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AI) 기반 희귀 유전질환 진단기업 쓰리빌리언(3billion)은 오는 11일부터 14일까지(현지시간) 콜롬비아에서 열리는 콜롬비아인간유전학회(Asociación Colombiana de Genética Humana, ACGH 2025)에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쓰리빌리언이 남미에서 처음으로 공식 참가하는 유전학 학회로, 중남미 시장에 자사의 기술력을 직접 소개하고 브랜드 신뢰를 넓혀가는 전략적 계기로 삼을 예정이다. ACGH는 콜롬비아를 포함한 라틴아메리카 지역의 유전학자, 임상의학자, 글로벌 제약사 관
셀트리온(Celltrion)은 세계 최대 바이오∙제약 박람회인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 바이오USA)에 참가한다고 10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2010년부터 16년 연속으로 바이오USA에 참가해 바이오시밀러 및 신약개발 등 핵심분야에 대한 기술 경쟁력과 브랜드를 알리고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으며, 올해도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를 위해 참가할 예정이다. 올해 바이오USA 행사는 오는 16일부터 19일(현지시간) 나흘간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컨벤션&엑시비션 센터(Bo
아납티스바이오(AnaptysBio)는 지난 3일(현지시간) PD-1항체 ‘로스닐리맙(rosnilimab)’이 류마티스관절염(RA) 임상2b상에서 기존치료제인 JAK저해제와 유사한 효능(JAK-like efficacy)을 나타냈다며 긍정적 결과를 밝혔다. 회사는 지난 2월 동일 임상에서 투여 12주차에 1차종결점 달성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번결과는 해당 임상을 28주까지 확장한 것이다. 이번 RENOIR 임상2b상은 RA환자 424명을 대상으로 로스닐리맙을 3개용량(100mg, 400mg, 600mg)과 위약군(placebo)으로
바이엘(Bayer)의 자회사 비비디온테라퓨틱스(Vividion Therapeutics)는 지난 4일(현지시간) 로슈(Roche)로부터 WRN 저해제 ‘VVD-214(RO7589831)’에 대한 권리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비비디온과 로슈는 지난 2020년부터 파트너십을 맺고 VVD-214를 공동으로 발굴 및 개발해왔으며, 이번에 비비디온은 VVD-214의 개발, 상업화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완전히 확보했다. 두 회사의 이번 계약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비비디온은 화학단백체학(chemoproteomics) 접근법으로
국전약품(Kukjeon Pharmaceutical)이 조인트벤처 '케이에스바이오로직스(KSBL)'를 통해 글로벌 항암제 시장 진출과 파이프라인 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원료의약품(API) 중심의 사업구조에서 출발한 국전약품은 신약개발과 글로벌시장 진출을 통해 사업영역을 확대하며 회사 성장을 구축하고 있다. 국전약품은 지난 1972년 의약품 소분업 허가를 시작으로 1995년 법인 설립했으며, 원료의약품(API) 뿐 아니라 개량신약, 신약 및 소재 사업으로 확장해 2020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공시에 따르면 상장이후인 202
화이자(Pfizer)가 계약금만 12억5000만달러를 베팅한 PD-1xVEGF 이중항체의 추가적인 임상 데이터가 공개됐다. 화이자는 지난달 중국의 3S바이오(3SBio)로부터 PD-1xVEGF 이중항체 ‘SSGJ-707’의 중화권외 권리를 계약금 12억5000만달러를 포함해 총 60억5000만달러에 사들인 바 있다. 계약금만 10억달러를 넘는 큰 규모의 딜로 업계는 3S바이오의 SSGJ-707에 주목하고 있으며, 선두에 있는 서밋테라퓨틱스(Summit Therapeutics)의 ‘이보네스시맙(ivonescimab)’과 견주어 평가
뷰노(VUNO)는 9일 인공지능(AI) 기반 신장기능저하 선별 심전도 분석 소프트웨어 ‘VUNO Med®-DeepECG® Kidney’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DeepECG Kidney는 심전도 데이터로 신장 기능을 보는 국내외 최초의 솔루션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DeepECG Kidney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12채널 유도 심전도 데이터를 분석해 비침습적으로 신속하게 신장기능의 저하를 선별한다. 이 기기는 임상에서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 진
큐어버스(Cureverse)는 9일 S1P1 수용체 작용제(agonist) ‘CV-02’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CV-02는 S1P1(sphingosine-1-phosphate receptor 1)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저분자화합물로,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등을 적응증으로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큐어버스는 CV-02의 비임상에서 기존의 S1P1 타깃 약물대비 심혈관 부작용이 낮고 더 높은 효능을 확인했다. 회사는 CV-02의 경우 심혈관부
대웅제약(DAEWOONG)은 지난달 30일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대한간학회가 주최한 The LIVER WEEK 2025에서 B형간염 치료제 ‘베믈리버(Vemliver, TAF)’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임상연구는 ‘바라크로스(Baracross, 성분명: 엔테카비르(ETV))’를 복용하고 있는 만성B형간염 환자가 베믈리버로 교차 복용시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해 베믈리버의 비열등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4상 시험이다. 베믈리버와 바라크로스는 만성B형간염 치료제로 처방되고 있는 대웅제약의 제네릭의약품이다.
