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케다(Takeda Pharmaceutical)가 미국 보스턴에 cGMP 세포치료제 제조시설을 설립했다. 세포치료제 연구와 임상에 집중하기 위해서다. 다케다는 지난 15일(현지시간) R&D 본부가 있는 미국 보스턴 매사추세츠에 2만4000평방피트 규모의 세포치료제 연구 및 제조시설을 설립, 세포치료제 생산능력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이 시설에서는 후보물질 발굴(discovery)부터 임상 2b상에 사용할 세포치료제를 생산할 계획이다.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생산시설로 세포치료제
BMS(Bristol Myers Squibb)가 옵시디안 테라퓨틱스(Obsidian Therapeutics)의 CD40L기반 세포치료제 기술에 대해 글로벌 라이선스를 확보했다. BMS는 이 기술을 CAR-T 세포치료제에 적용하여 면역항암제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BMS는 옵시디안의 'cytoDRiVE' 기술을 적용한 CD40L 세포치료 후보물질에 대해 전세계적 독점 라이선스를 갖는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는 작년 두 회사가 파트너십을 맺은 이후 결정된 첫 옵션 행사다. 계약에 의해 BMS는 옵시디안에 개발
감마델타(γδ, Gammadelta)T세포를 활성화하는 단일항체를 개발하는 임첵(ImCheck)이 시리즈B에 60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받았다. 작년 12월 시리즈B 투자를 마감한지 9개월 만이다. 임첵은 시리즈B로 600만달러를 추가 투자받아 총 54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지난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여기에 퓨레오스(Pureos), 비피프랑스(Bpifrance), 화이자벤쳐스(Pfizer Ventures), 웰링턴파트너스(Wellington Partners), 에이전트캐피탈(Agent Capital), 알렉산드리아벤처
말린크로트 파마슈티컬스(Mallinckrodt Pharmaceuticals)의 1형 간신증후군(Hepatorenal Syndrome Type 1, HRS-1)치료제 '텔리프레신(terlipressin)'에 대한 미국식품의약국(FDA)의 판매 승인이 거절됐다. 지난 7월 자문위원회는 텔리프레신에 대해 승인 권고 입장을 밝혔지만, FDA는 논의가 더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한 것이다. 말린크로트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미국 FDA로부터 '텔리프레신(terlipressin)' 승인 관련 보안요청서한(Complete Response Let
길리어드가 항체-약물 접합체(ADC) 회사 이뮤노메딕스(Immunomedics)를 210억달러에 인수하는 ‘빅딜’이 나온지 하루만에, 이번엔 미국 머크(MSD)가 유방암에서 PD-1 항체 ‘키트루다’와 병용투여를 위해 ADC 후보물질을 확보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임상에서 우수한 효능 데이터를 입증한 차세대 ADC 신약을 사들이는 빅파마의 경쟁이 시작되고 있다. 머크는 시애틀 제네틱스(Seattle Genetics)와 2가지 항암제를 공동개발 및 상업화하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지난 14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계약은 2
C4 테라퓨틱스(C4 Therapeutics, C4T)가 타깃 단백질을 분해하는 ‘TORPEDO(Target ORiented ProtEin Degrader Optimizer)’ 플랫폼 임상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1억달러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C4T는 지난 1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에 S-1 서류를 제출했다. S-1 서류에 따르면 면역세포 성숙과 관련된 IKZF1/3을 타깃으로 하는 리드 프로그램(Lead Program)이 내년 상반
베링거인겔하임(Beohringer Ingelheim)이 클릭테라퓨틱스(Click Therapeutics)와 조현병(Schizophrenia) 디지털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자체 개발중인 조현병 치료제와 더불어 디지털치료제라는 옵션을 추가하기 위해서다. 베링거인겔하임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클릭과 조현병 처방기반 디지털치료제(prescription-based digital therapeutic)에 대한 개발 및 상업화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베링거인겔하임은 클릭에 선급금과 개발단계 및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 순매출액에 대한
코디악 바이오사이언스(Codiak Bioscience)가 미국 나스닥(Nasdaq) 기업공개(IPO)에 재도전한다. 코디악은 지난해 7월 기업공개를 자진 철회한바 있다 코디악은 지난 9일(현지시간) 나스닥(Nasdaq)에 기업공개를 위한 서류를 제출했다. 목표 공모금액은 1억달러로 상장하게 되면 'CDAK'라는 티커로 거래된다. SEC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코디악은 엑소좀 플랫폼을 이용해 저분자화합물, 단백질, 핵산 등 다양한 약물 후보물질을 전달하는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코디악의 핵심 플랫폼 기술인 EngEX(Enginee
