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기업 페더레이션 바이오(Federation Bio)는 시리즈A로 5000만달러를 투자 받았다고 지난 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투자는 호라이즌스벤쳐스(Horizons Ventures)가 리드했으며 벤록(Venrock) 등 총 4개의 기관투자자가 참여했다. 페더레이션 바이오는 이번 투자금으로 임상 제조 프로세스를 구축할 예정이며 리드프로그램인 신장질환인 2차 고옥살산뇨(Secondary Hyperoxaluria) 치료제를 2022년 임상에 진입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페더레이션은 마이클 파쉬바흐(Mich
화이자가 중국 면역항암제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중국 시스톤 파마슈티컬(CStone Pharmaceuticals)이 개발 하는 후기 단계의 PD-L1 항체의 상업화 권리를 사들였다. 화이자는 독일 머크(Merck KGaA)와 PD-L1 항체 ‘바벤시오(Bavencio)’를 개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두 번째 협력으로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PD-L1 에셋을 가진 현지 파트너사를 택했다. 화이자와 CStone은 중국내 항암제 상업화 부문에서 계속해서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CStone은 화이자 자회사인 화이자 인베스트
BMS(Bristol Myers Squibb)의 '옵디보(Opdivo, nivolumab)와 여보이(Yervoy, ipilimumab) 병용요법'이 악성흉막중피종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다. 이번 승인은 중피종 치료제에 대한 16년 만의 FDA승인이다. BMS는 옵디보+여보이 병용요법이 수술로 종양을 제거할 수 없는 악성흉막중피종(Malignant Pleural Mesothelioma, MPM)에 대한 1차 치료제로 적응증을 확대해 지난 2일(현지시간) 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FDA는 중피종 치료제
스위스에 본사를 둔 바이오텍 코비스그룹(Covis Group)이 여성 건강(women’s healthcare) 관련 치료제를 개발하는 AMAG 파마슈티컬즈(AMAG Pharmaceuticals)를 인수했다. 코비스는 AMAG를 종가의 46% 프리미엄을 얹은 주당 13.75달러로 책정해 총 4억9800달러 규모로 인수했다고 지난 1일(현지시간) 밝혔다. 인수절차는 오는 2020년 11월에 마무리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인수로 코비스는 여성건강 포트폴리오를 획득하게 됐다. AMAG가 보유하고 있는 약물은 조기출산 저해제 ‘마케나
BMS가 마이오카디아(Myokardia)를 인수하며 폐쇄성비후성심근증(HCM)에 대한 치료제 후보물질 ‘마바캄텐(mavacamten)’을 확보하면서 심혈관계 파이프라인을 강화에 나섰다. 현재 비후성 심근증 치료를 위해 베타 저해제(beta-blocker)나 항부정맥 치료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승인받은 약물은 없다. BMS는 지난 5일(현지시간) 마이오카디아의 주식을 2일 종가인 139.60달러 대비 61%의 프리미엄을 얹은 주당 225달러, 총 131억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BMS는 현금으로 마이오카디아의 주식을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미국국립보건원(NIH) 하베이 J. 알터(Harvey J. Alter), 캐나다 앨버타대 마이클 호튼(Michael Houghton), 미국 록펠러대 찰스 M. 라이스(Cherles M. Rice) 등 과학자 3명이 선정됐다. 이들은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지난 5일(현지시간) 하베이 J. 알터, 마이클 호튼, 찰스 M. 라이스를 2020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메조블라스트(Mesoblast)의 소아 스테로이드 불응성 급성이식편대숙주병(steroid-refractory acute graft versus host disease, SR-aGVHD) 치료제 후보물질 ‘라이온실(Ryoncil, Remestemcel-L)’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이 거절됐다. 미국 FDA는 지난 8월 자문위원회(ODAC)로부터 찬성 9표, 반대 1표로 라이온실의 승인권고를 받았음에도 약물의 유효성에 대한 추가임상을 요구했다. 메조블라스트는 지난 1일(현지시간) 미국 FDA로부터 라이온실의 생물의약품
랩코프(LabCorp)가 잰핏(GENFIT)이 개발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진단키트 'NIS4™'에 대해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 상업화에 나섰다. 젠핏에서 개발한 혈액 기반의 NIS4™은 비알코올성지방간염 고위험 환자(비알코올성지방간 점수≥4, 섬유증 단계≥2)를 초기에 진단할 수 있는 키트이다. 혈액 내 존재하는 4개의 바이오마커(miR-34a-5p, Alpha-2 Macroglobulin, TKL-40, Glycated Haemoglobin)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침습성이 낮고 특이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졌다는
