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은 6월 5일부터 7일(현지시간)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2회 GBA1 미팅(GBA1 Meeting 2025)에서 파킨슨병(PD) 치료제로 개발하는 ‘GCase 활성화제(GCase activator)’의 최신 연구성과를 구두발표로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GBA 변이 파킨슨병 전임상 모델에서 GCase 활성화약물의 치료 잠재력(A Potent GCase Activator Demonstrating Therapeutic Potential in Preclinica
SK플라즈마(SK Plasma)는 9일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기업 에임드바이오와 ADC 기반 항암신약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양사는 다양한 암종에서 과발현하는 항원 ROR1를 타깃하는 ADC 후보물질을 공동개발한다. 에임드바이오가 기초연구와 후보물질 탐색 등 리서치 단계에서 후보물질을 도출하며 SK플라즈마가 임상과 상업화 단계의 개발활동을 추진하는 형태다. 허남구 에임드바이오 “이번 협업으로 ADC 신약의 후속임상과 글로벌 사업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주 SK플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가 일본 니프로코퍼레이션(NIPRO Corporation)과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프로젝트명: SB17) 등 다양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상업화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번이 처음으로 일본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업체와 협업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본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제품개발과 생산 및 공급을, 니프로는 판매를 담당할 예정이다. 김경아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 계약은 일본시장 진출의 중요한 기점으로, 바이오시밀러
올릭스(OliX)는 로레알(L'Oreal)과 지난 5일 siRNA(small interfering RNA)를 활용한 피부모발 공동연구 계약(scientific collaboration agreement) 체결했다고 9일 공시했다. 계약금과 마일스톤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계약에 따라 올릭스는 siRNA를 활용한 피부모발 공동연구 결과물(collaboration product) 개발을 수행하며, 로레알은 올릭스의 요청에 따라 공동연구 결과물과 관련해 '자문적이고 구속력 없는 조언'을 제공한다. 로레알은 추가 공동연구 계약을 체
셀트리온(Celltrion)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텔라라(STELARA, 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바이오시밀러 ‘코이볼마(QOYVOLMA)’가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로부터 시판허가를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 코이볼마는 셀트리온의 2번째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로, 셀트리온은 기존에 첫번째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로 ‘스테키마(STEQEYMA)’를 허가받았다. 기존 스테키마는 판상형 건선, 건선성 관절염, 크론병(CD) 등의 적응증에 대해 허가받은 제품이며, 이번 코이볼마는 스테키마의 적응증에 궤양성대장염(UC)이 추가된 제품이다.
바이오엔텍(BioNTech)이 PD-L1xVEGF 이중항체 ‘BNT327(PM8002)’로 진행한 악성중피종(malignant mesothelioma) 중국 임상2상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거뒀다. BMS(Bristol Myers Squibb)가 BNT327에 대한 공동개발 권리를 확보하기 위해 바이오엔텍과 계약금만 15억달러를 포함해 총 111억달러 규모의 딜을 체결한지 하루만에 나온 소식이다. 앞서 바이오엔텍은 지난 3월 리드 적응증인 소세포폐암(SCLC) 중국 임상2상에서도 경쟁력 있는 결과를 발표하며 BNT327에 대한 업계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세계 최대 바이오·제약 박람회인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 바이오USA)에 참가한다고 9일 밝혔다.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은 미국 바이오협회(BIO·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 주관으로 매년 6월 미국내 주요 바이오클러스터를 순회하며 열리는 행사로, 전세계 바이오·제약 업계 관계자가 모여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교류의 장으로 꼽힌다. 올해 행사는 오는 16일부터 19일(현지시간) 나흘간 미
J&J(Johnson & Johnson)가 PARP 저해제와 호르몬요법(ARPI) 복합제형인 ‘아키가(Akeega)’로 진행한 전이성 거세민감성전립선암(mCSPC) 임상3상에서 방사선학적 무진행생존기간(rPFS)을 37% 개선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아키가는 GSK가 시판하고 있는 PARP 저해제인 ‘제줄라(Zejula, niraparib)’와 J&J의 호르몬요법 ‘자이티가(Zytiga, abiraterone)’로 이뤄진 단일제형이다. 아키가는 앞서 지난 2023년 전이성 거세저항성전립선암(mCRPC)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
