대비 43.4% 감소한 40억원을 기록했다. 전문의약품 부문은 ‘그로트로핀’과 ‘타나민’이 성장했으며, P-CAB 신약 ‘자큐보’ 등 신규 품목매출이 추가되며 전년동기 대비 19.5% 증가했다.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 자큐보의 2분기 매출은 110억원이었다. 해외사업 부문은 ‘다베포에틴알파’ 매출이 증가했으며, 스텔라
동국생명과학(Dongkook Lifescience)은 24일 이사회를 열고 1주당 신주 1주를 배정하는 100% 무상증자를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동국생명과학의 보통주 발행주식 총수는 기존 1599만주에서 3198만주로 증가한다. 이번 무상증자는 코스닥 상장 이후 쌓은 견고한 실적과 재무 안정성을 바탕으로, 주주환원 정책 강화 및 주식 유통물량 확대를 통한 거래 활성화를 목적으로 추진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주주 이익 극대화와 함께 유동성 확대를 통한 투자자 기반 확충에 중점을 두고 이번 증자를 진행했다”
동아쏘시오홀딩스(Dong-A Socio Holdings)는 24일 주요 사업회사들의 외형 성장으로 연결기준 올해 2분기 매출액 3469억원을 달성하며 전년동기 대비 6.9% 증가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계열사인 동아제약, 에스티젠바이오의 성장으로 전년동기 대비 28.8% 증가한 287억원을 기록했다. 헬스케어 전문회사 동아제약은 일반의약품 사업부문 성장으로 매출이 3.4% 증가한 1816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효율적인 판관비 집행으로 전년동기 대비 13.7% 증가한 239억원을 달성했다. 주요 사업부문 중 일반의약품 매출이
셀트리온, 머스트바이오 '삼중항체' 계약금 30억 L/I
루닛, APEC서 ‘AI 의료혁신’ 선봬.."글로벌 헬스 선도"
GSK, ‘TIGIT-CD226’ 전면 “중단”..新IO 꿈 "끝나"
셀트리온, 포트래이와 '타깃 발굴' 8775만弗 계약
에이비엘, 美네옥바이오에 '이중항체 ADC' 현물출자
루닛, 정부 '의과학 파운데이션 모델' 주관기관 선정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동아쏘시오그룹 임원 인사
아이젠사이언스, 박현선 부사장·박억 상무 영입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새책]『아웃포스트』 누가 한국서 신약을 만들고 있는가
GC셀, ‘HER2 CAR-NK’ 첨단재생의료 임상 승인
인투셀, 'B7-H3 ADC' 고형암 1상 "美 IND도 신청"
유한양행, J&J서 "中상업화" 마일스톤 4500만弗 수령
美FDA, 바이오시밀러 "제네릭化" 규제간소화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