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젠(ProGen)은 미국 라니테라퓨틱스(Rani Therapeutics)와 공동개발하는 차세대 비만 치료제 ‘RPG-102(RT-114)’의 전임상 결과가 미국 내분비학회(ENDO 2025)에서 발표됐다고 15일 밝혔다. 발표는 라니의 연구진인 안베쉬 다사리(Anvesh Dasari) 박사가 포스터 형식으로 진행했다. 이번 연구는 프로젠의 GLP-1/GLP-2 이중작용제(dual agonist) ‘PG-102’를 라니의 ‘RaniPill®’ 플랫폼으로 제형변경한 경구용 약물인 RPG-102를 투여했을 때, 피하주사(SC) 제형
JW홀딩스(JW Holdings)는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글로벌 수준으로 강화하기 위해 유엔글로벌콤팩트(UNGC)에 가입했다고 15일 밝혔다. UNGC(United Nations Global Compact)는 2000년 유엔(UN)이 설립한 세계 최대규모의 기업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로, 기업이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등 4개 분야에서 10대 원칙을 준수하고, 동시에 유엔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에 동참하도록 권장하는 자발적 협약이다. 현재 전세계 167개국에서 2만5000개 이상의 기업 및 기관이 UNGC에 참
이수그룹 계열사 이수앱지스(ISU ABXIS)는 최대주주인 이수화학 보유한 자사 발행 전환사채(CB)가 전량 주식으로 전환된다고 14일 공시했다. 이수앱지스는 지난 2023년 12월 5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했고, 이수화학은 이 중 약 81억 원 규모를 인수한 바 있다. 이번 전환을 통해 이수화학은 약 182만주의 주식을 추가로 확보해 이수앱지스 지분 33.1%를 보유하게 된다. 상장 예정일은 7월30일이다. 이수앱지스 관계자는 “당사 CB의 전환가격이 4445원으로 현 주가보다 낮아 꾸준히 전환청구가 이어지며 이수화학의
카프리코 테라퓨틱스(Capricor Therapeutics)가 첫 뒤센근이영양증(DMD) 세포치료제로 기대하고 있는 ‘데라미오셀(deramiocel, CAP-1002)’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시판허가를 거절당했다. FDA는 ‘실질적 효능(substantial evidence of effectiveness)’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며 카프리코에 추가 데이터 요구와 함께 최종보완요구서(complete response letters, CRL)를 발송했다. 린다 마르반(Lind Marban) 카프리코 CEO는 이번 CRL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지난 10일(현지시간) 승인거절 사유가 기재된 최종보완요구서(complete response letter, CRL)를 처음으로 공개하면서, CRL에 담긴 FDA의 지적사항이 실제 기업의 발표에 얼마나 반영돼 있었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FDA는 그동안 CRL의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었기 때문에 CRL을 통보받은 기업의 발표를 통해서만 승인거절 사유를 접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업이 공개한 CRL 정보는 제한적이고 축소 또는 왜곡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같은
Illimis Therapeutics announced on July 14 that it has raised KRW 58 billion ($42 million) in its Series B funding round. The Series B round saw strong participation from both existing and new investors, demonstrating high industry confidence in Illimis Therapeutics' vision and technology. Eight exi
뉴로핏(Neurophet)이 최종 공모가를 희망밴드(1만1400~1만4000원)의 상단인 1만4000원에 확정했다고 14일 공시했다. 회사에 따르면 뉴로핏은 지난 4~10일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2444개 기관이 참여해 1087.6대1의 경랭률을 기록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 100%(가격미제시 비율 포함)가 상단 이상의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집계됐다. 뉴로핏은 오는 15~16일 양일간 청약을 거쳐 오는 25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할 계획이다. 상장주관사인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뉴로핏이 영위하고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한 한국산업은행,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인터베스트, 하나금융그룹, 컴퍼니케이파트너스가 보유한 전환우선주(CPS) 577만 8196주 전량을 보통주로 전환했다고 14일 공시했다. 전환된 주식은 오는 28일 상장될 예정이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번 전환으로 인해 시장 내 오버행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는 과도한 걱정이라고 일축했다. 향후 기업 성장성과 기술 사업화 가능성에 근거해, 기관 투자자들과의 긴밀하게 소통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일리미스테라퓨틱스(Illimis therapeutics)는 시리즈B로 58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DSC인베스트먼트, 우리벤처파트너스, 한국산업은행, 아주IB투자, 쿼드자산운용, 컴퍼니케이파트너스, GS벤처스, 데일리파트너스 등 기존 투자자 8개 기관이 참여했다. 여기에 LB인베스트먼트, TS인베스트먼트, 신한벤처투자, 에스앤에스인베스트먼트, 하나벤처스, 메이플투자파트너스, 에이벤처스, IMM인베스트먼트, 슈미트, 중소기업은행 등 신규 투자자 10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투자유치를 통해
