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앱클론(AbClon)은 21일 감사보고서 제출이 지연된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외부감사인은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정기주주총회 1주일 전에 회사에 제출해야하며, 앱클론은 오는 31일 정기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는 바, 외부감사인은 정기주주총회 개최 1주일 전인 21일까지 감사보고서를 제출해야한다. 그러나 앱클론은 2024 회계연도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와 관련, 감사의견 형성을 위한 추가 감사증거자료 제출이 지연되고 있다고 공시했다. 앱클론은 "감사보고서의 제출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에 따라 감사
세르비에(Servier)는 지난 19일(현지시간) 블랙다이아몬드 테라퓨틱스(Black Diamond Therapeutics)와 RAS/RAF 저해제 후보물질인 ‘BDTX-4933’의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라이선스인(L/I)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세르비에는 블랙다이아몬드에 계약금 7000만달러를 지급하고 이후 개발, 상업화 판매 마일스톤으로 최대 7억1000만달러를 지급하게 된다. 판매에 따른 로열티는 별도다. 계약에 따라 세르비에가 BDTX-4933의 임상1상 시작부터 개발과 상업화를 주도한다. 세르비에는 BRAF, C
일본의 조절T세포(regulatory T cell, Treg)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 회사 레그셀(RegCell)이 지난 18일(현지시간) 시드 펀딩을 종료하며 시드와 비희석 투자 등을 포함해 총 4580만달러의 자금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레그셀은 지난 2016년 설립된 바이오텍으로, 사카구치 교수의 면역억제세포 Treg 연구를 바탕으로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사카구치 교수는 Treg 및 Treg의 면역학적 자가내성(immunological self-tolerance)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기능을 처음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셀트리온(Celltrion)은 500억원 규모의 추가 자사주 매입을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자사주 취득은 오는 24일부터 장내매수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매입하는 자사주는 26만8385주, 500억원 규모다. 이번 자사주는 취득 후 전량 소각할 계획이며, 향후 연내 추가 매입하는 자사주도 전량을 소각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올해 1월 보유 수량의 25%에 해당하는 5533억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완료했으며, 이번달 14일 추가로 2033억원 규모의 올해 취득한 자사주 전량을 소각했다. 이번에 취득한 500억원 규모의
아버 바이오테크놀로지(Arbor Biotechnologies)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시리즈C로 739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아버는 지난 2017년 시리즈A로 1560만달러를, 2021년 시리즈B로 2억1500만달러를 투자받은 바 있다. 아버는 CRISPR 연구의 선구자인 펑 장(Feng Zhang) MIT 교수가 지난 2016년 공동설립한 바이오텍으로 간질환 및 중추신경계(CNS) 질환 등에서 유전자편집(gene-editing)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ARCH 벤처 파트너스(ARCH Venture
에스티팜(ST Pharm)은 지난 17일부터 20일까지 미국 뉴욕에서 열린 디캣 위크(DCAT Week 2025)에 참가했다고 21일 밝혔다. DCAT(Drug, Chemical & Associated Technologies) Week는 지난 1890년 뉴욕상공회의소 주관으로 시작된 150년 전통의 제약, 바이오 분야 대표 행사로 행사 기간동안 다양한 형태의 기업간 파트너링 미팅이 진행된다. 특히 의사결정권을 가진 고위 임원들이 주로 참석하면서 다양한 파트너링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의 장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티팜은 성무제 사장을
J&J(Johnson & Johnson)가 마침내 EGFR 변이 폐암 1차치료제 시장에서, 기존 판을 뒤집기 위한 임상3상 전체생존기간(OS) 결과를 공개한다. 그 시작점으로 올해초 J&J는 이중항체 병용전략의 MARIPOSA 임상3상 최종결과에서 표준치료제(SoC)인 EGFR TKI ‘타그리소’ 대비 OS을 개선한 결과를 얻었다. EGFRxMET 이중항체 ‘아미반타맙(amivantamab, 제품명 리브리반트)’와 EGFR TKI ‘레이저티닙(lazertinib, 제품명 라즈클루즈/렉라자)’의 병용요법이다. 당시 J&J는 아미반타
HLB의 '리보세라닙(rivoceranib)'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약승인을 받지 못했다. HLB는 21일 VEGFR2 TKI 리보세라닙과 항서제약(Jiangsu Hengrui Pharmaceuticals)의 PD-1 항체 '캄렐리주맙(camrelizumab)' 병용요법의 간암 1차치료제 신약허가신청에 대해 미국 FDA로부터 최종보완요구서(complete response letter, CRL)을 받았다고 밝혔다. HLB는 이번 CRL에 담긴 보완요청사유는 캄렐리주맙 공장의 의약품 제조품질관리(CMC)에 대한 지적사항
