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행성뇌질환 신경면역 치료타깃으로, B세포 발현 단백질로 알려진 'CD22'가 지목됐다. 토니 와이스-코레이(Tony Wyss-Coray) 스탠포드대 의대 신경과 교수 연구팀은 CD22가 미세아교세포(microglia) 억제성 면역관문 분자로 작동하며, 약물로 억제할 경우 미세아교세포 대식작용이 늘어나고 인지 저하가 개선되는 결과를 발표했다. 종양미세환경에서 PD-1 항체로 억제됐던 T세포를 활성화해 암세포를 공격해 항암효과를 발휘하는 것과 유사하다. 연구결과는 지난 3일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doi: 10.1038/s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s, ADCs) 컨셉은 파울 에를리히(Paul Ehrlich) 박사가 100년 전에 만들었으며, 이후 1983년 vindesine-CEA 항체가 첫 임상에 들어가고 35년이라는 시간이 지났다. 그러나 5개 ADC 약물만이 시판됐으며, 상업화 측면에서 성공적이지 못했다. 우리는 지난 35년 동안 ADC 임상개발에서 어떤 걸 배웠을까? 또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애브비가 향후 ADC 분야에서 주목하는 접근법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안토니 헤이츠(Antho
지금까지 우리는 이뇨제, 베타 차단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혈압 치료 약물의 개발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이제부터는 혈압 조절이나 협심증 등의 심혈관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겠다는 목표로 개발이 시작되었지만, 기대한 것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클래스의 치료제의 약물들의 개발 과정과 이를 낳게 된 연구를 살펴보도록 하자. 산화질소와 평활근 수축과의 관계 우리는 앞에서 칼슘의 유입에 의해서 평활근 수축이 자극되고, 칼슘 유입을 억제하는 칼슘 채널 차단제에 의해서 평활근
"인보사를 성원해준 환자분들과 바이오산업과 관련해 고군분투 하시는 정부, 학계, 기업의 모든 분께 진심으로 사과의 뜻을 전합니다." 이우석 코오롱생명과학·코오롱티슈진 대표는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긴급 기자회견을 이렇게 사과로 시작했다. 인보사의 주요성분 중 하나가 허가성분과 다른 사실이 밝혀진 이번 사태의 무게와 심각성이 배어났다. 이날 코오롱생명과학과 코오롱티슈진의 주가는 나란히 하한가를 기록하는 등 시장과 업계는 충격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이 대표는 하지만 "(이번 사태는) 세포는 처음부터 그대론데 명찰을 잘못
올해 ‘미국암학회(AACR) 2019’에서는 국내 제약사가 글로벌 기업에 기술수출한 신약 후보물질의 개발 진행상황을 알 수 있는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①편에서 소개한 동아ST가 애브비에 라이선스 아웃한 MerTk 저해제에 이어, 한미약품이 다국적 제약사에 라이선스 아웃한 2개의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데이터가 공개된다. 2016년 제넨텍에 계약금 8000만달러 및 마일스톤으로 8억 3000만달러 규모로 라이선스 아웃한 pan-RAF 저해제 ‘벨바라페닙(Belvarafenib; HM95573, GDC5573)’의 메커니즘 치별성을
아두카누맙(Aducanumab)의 13년간에 걸친 긴 여정이 실패로 끝났다. 바이오젠은 2007년 뉴리뮨(Neurimmune)에서 BIIB037을 라이선싱해 개발에 들어갔다. 2015년 PRIME 임상1b상에서 긍정적인 임상결과를 발표했다. 약물을 투여하고 52주가 지난 다음 10mg/kg 투여군에서 CDR-SB, MMSE 임상 지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했고, 약물 투여를 48개월까지 진행한 연장 코호트에서도 결과는 긍정적이었다. 최근들어 불안한 조짐은 있었다. 바이오젠은 지난해 2월 임상 1차 충족점에 가변성이 있다고 판단해
이번 연재에서는 현재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고혈압 조절 약물인 칼슘 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가 등장하기까지의 과정과 이를 가능케 한 기초 연구의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자. 칼슘의 심장 박동과 근육 수축에서의 역할에 대한 이해 오늘날 칼슘(Calcium)은 심근 및 평활근의 수축뿐만 아니라 수많은 세포에서 2차 전령(second messanger)으로 신호전달물질로 사용된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칼모듈린(Calmodulin)과 같은 칼슘 결합 단백질에 의해서 결합되어 여러 단백질의 기능을
국내 바이오제약기업들이 올해 잇달아 글로벌 대형 기술수출 계약에 성공하며 국내 신약개발산업의 경쟁력을 입증해가고 있다. 올해 1분기만 해도 2조1000억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확보했는데 이는 작년 성과의 절반수준에 육박한다. 25일 바이오스펙테이터가 2019년 국내 바이오제약기업들의 신약후보물질 해외 기술이전 성과를 집계한 바에 따르면 유한양행, 티움바이오, SK바이오팜, 올릭스, 레고켐바이오 등이 올해 18억6400만달러 규모(약 2조1000억원)의 기술수출에 성공했다. 계약금 규모는 1억2550만달러(약 1400억원)에 이른다
오는 3월 29일부터 4월 3일까지 미국 애틀란타에서 개최되는 글로벌 최대 암 학회인 ‘미국암학회(AACR) 2019’가 눈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특히 올해 20개가 넘는 국내 기업이 AACR에서 항암제 신약후보물질을 공개하겠다고 나섰다.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이번 AACR에서 항암제 후보물질 데이터를 발표하는 기업이 늘었으며, 초기 단계의 신약 후보물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었다. 이번 AACR에서 발표에 나서는 국내 제약사로는 한미약품이 제넨텍에 라이선스 아웃한 '벨바라페닙(HM95573)'을 포함해 4개, 동아ST가 애브비에 기