베라 테라퓨틱스(Vera Therapeutics)의 BAFF/APRIL 이중저해 융합단백질 ‘아타시셉트(atacicept)’가 IgA신증(IgAN)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3상에서 신장기능 지표인 단백뇨(proteinuria)를 개선시키며 1차종결점을 충족시킨 중간결과를 내놨다. 단백뇨는 1차종결점인 투여전(baseline) 대비 46% 감소했다. 베라는 이번 3상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4분기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가속승인을 위한 허가신청서(BLA)를 제출할 계획이며, 내년에 미국 시판을 예상하고 있다. 다만 만성질환인 I
리제네론 파마슈티컬(Regeneron Pharmaceuticals)이 비만에서 병용전략이 GLP-1 ‘위고비(세미글루타이드)’ 투여시 수반되는 근육감소를 줄일 수 있다는, 실질적인 개념입증(PoC) 데이터를 얻었다. 리제네론은 계속해서 '체중감량의 질 개선'이라는 키워드에 주력하고 있고, 위고비에 근육 보존(muscle-preserving) 기전의 항체를 이중·삼중 병용투여해 근육량을 대변하는 제지방(lean mass)을 50~80%까지 줄인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체중감량 자체는 위고비와 유사하거나 약간 더 높은 수준이었다. 다만
한국거래소는 지난 5일 약효지속(long-acting) 의약품 개발기업 지투지바이오(G2GBIO)이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지투지바이오는 지난 2월18일 예비심사청구서를 제출한 바 있다. 공모예정 주식수는 66만5000주이며, 상장주식수는 512만8836주이다. 상장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지투지바이오는 지난해 8월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전문평가기관 2곳 나이스디앤비와 한국평가데이터의 기술평가에서 각각 A, A 등급을 받은 바 있다. 글로벌 성과로 지투지바이오는 지난 2월 베링거인겔하임(Boeh
아스트라제네카(AZ)가 초기 위암 수술전후요법(perioperative treatment) 임상3상에서 시판 PD-L1 항체 ‘임핀지(Imfinzi, durvaluman)’로 표준치료(SoC) 대비 무사건생존율(EFS)을 29% 개선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면역항암제(immunotherapy)로는 처음으로 초기 위암에서 EFS를 유의미하게 개선한 결과다. AZ는 지난 1일(현지시간) 임핀지 병용요법으로 진행한 초기 위암 및 위식도접합부암(gastric and gastroesophageal junction cancer) 환자 대
닥터노아바이오텍(Dr. Noah Biotech)은 회사의 인공지능(AI) 연구소가 개발한 약물 간 상호작용 예측 AI모델 'SF-Rx'에 대한 연구결과를 미국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 ACS)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JCIM(Journal of Chemical Information and Modeling)’에 표지논문(cover article)으로 게재했다고 5일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SF-Rx는 여러 약물을 함께 복용할 때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이나 위험을 미리 예측해주는 AI기술이다. 기존에는 약
비질 뉴로사이언스(Vigil Neuroscience)가 TREM2 항체 ‘VGL101(iluzanebart)’의 개념입증(PoC) 임상2상에서 실패한 결과를 내놨다. VGL101은 지난달 사노피가(Sanofi)가 비질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원개발사인 암젠(Amgen)에 반환된 에셋이다. 당시 사노피의 이같은 반환결정에 따라 업계는 VGL101이 개발을 이어나갈 만큼 유망한 결과를 보이지 못했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었다. 비질은 올해 2월 이번 임상2상을 1차적으로 완료해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었으며, 이번에 결국 VGL101이 희귀 퇴
암젠(Amgen)은 2일(현지시간) DLL3xCD3 T세포 인게이저(TCE) ‘임델트라(Imdelltra, tarlatamb)’가 소세포폐암(SCLC) 2차치료제 세팅 임상3상에서 기존 표준치료(SoC) 대비 전체생존기간(OS)을 유의미하게 개선하며 사망위험을 40% 줄인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결과는 같은날 개최된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5)와 국제학술지 NEJM(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공개됐다. 임델트라는 첫 DLL3xCD3 치료제로 시판된 약물로, 지난해 5월 임상2상의
코어라인소프트(Corelinesoft)는 노르웨이와 핀란드 폐암검진 이니셔티브 프로젝트에 각각 자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를 공급한다고 5일 밝혔다. 앞서 코어라인소프트는 영국과 프랑스 정부주도사업에 자체 AI SW가 채택되고, 국내 국가폐암검진사업에서도 9년 연속 수주한 바 있다. 이번 북유럽 2개국 정부사업 채택으로, 코어라인은 노르웨이보건청 산하 국립병원인 아커스후스대학병원(AHUS)이 주도하는 ‘TIDL’ 프로젝트에 참여해 폐암 고위험군 대상 AI기반 흉부 컴퓨터단층촬영(CT) 검진체계 구축을 진행한다. 코어라인
셀트리온, 머스트 등 4개社 오픈이노베이션 선발
노바티스도, 바이오아틱과 ‘BBB 셔틀’ 8억弗 옵션딜
KDDF, "TPD·CGT" 논의 '사이언스 컨퍼런스' 개최
아밀릭스, ALS철회 ‘렐리브리오’ 후속 임상도 “실패”
마이크로바이오틱스, 시리즈B 추가 50억..200억 완료
에이비온, 793억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인투셀, 'B7-H3 ADC' 고형암 "국내 1상 IND 신청"
릴리, ‘CDK4/6 저해제’ 초기유방암 3상 “OS 개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젠큐릭스, 안세현 교수∙정진구 박사 신규이사 선임
뉴로핏, 과학자문위원에 '이와타 아츠시' 박사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수젠텍, 125억 규모 교환사채(EB) 발행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