빈준길 뉴로핏(Neurophet) 대표는 “아밀로이드베타(Aβ) 등을 타깃하는 알츠하이머병(AD) 치료제가 등장하면서 뇌영상 촬영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치료제의 처방, 중단시점 등을 결정하고 부작용 모니터링을 위한 영상검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뉴로핏의 AD 분석 및 진단 솔루션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아밀로이드베타 및 뇌영역별 부피를 정량적으로 검사해 치매종류 감별부터 치료제 처방결정, 부종(ARIA-E) 및 출혈(ARIA-H) 등의 부작용, 예후 관찰까지 전주기에 아울러 활용이 가능하다”고 소개했다
LG화학(LG Chem)이 임신을 준비하며 난임을 겪고 있는 가임기 부부와 가임력 보존정보 등이 필요한 일반여성이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블룸(BLOOM)’을 선보인다고 14일 밝혔다. LG화학은 새 생명의 기쁨과 임신한 여성의 부른 배를 연결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블룸으로 이름지었다. LG화학은 블룸에 대해 대한생식의학회와 대한보조생식학회의 자문과 검증을 받았으며, 방대하고 복잡한 가임 및 난임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서 원스톱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LG화학은 개발과정에서 가임기 여성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사전인터뷰
센티백스(Centivax)는 지난 8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4500만달러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센티백스는 전체 독감바이러스를 타깃할 수 있는 범용백신(universal vaccine)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번 투자금으로 내년 임상1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센티백스는 이번 투자와 함께 화이자(Pfizer) 백신R&D 부사장(SVP), 머크(MSD) 연구 부사장 등을 역임한 에밀리오 에미니(Emilio Emini) 박사를 이사회 멤버로 영입했다. 이번 시리즈A는 스티브 저벳슨(Steve Jurvetson) 퓨처벤처스(Future Ve
차바이오텍(CHA Biotech)이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건설중인 'CGB(Cell Gene Biobank)'에 글로벌 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 허브인 ‘CGB-CIC’(가칭)를 설립한다고 14일 밝혔다. 6만6115㎡(2만평) 규모의 CGB 가운데 1만㎡(3000평)을 할애해 오는 2026년 2분기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차바이오텍은 지난 11일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에서 ‘CGB-CIC Pre Open Event’를 개최했다. 오픈이노베이션센터 입주에 관심있는 제약·바이오·AI 업계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CGB-CI
네오이뮨텍(NeoImmune Tech)은 거대 B세포림프종(LBCL) 환자를 대상으로 반감기를 늘린 IL-7 약물 ‘NT-I7(efineptakin alfa)’과 CAR-T 치료제 병용투여를 평가하는 1b상에 대한 후속 임상시험계획(IND)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임상은 미국 워싱턴대 종양내과 존 디퍼시오(John Dipersio) 박사가 주도하는 연구자임상(Investigator-Initiated Trial, IIT)이다. 기존 NT-I7+CAR-T 단회투여 병용 1b상인 NT-112임상의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지난 10일(현지시간) 기업에게 발행했던 최종보완요구서(complete response letters, CRL) 내용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FDA는 이번 CRL 공개가 제도 현대화(modernize)와 투명성 강화(increase transparency)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으며, 200건이 넘는 CRL을 공개했다. 다만 과거에 CRL을 받은 이후 보완을 거쳐 지난 2020~2024년 사이에 최종 시판허가에 성공한 사례만을 제한적으로 공개했다. CRL은 FDA가 제품에 대한 허가신청서를 검토한 후, 해
방사성의약품(RPT)을 개발하는 스위스 바이오텍 뉴클리듐(Nuclidium)이 99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B 유치에 성공했다. 뉴클리듐은 진단과 치료제 영역에서 구리(Cu)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RPT를 개발하고 있으며, 구리는 RPT 개발에서 아직까지 흔하게 사용되는 원소는 아니다. 현재 RPT에서 선두를 달리는 노바티스(Novartis)는 루테튬-177(lutetium-177, 177-Lu)을 이용한 치료제를 시판하고 있으며, 란테우스(Lantheus)는 플루오린-18(fluorine-18, 18F)을 기반으로 한 진단약물
셀트리온, 머스트 등 4개社 오픈이노베이션 선발
노바티스도, 바이오아틱과 ‘BBB 셔틀’ 8억弗 옵션딜
KDDF, "TPD·CGT" 논의 '사이언스 컨퍼런스' 개최
아밀릭스, ALS철회 ‘렐리브리오’ 후속 임상도 “실패”
마이크로바이오틱스, 시리즈B 추가 50억..200억 완료
에이비온, 793억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인투셀, 'B7-H3 ADC' 고형암 "국내 1상 IND 신청"
릴리, ‘CDK4/6 저해제’ 초기유방암 3상 “OS 개선”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젠큐릭스, 안세현 교수∙정진구 박사 신규이사 선임
뉴로핏, 과학자문위원에 '이와타 아츠시' 박사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수젠텍, 125억 규모 교환사채(EB) 발행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