다케다(Takeda Pharmaceutical)가 다발성골수종 신규환자를 대상으로 한 ’닌라로(NINLARO, Ixazomib)' 3상에 실패했다. 닌라로 3제요법은 지난 2015년 치료경험이 있는 다발성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이번에 신규 환자를 대상으로 한 1차 치료제로의 적응증 확대에 나섰으나 실패한 것이다. 다케다는 지난 9일 열린 SOHO(Society of Hematologic Oncology)에서 닌라로 3제 병용요법에 대한 TOURMALINE-MM2 임상 3상 결과
일라이 릴리(Eli Lilly)가 경구용 급성 편두통 치료제 ‘레이보우(Reyvow, Lasmiditan)’의 추가 3상 결과를 내놨다. 레이보우는 1시간내 통증해소 비율과, 통증해소 지속효과, 통증완화 비율 등을 유의미하게 개선했다. 릴리의 레이보우는 지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받은 약물이다. 릴리는 11일(현지시간) 5-HT1F 작용제 ‘레이보우’의 임상3상(Centrurion study, NCT03670810)에서 2시간내 통증해소 효과 및 통증해소 효과가 48시간 동안 유의미하게 지속되는 결과 등을 나타내며 1
GlaxoSmithKline(GSK)의 ‘트렐리지 일립타(Trelegy Ellipta)’가 천식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장했다. 트렐리지 일립타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을 대상으로 2017년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받았다. 이번에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 치료를 위한 1일 1회 단일 흡입기로 인정받은 것이다. GSK는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FDA가 18세 이상 천식 환자 대상으로 ‘트렐리지 일립타(Trelegy Ellipta)’의 판매를 허가했다고
암릿 파마슈티컬즈(Amryt Pharmaceuticals)가 '아직 치료제가 없는' 수포성표피박리증(EB) 치료제 후보물질의 긍정적인 임상3상 결과를 내놨다. 암릿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필수베즈의 신약허가신청을 제출하고 우선심사를 요청할 계획이다. 암릿은 지난 9일(현지시간) 수포성표피박리증(Epidermolysis Bullosa, EB) 치료제 후보물질인 ‘필수베즈(Filsuvez, Oleogel-S10)’가 임상 3상(NCT03068780)에서 상처회복비율을 유의미하게 개선하며 1차 종결점을 충족시킨 긍정적인 결과를 밝
프리루드 테라퓨틱스(Prelude Therapeutics)가 PRMT5 저해제 기반 항암제 임상개발에 속도를 내기 위해 1억달러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추진한다. 프리루드가 지난 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에 나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 이번 IPO를 통한 1억달러 조달 계획과, 고형암과 혈액암에 영향을 주는 'PRMT5' 기반 항암제 임상시험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설립한 프리루드를 4년만에 나스닥 상장으로 이끈 기술과
미국 머크(MSD)가 P2X3 수용체 길항제인 ‘제파피잔트(Gefapixant, 프로그램명: MK-7264)’ 임상3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내놨다. 머크는 지난 9일(현지시간) 개최된 유럽호흡기학회 연례학술대회(European Respiratory Society International Congress) 2020에서 불응성 혹은 원인을 알 수 없는(unexplained) 만성 기침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제파피잔트’의 COUGH-1과 COUGH-2 임상3상에서 위약군 대비 기침빈도의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제파피잔트는
다케다(Takeda)가 연이어 비핵심자산을 매각하고 있다. 부채를 줄이고 연구개발 포트폴리오를 간소화해 핵심사업분야에 집중하기 위함으로, 지난해부터 매각한 비핵심자산의 총 금액은 목표치인 100억달러를 넘어섰다. 다케다는 8일(현지시간) 비핵심 처방의약품 포트폴리오를 독일 세플라팜(Cheplapharm)에 5억 6200만달러 규모로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다케다와 세플라팜은 2021년말까지 계약을 완료할 예정이다. 발표에 따르면 다케다가 세플라팜에 매각할 포트폴리오는 유럽과 캐나다에서 주로 판매되는 비핵심 처방의약품(
폐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사바라(Savara Pharmaceuticals)가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 CF) 환자의 비결핵성 항상균(nontuberculous mycobacterial, NTM) 치료를 위해 개발중인 신약 후보물질 ‘몰그라덱스(Molgradex)’의 임상 2a상을 중단키로 했다고 지난 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2a상 중단은 몰그라덱스의 효능을 입증하는데 실패함에 따라 결정되었다. 여기에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환자 모집 및 연구참여의 어려움, 대조약인 CFTR 저해제의 유효성(availabi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