희귀난치성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인 티움바이오(TiumBio)는 최대주주인 김훈택 대표가 책임경영의 일환으로 오는 4월21일 자사주식 90만주를 추가 매수할 계획이라고 20일 공시했다. 김 대표는 "한국투자파트너스의 보유주식 전량을 신규 투자자들과 함께 인수할 예정"이라며 "올해 티움바이오 임상단계 파이프라인들의 주요 임상결과들이 예정되어 있는 바 가시적인 성과를 통해 주주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와 함께 이번에 주식 매수에 나설 신규 투자자에 대한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한국투자파트너스는 지난해
미국 머크(MSD)가 미국과 유럽에서 시판허가 검토를 뒷받침하는, PD-1 ‘키트루다’ 피하투여(SC) 제형의 임상3상 세부 결과를 공개한다. 머크는 연내 미국 출시를 목표로 공격적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향후 전체 시장의 30~40% 비중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당 키트루다 SC는 알테오젠(Alteogen)의 히알루로니다제 변이체(hyaluronidase variant) 베라히알루로니다제 알파(berahyaluronidase alfa, MK-5180)의 공동제형이다. 그리고 처음으로 세부 결과가 도출된 것. 새로운 데이터로 항암
차바이오텍(CHA Biotech)의 자회사인 마티카바이오랩스(Matica Biolabs)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 주관 ‘2025년 CMC 전략컨설팅’ 지원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이에 따라 마티카바이오랩스는 세포·유전자치료제(CGT)를 개발하고 있는 제약·바이오 기업을 대상으로 ▲제조공정 최적화 ▲제형 개발 ▲공정개발 및 CDMO 연계 GMP 시스템 확립 ▲개발 단계별 일정 및 계획 수립 등에 대한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CMC 지원사업은 전문성을 보유한 컨설팅사업 수행기관을 선정해 제약·바이오기업에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의 FcRn 항체 ‘바토클리맙(batoclimab)’의 중증근무력증(MG) 임상3상에서 성공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8년전 이뮤노반트 모회사인 로이반트(Roivant)에 바토클리맙의 미국과 유럽 권리를 라이선스아웃했다. 다만 현재로서 바토클리맙의 시판허가 제출은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앞서 이뮤노반트는 지난해 중반 안전성 프로파일을 개선한 후속 FcRn 항체 ‘IMVT-1402’에 전략적 우선순위를 옮기겠다고 밝혔었고, 이 같은 판단을 변함없이 고수하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과 한국여자의사회가 공동 제정한 ‘제7회 젊은의학자학술상’ 수상자로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병리과 차윤진 교수가 선정됐다고 한미약품이 20일 밝혔다. 젊은의학자학술상은 젊은 여성 의사들의 연구 의욕을 북돋우고 학술연구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19년 제정된 상으로, 우수한 연구 업적을 이룬 45세 이하 한국여자의사회 회원 중에서 매년 선정된다. 차윤진 교수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에서 Yes-연관 단백질1(YAP1)과 종양 경도(tumor stiffness)와의 상관
로슈(Roche)가 영국의 옥스퍼드 바이오테라퓨틱스(Oxford BioTherapeutics, OBT)와 항체치료제에 대한 신규 암타깃 발굴 딜을 체결했다. 계약금 3600만달러와 10억달러 이상의 마일스톤이 포함된 딜이다. 옥스퍼드의 플랫폼은 항체-약물접합체(ADC), 인게이저(TCE) 등 항체 기반 치료제의 신규 막단백질 타깃을 발굴하는 기술이다. 현재 시판된 치료제의 타깃을 넘어 새로운 항원을 표적해, 기존 치료제에 반응을 나타내지 못하는 환자를 커버하고 암 특이적인 타깃으로 안전성도 개선할 수 있다고 옥스퍼드는 설명한다.
티움바이오(TiumBio)는 파트너사인 중국 한소제약(Hansoh Pharma)이 성선자극호르몬(GnRH) 길항제(antagonist) ‘메리골릭스(Merigolix, TU2670/HS-10518)’의 임상 적응증을 추가했다고 20일 밝혔다. 한소제약은 이번에 중국 국가약품관리감독국(NMPA)으로부터 보조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에 대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으며 메리골릭스의 개발 적응증을 확장했다. 기존에 한소제약은 메리골릭스를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의 적응증에 대해
첨단바이오의약품 CDMO 및 신약개발 전문기업 이엔셀(ENCell)은 지난 13일(현지시간) 프랑스 툴루즈에서 개최된 국제근감소증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Frailty and Sarcopenia Research, ICFSR 2025)에 참석해 중간엽줄기세포(MSC) 치료제 후보물질 'EN001'의 근감소증 비임상 연구결과를 구두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발표에 따르면 20개월령 이상의 자연노화마우스 모델에서 EN001을 정맥투여했을 때 근육재생과 노화억제 및 근력강화 등의 효능이 관찰됐다. 특히 E
스파크바이오, LG화학과 '저분자 신약' "공동연구 계약"
월드ADC서 살펴본 '이중페이로드 ADC' 주목하는 이유?
루닛 "대주주 보호예수 해제물량, 매각계획 없어"
보로노이, 500억 규모 CB발행 "결정"
지아이이노, 'CD80-IL2'+키트루다 2상 "초기결과 공개"
카나프, 롯데바이오와 'ADC 플랫폼' 2차 공동연구
구글 칼리코, 中맵웰서 ‘IL-11 항체’ 5.96억弗 사들여
이노벤트, '첫' GLP-1/GCG 비만치료제 "中 승인"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인사]일동제약, 임원승진 인사
지노믹트리 美자회사, 테오 드보스 수석부사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신라젠, 우성제약 흡수합병 "완료"
“신약개발 선도 연구자 발굴"..'임성기연구자상' 공모
JW중외, 리겔 개발 'SYK 저해제' ITP신약 국내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