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슈(Roche)의 ‘악템라(Actemra, Tocilizumab), 노바티스(Novartis)의 ‘일라리스(Ilaris, Canakinumab)에 이어 인사이트(Incyte)의 ‘자카피(Jakafi, Ruxolitinib)’도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을 치료하기 위한 임상에서 실패했다. 인사이트는 지난 14일(현지시간) 12세 이상 코로나19 환자의 사이토카인 폭풍을 치료하기 위한 JAK1/JAK2 저해제 ‘자카피’와 표준치료(Standard of Care) 병용요법 임상3
라니(Rani therapeutics)가 시리즈E로 69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지난 10일 발표했다. 이번 투자금으로 라니는 주사 가능한 알약 ‘RaniPill™’의 임상 시험에 속도를 낸다. 이번 투자금까지 라니는 총 2억11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라니는 주사 가능한 로봇 알약인 ‘RaniPill™’을 개발한 회사다. 펩타이드, 단백질, 항체 치료제 등이 들어간 RaniPill을 복용하면 RaniPill은 장에서 용해되어 치료제가 포함된 침을 장에 주사한다. 장에는 통감 수용체가 없기 때문에 주사를 해도 통증이
항암바이러스(Oncolytic Virus) 개발기업 CG온콜로지(CG Oncology)가 지난 10일(현지시간) 시리즈D로 4700만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키세이 파마슈티컬스(Kissei Pharmaceuticals)가 리드했으며 총 4개의 투자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투자금은 현재 진행중인 비근침윤성 방광암(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NMIBC) 치료후보물질 ‘CG0070’의 단독투여 글로벌 임상3상(NCT04452591)과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
사노피(Sanofi)와 GSK(GlaxoSmithKline)가 공동개발중인 재조합 단백질 기반 코로나19(COVID-19) 백신 후보물질 임상이 50세 이상에서 중화항체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일정이 늦어지고 있다. 사노피는 지난 11일(현지시간) 재조합 단백질 기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과 면역증강제(Adjuvant) 병용투여 임상1/2상이 지연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사노피는 지난 9월 건강인 440명을 대상으로 재조합 단백질 기반 코로나19 백신과 면역증강제 병용투여 임상1/2상을 진행했다(NCT04537208). 임상 중간
길리어드(Gilead)가 MYR 파마슈티컬즈(MYR Pharmaceuticals)를 인수하며 만성 D형간염 바이러스(HDV)에 대한 첫 치료제인 ‘헵클루덱스(Hepcludex, bulevirtide)’를 확보했다. 헵클루덱스는 지난 7월 유럽에서 조건부 승인을 받아 시판중인 약물이다. 길리어드는 10일(현지시간) MYR를 17억5000만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MYR는 만성 HDV(chronic hepatitis D virus) 치료제를 개발 및 상업화 진행중인 회사다. 계약에 따라, 길리어드는 현금 약 13억9
TG 테라퓨틱스(TG Therapeutics)가 재발형 다발성 경화증(Relapsing Multiple Sclerosis, RMS)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항 CD20 단일클론 항체 '유블리툭시맙(ublituximab)'의 임상 3상에서 사노피(Sanofi)의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오바지오(Aubagio, teriflunomide)'보다 질병 재발률을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내놨다. TG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유블리툭시맙과 오바지오의 효능을 비교한 두 건의 임상 3상(ULTIMATE I, NCT03277261;
화이자(Pfizer)와 바이오엔텍(BioNtech)이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이 영국에 이어 미국에서도 첫 긴급사용승인(EUA)를 획득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자문위원회의 승인권고 후 하루만이다. 화이자는 11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코로나19 mRNA 백신 ‘BNT162b2’를 16세 이상의 사람들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긴급사용승인(EUA)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첫 백신 접종은 24시간내에 이뤄질 것”이라며 트위터를 통한 영상에서 밝혔다. 이번 FDA의 승인은 코로나19 백신의 상업
애브비(Abbvie)는 린버크(Rinviq, upadacitinib)로 진행한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임상 3상에서 좋은 결과를 냈다. 린버크는 지난해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궤양성 대장염을 비롯해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대한 임상이 진행중이다. 애브비는 린버크를 특허 만료로 시장을 바이오시밀러에 내주고 있는 휴미라(Humira)의 빈자리를 채울 차세대 약물로 보고 있다 애브비가 지난 9일(현지시간) 린버크에 대한 궤양성 대장염 임상 3상에서 1차 종결점과 2차