구글 딥마인드(DeepMind)가 단백질 3차 구조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한 알파폴드(AlpahFold)는 작년 12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CASP(Critical Assessment of Structure Prediction)13 대회에서 월등한 성적으로 우승하였다. 2년 주기로 열리는 CASP는 단백질 폴딩(Protein folding) 문제를 예측하는 대회로 단백질 구조 분야의 월드컵이라고 불린다. 2016년 봄 DeepMind팀이 알파고로 최고의 바둑 프로기사들을 모두 이겨 세계를 놀라게 한 것처럼 알파폴드는 단백질 구조
종근당은 히스톤디아세틸라제6(HDAC6)저해제인 'CKD-506'로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을 타깃한 신약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유럽에서 2a상을 진행중인 류마티스관절염 외에도 크론병, 대장염, 루푸스 등에서도 CKD-506를 적용한 연구결과를 내놓고 있다. CKD-506은 히스톤디아세틸라제6(HDAC6)를 억제해 염증을 조절하고 면역억제 T세포의 기능을 강화하는 새로운 기전의 자가면역질환 신약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가장 최근 공개한 연구결과는 CKD-506의 대장염 치료제 가능성에 대한 전임상 연구결과다. 종근당은 최근
미국 앨러간(Allergan)이 항우울제 ‘라파스티넬(Rapastinel)’ 임상 3상에 실패하는 등 핵심 신약 파이프라인이 위기에 봉착했다. 게다가 미국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면서 앨러간의 캐시카우(cash cow) 역할을 했던 보툴리눔 톡신(보톡스)까지 지난달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대웅제약-에볼루스 '나보타'로 인해 거센 도전에 직면하게 됐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앨러간은 최근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치료제 라파스티넬 허가를 위한 3건의 임상 3상 결과가 임상종결점을 충족
지난 연재에서는 약물 요법에 의해서 최초로 혈압 조절을 가능케 한 이뇨제와 베타 차단제 발견의 역사를 알아보았다. 이번 연재에서는 혈압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호르몬계인 레닌-안지오텐신계(Renin-angiotension system)에 관련된 발견의 역사와 이를 조절함으로써 혈압 조절을 가능케 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ACE inhibitor)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RB)의 개발과정을 알아보
국내 민간주도형 창업지원프로그램인 팁스(TIPS) 출신 바이오텍들이 올해 국내 초기 바이오투자 시장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TIPS 운용기관의 체계적인 인큐베이팅을 받은 검증된 기업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투자유치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 엑셀세라퓨틱스, 메디맵바이오가 시리즈A 첫 투자를 유치했다. 모두 2017년 TIPS에 선정된 동기들이다.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TIPS 운용기관 휴젤)는 OCI로부터 50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으며 엑셀세라퓨틱스(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는
미토콘드리아는 산소와 영양소를 이용해 세포의 활동 및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포소기관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하는 모든 것들은 미토콘드리아가 만들어낸 에너지를 통해 이뤄진다. 바꿔 말하면, 미토콘드리아가 유전이나 손상 등 여러 요인에 의해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질환도 생각 이상으로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단순히 에너지 대사 기능의 원인으로 여겨지던 미토콘드리아가 최근에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암과 혈관질환 뿐만 아니라 치매, 파킨슨병 등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에서도 중요한 원
빅파마가 AAV(Adeno-associated virus) 유전자 치료제 기업을 인수하는 빅딜이 또 한번 체결됐다. 로슈는 유전자 치료제 선두기업인 스파크테라퓨틱스(Spark Therapeutics)를 48억달러(약 5조3669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지난달 25일 밝혔다. 계약 규모로 보면 AAV 기업 인수건 가운데 2번째로 높은 금액이다. 이번 인수 가격은 스파크의 2월22일 주가에 122% 프리미엄을 붙인 주당 114.50달러로 책정됐다. 로슈와 스파크 이사회에서는 만장일치로 인수를 승인했다. 스파크레타퓨틱스는 로슈 그
유한양행,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셀트리온제약, 신규 '이중페이로드' 플랫폼 "첫 공개"
릴리, ‘GLP-1/GIP’ 폭발적 증가 "1Q 매출, 전년比 45%↑”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노바티스, 레귤러스 17억弗 인수.."신장질환 강화"
AZ, 신경과학 임상개발 "3건 중단..파이프라인 제로(0)"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