지난 5월 비상장 바이오기업은 단 한곳도 투자를 유치하지 못한 ‘제로(0) 투자’를 기록했다. 지난 2월에 이은 올해 두번째 제로(0) 투자다. 9일 바이오스펙테이터가 자체집계한 바이오기업 투자현황에 따르면 올해 2월 제로(0), 3월과 4월은 1곳씩 각각 120억원, 290억원 규모, 5월에는 다시 제로를 기록했다. 바이오스펙테이터가 자체집계를 진행한 7년여동안 연속 4개월 합산으로 최저의 실적으로, 현재 겪고있는 업계의 자금난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비상장 바이오기업의 투자유치는 2년 이상 상당히 저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지
병원경영지원(MSO) 회사 메디빌더(Medibuilder)는 시리즈B로 14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9일 밝혔다. 메디빌더는 지난 2022년 설립 후 2023년 프리시리즈A(pre-A) 및 시리즈A로 13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번 시리즈B까지 더하면 누적 투자금액이 총 270억원에 달한다. 메디빌더의 시리즈B 투자에는 한국산업은행, LB인베스트먼트, LSK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했으며, 이중 LB인베스트먼트는 시리즈A에 이은 후속투자자로 참여했다. 회사에 따르면 앞선 투자 라운드에서 MSO 업계 최초로 벤처
사렙타 테라퓨틱스(Sarepta therapeutics)는 지난 4일(현지시간) 사렙타의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인 ‘SRP-9003(bidridistrogene xeboparvovec)’의 바이러스 벡터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플랫폼기술지정(platform technology designation)’을 받았다고 밝혔다. 플랫폼기술지정은 지난해 5월 제정된 FDA 지침으로, 지침 문서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지정된 플랫폼기술을 포함하는 약물의 신청에 대한 개발, 제조 및 검토과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정됐다. 특히
SK바이오팜(SK Biopharmaceuticals)은 6월 5일부터 7일(현지시간)까지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제2회 GBA1 미팅(GBA1 Meeting 2025)에서 파킨슨병(PD) 치료제로 개발하는 ‘GCase 활성화제(GCase activator)’의 최신 연구성과를 구두발표로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GBA 변이 파킨슨병 전임상 모델에서 GCase 활성화약물의 치료 잠재력(A Potent GCase Activator Demonstrating Therapeutic Potential in Preclinica
SK플라즈마(SK Plasma)는 9일 항체-약물접합체(ADC) 개발기업 에임드바이오와 ADC 기반 항암신약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양사는 다양한 암종에서 과발현하는 항원 ROR1를 타깃하는 ADC 후보물질을 공동개발한다. 에임드바이오가 기초연구와 후보물질 탐색 등 리서치 단계에서 후보물질을 도출하며 SK플라즈마가 임상과 상업화 단계의 개발활동을 추진하는 형태다. 허남구 에임드바이오 “이번 협업으로 ADC 신약의 후속임상과 글로벌 사업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주 SK플
삼성바이오에피스(Samsung Bioepis)가 일본 니프로코퍼레이션(NIPRO Corporation)과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프로젝트명: SB17) 등 다양한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상업화를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번이 처음으로 일본시장 진출을 위해 현지 업체와 협업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본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제품개발과 생산 및 공급을, 니프로는 판매를 담당할 예정이다. 김경아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 계약은 일본시장 진출의 중요한 기점으로, 바이오시밀러
올릭스(OliX)는 로레알(L'Oreal)과 지난 5일 siRNA(small interfering RNA)를 활용한 피부모발 공동연구 계약(scientific collaboration agreement) 체결했다고 9일 공시했다. 계약금과 마일스톤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계약에 따라 올릭스는 siRNA를 활용한 피부모발 공동연구 결과물(collaboration product) 개발을 수행하며, 로레알은 올릭스의 요청에 따라 공동연구 결과물과 관련해 '자문적이고 구속력 없는 조언'을 제공한다. 로레알은 추가 공동연구 계약을 체
스파크바이오, LG화학과 '저분자 신약' "공동연구 계약"
월드ADC서 살펴본 '이중페이로드 ADC' 주목하는 이유?
보로노이, 500억 규모 CB발행 "결정"
지아이이노, 'CD80-IL2'+키트루다 2상 "초기결과 공개"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 1차 '윤곽' "ORR 83%"
카스젠, ‘CLDN18.2’ 위암 中 NDA ”첫 고형암 CAR-T”
루닛 "대주주 보호예수 해제물량, 매각계획 없어"
FDA, CAR-T 규제 완화 "REMS 의무화 해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지노믹트리 美자회사, 테오 드보스 수석부사장 영입
보령, 보령암학술상에 “라선영 연대의대 교수 선정”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씨젠, 감영병 분석 플랫폼 ‘STAgora™’ 출시
셀트리온제약, 당뇨병치료제 ‘네시나메트서방정’ 출시
에스티팜, 美바이오텍과 1825만弗 '올리고핵산' 공급계약
아이진, 유바서 인수 '수막구균4가 백신' 국내 2/3상 승인
한미약품-삼성에피스, 골다공증 '오보덴스' 국내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