폭셀(Poxel)이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임상2a상에서 지방간 수치를 감소시킨 긍정적인 결과를 공개했다. 폭셀은 5일(현지시간) 경구용 AMPK 활성화제 ‘PXL770’의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에 대한 임상 2a상(STAMP-NAFLD)에서 지방간 수치를 낮추며 1차 종결점을 충족시킨 결과를 밝혔다. PXL770은 경구용 AMPK 활성제(AMPK activator)로 AMPK는 지질대사, 포도당 조절 등의 대사경로에 대한 핵심 조절인자다. 발표에 따르면, 폭셀은 120명의 NASH 환자를 대상으로 1일1회 250mg,
길리어드(Gilead Sciences)의 류마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치료제 ‘필고티닙(filgotinib)’이 일본과 유럽에서 판매 승인을 받았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지난 8월 필고티닙 투여에 따른 장기 독성 우려로 길리어드에 추가 데이터를 요구하면서 신약허가신청(NDA)에 대한 승인을 거절한 바 있다. 반면 일본과 유럽에서는 필고티닙의 시판허가가 이뤄졌다. 필고티닙은 지난달 25일 일본에서 류마티스관절염 적응증으로 시판 허가를 받았고, 다음날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에서도 중증 활동성
제넨텍(Genentech)이 백시바디(Vaccibody)의 '신생항원 항암백신'에 대한 독점적 글로벌 라이선스를 계약금 2억달러를 포함 7억1500맏달러에 사들였다. 백시바디(Vaccibody)는 지난 1일(현지시간) 로슈(Roche) 자회사 제넨텍과 DNA 항암백신 ‘VB10.NEO’의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독점적인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백시바디는 임상 1b상까지 개발을 진행하고 제넨텍은 후기임상 및 상업화를 담당한다. 계약에 따르면 백시바디는 제넨텍으로부터 계약금 2억달러에 추가로 개발 및 상업화에 따른
GSK(GlaxoSmithKline)는 천식치료제 '누칼라(Nucala, Mepolizumab)'가 과다호산구증후군(HyperEosinophilic Syndrome, HES)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으며 적응증을 확대했다고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에 따라 누칼라는 HES 치료제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첫 약물이 됐다. 누칼라는 6개월 이상 비혈액학적 2차 원인(non-haematologic secondary cause)이 없는 12살 이상의 성인 및 소아 HES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제로 시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를 개발하는 바이오텍 실버백 테라퓨틱스(Silverback Therapeutics)가 시리즈C로 8500만달러를 투자 받았다고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밝혔다. 실버백은 지난 2018년 시리즈A로 4750만달러, 올해 3월 시리즈B로 7850만달러를 투자받았고. 이번 시리즈C까지 총 누적투자금 2억1100만달러를 확보했다. 이번 투자는 EcoR1 Captal의 주도 하에 신규 투자자인 Boxer Capital of Tavistock Group 외 3개의 기업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이노비오(Inovio)의 코로나19 백신 임상2/3상에 추가 정보를 요구하며 제동을 걸었다. 이 소식이 알려진 후 이노비오의 주가는 전날 대비 28.34% 하락해 12.14달러에 마감했다. 올해 1월 3.21달러였던 이노비오의 주가는 지난 6월 미 국방성(DoD)과의 계약과 코로나19 백신 임상 1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31.69달러까지 10배 가까이 올랐다. 이노비오는 지난 28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 임상 2/3상과 관련해 미국 FDA에서 추가 정보를 요청해와 임상을 중단(partial clini
섬유증 치료제 개발기업 갈렉토(Galecto)가 폐 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2b상의 속도를 내기 위한 재정적 기반을 마련했다. 갈렉토는 임상2b상 결과를 바탕으로 유럽에서 조건부 승인(Conditional Approval)을 신청할 계획이다. 갈렉토는 폐 섬유증 치료제 ‘GB0139’의 임상진행에 속도를 내기 위해 6400만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지난 25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투자는 솔레어스캐피탈(Soleus capital)과 에이르벤쳐스(Eir V
얀센(Janssen Pharmaceuticals)이 코로나19 백신의 임상1/2a상 중간결과(interim analysis)를 공개했다. 얀센은 백신을 접종받은 피험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결합항체, 중화항체를 형성했으며 T세포 면역반응도 유도했다는 결과다. 얀센은 지난 25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 ‘JNJ-78436735(Ad26.COV2.S)’의 임상1/2a상 중간분석 결과를 medRxiv에 게재했다(doi.org/10.1101/2020.09.23.20199604). mdeRxiv는 전문가들의 평가가 진행되기 전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AC이뮨, ‘BBB 투과 ADC’ 개발중단..인력 30% 감축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