40년만에 KRAS를 타깃한 첫 약물이 나올수 있을까? 암젠(Amgen)이 진행성/전이성 비소세포폐암(NSCLC) KRAS 저해제 ‘소토라십(Sotorasib)’이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혁신치료제(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로 지정됐다고 지난 8일(현지시간) 밝혔다. 암젠은 올해 안에 소토라십에 대한 신약허가신청서(NDA)를 FDA에 제출할 예정이다. Bonnie J. Addario GO2 폐암 재단 이사장은 “40년 넘게 과학자들을 KRAS를 타깃으로 연구를 진행해 왔다”며 “오늘의 발표
이벨로 바이오사이언스(Evelo Bioscience)가 임상결과를 바탕으로 단일 균주(Monoclonal Microbe)에서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유래 엑소좀(Exosome)으로 항암제를 개발하는 전략으로 바꿨다. 이벨로는 지난 9일(현지시간) 샌안토니오 유방암 학술회의(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SABCS)에서 삼중음성 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대상 ‘EDP1503’과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 병
노바티스(Novartis)가 STAMP 저해제 후보물질이 만성골수성백혈병(CML) 비교임상 3상에서 1차치료제인 화이자(Pfizer)의 ‘보술리프(Bosulif, bosutinib)’보다 MMR 달성비율이 약 2배 높은 긍정적 결과를 내놨다. MMR(major molecular response)은 PCR로 분석결과 비정상 암유전자인 BCR-ABL1 비율이 0.1%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MMR 달성비율이 높으면 치료 효과가 크다는 것을 뜻한다. 노바티스는 8일(현지시간) 만성 골수성백혈병(CML)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STAMP
페어테라퓨틱스(Pear therapeutics)가 지난 8일(현지시간) 시리즈D로 80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투자는 SoftBank Vision Fund2가 리드하며 기존 투자자인 Temasek, 5AM Ventures, Arboretum Ventures, JAZZ Venture Partners, Novartis, CrimsoNox, EDBI가 참여했다. 새로운 투자자로는 Forth Management, Pilot House, Sarissa Capital, Shanda Group, QUAD Investme
미국 머크(MSD)가 지난 8월 한미약품의 비알코올성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치료후보물질 ‘GLP-1/글루카곤(Glucagon) 이중 작용제(Agonist)’를 8억7000만달러에 라이선스인한데 이어 이번에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기반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알리고스 테라퓨틱스(Aligos Therapeutics)는 지난 7일(현지시간) 머크(MSD)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기반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신약의 독점 라이선스(License) 및
미국 씨젠(Seagen)이 림프종을 대상으로 CD30 항체접합약물(ADC) ‘애드세트리스’를 적용해 진행한 5년간 추적 임상 결과 1차치료제 대비 무진행생존기간(PFS)을 개선한 결과를 내놨다. 씨젠은 7일(현지시간) 호지킨림프종(Hodgkin Lymphoma)과 말초성 T세포림프종(peripheral T-cell lymphoma, PTCL)에서 CD30 ADC 약물인 ‘애드세트리스(Adcetris, brentuximab vedotin)’를 1차치료제인 화학요법과 비교해 5년간 추적관찰한 임상 3상 결과 2개를 미국 혈액암학회(A
일라이릴리(Eli Lilly)가 지난해 80억 달러에 인수한 록소(Loxo Oncology)가 개발중인 BTK 억제제(Bruton's tyrosine kinase inhibitor) LOXO-305로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1/2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기존 BTK 억제제를 투여받았던 환자 대상으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 항암제 내성 환자들에게 투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높였다. 록소는 지난 5일과 7일(현지시간) 미국혈액학회의 연례학술회의(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nnua
바이엘(Bayer)이 아타라(Atara Biotherapeutic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고형암을 치료할 수 있는 ‘off the shelf’ CAR-T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바이엘은 지난 7일(현지시간) 아타라와 고형암 대상 CAR-T 치료제 개발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바이엘은 아타라의 메소텔린(Mesothelin) 타깃 CAR-T 치료제 후보물질 ‘ATA3271’과 ‘ATA2271’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게 됐다. 계약에 따라 아타라는 바이엘로부터 6000만달러의 선급금과 개발, 허가,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AC이뮨, ‘BBB 투과 ADC’ 개발중단..인력 30% 감축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
입셀, 오노와 ‘iPSC 기반’ 효능평가 서비스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