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국립과학원(NIH)이 병원에 입원한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일라이 릴리(Eli Lilly)의 코로나19 항체 ‘밤라니비맙(bamlanivimab, LY-CoV555)’ 단일요법 임상 2/3상(ACTIV-3 study) 환자 모집을 중단한다. 독립적인 데이터모니터링위원회(Independent data safety monitoring board, DSMB)가 밤라니비맙의 임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임상적 이점이 부족하다고 판단, 지난 13일 환자모집을 일시중단할 것을 권고한 것에 이은 결정이다. NIH는 지난 26일(현
이전에 없던 독특한 비즈니스 전략을 펼치는 미국 바이오텍 이큐알엑스(EQRx)가 올해 설립후 3번째 딜로, 지난달 화이자와 딜을 한 중국 시스톤 파마슈티컬(CStone Pharmaceuticals)으로부터 PD-L1, PD-1 면역항암제를 도입한다. CStone은 EQRx에 후기 개발 단계에 있는 PD-L1 항체 ‘수제말리맙(sugemalimab. CS1001)’과 PD-1 항체 ‘CS1003’의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을 제외한 전세계 개발 및 상업화 독점 권리를 라이선스아웃했다고 지난 27일 밝혔다. 수제말리맙은
포마(Forma therapeutics)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 2상 결과를 통해 IDH1 저해제 ‘올루타시데닙(Olutasidenib)’의 효능과 안전성을 보여줬다. 포마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올루타시데닙 임상 2상 중간결과 IDH1m(Isocitrate DeHydrogenase 1 mutation) 재발 혹은 난치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Relapsed/Refractory Acute Myeloid Leukemia, R/R AML) 환자들의 33%에서
울트라제닉스(Ultragenyx Pharmaceuticals)와 솔리드 바이오사이언시스(Solid Biosciences)가 희귀 근육질환인 뒤센근이영양증에 대한 AAV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울트라제닉스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솔리드와 뒤센 근이영양증(DMD)에 대한 유전자 치료제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솔리드는 울트라제닉스의 HeLa 생산세포주(producing cell line, PCL) 제조 플랫폼과 자사의 마이크로디스트로핀(microdystrophin construct)을 이용해 AAV 유전
터닝포인트테라퓨틱스(Turning Point Therapeutics)가 개발중인 MET TKI(Tyrosine Kinase Inhibitor) ‘TPX-0022’가 임상1상에서 객관적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 33%을 보였다. 터닝포인트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열린 EORTC-NCI-AACR 학회에서 다양한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MET TKI ‘TPX-0022’의 SHIELD-1 임상1상 중간결과를 발표했다. 모하마드 허만드(Mohammad Hirmand) 터닝포인트 최고 의료 책임자는 “
바이엘(Bayer)이 유전자 치료제 개발기업 애스클렙피오스 바이오파마슈티컬(Asklepios BioPharamceutical, AskBio)을 인수하며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cell and gene therapy, CGT) 분야를 강화했다. 지난해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개발기업 블루락 테라퓨틱스(BlueRock Therapeutics)에 이은 딜이다. 이번 인수로 바이엘은 신사업분야로 집중하고 있는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CGT) 분야에서 두 회사간 상호보완적인(complement)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서나오믹스(Sirnaomics)가 RNAi 치료제 개발을 위해 시리즈D로 1억500만 달러를 유치했다고 지난 2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투자로 서나오믹스는 암, 섬유증 질환, 대사성 질환, 바이러스 감염 등의 연구개발 및 임상 진행과 더불어 IPO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번 시리즈투자의 주요 투자기관으로는 기존의 Rotating Boulder Fund와 새롭게 참여한 Walvax Biotechnology, Sunshine Riverhead Capital 등이 있다. Patrick Lu 서나오믹스 CEO는 “적절한
레트로핀(Retrophin)이 효소대체요법(Enzyme Replacement) 치료제 개발회사 오판테크놀로지스(Orphan Technologies)를 인수했다. 레트로핀은 지난 22일(현지시간) 호모시스틴뇨(Homocystinuria) 치료제 ‘OT-58’의 임상 개발을 위해 오판테크놀로지스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레트로핀은 오판테크놀로지스 인수자금으로 9000만달러를 현금으로 선지급하고, 이후 마일스톤에 따라 최대 4억2700만달러를 추가 지급한다. 또한 레트로핀은 오판테크놀로지스에 향후 OT-58의 미국, 유럽에서의 순매출에 대
화이자(Pfizer)가 아릭사(Arixa Pharmaceuticals)를 인수하며 경구용 항생제 개발에 나선다. 이번 인수로 얻은 항생제 후보물질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을 경우, 이는 35년만의 새로운 경구용 베타-락타메이즈(β-lactamase) 저해 항생제가 된다. 화이자는 지난 22일(현지시간) 그람음성(Gram-negative)균에 대한 경구용 항생제를 개발하고 있는 아릭사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인수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Annaliesa Anderson 화이자 세균성백신부문 부회장이자 CSO(Chief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코로나19(COVID-19) 백신의 미국 임상을 45일만에 재개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23일(현지시간) 코로나19 백신 ‘AZD1222’의 미국 임상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임상 도중 발생한 부작용을 분석해본 결과 임상을 진행해도 안전하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회사측은 전했다. 파스칼 소리오(Pascal Soriot) 아스트라제네카 대표는 “코로나19 백신의 미국 임상을 재개해 매우 기쁘다”며 “코로나19 팬더믹을 극복하기 위해 백신 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기존 면역억제성 스테로이드 계열과 다른 접근법으로 안구건조증을 치료하려는 임상이 속도를 낸다. 아주라 오프탈믹스(Azura Ophthalmics)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케라틴을 타깃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제 개발을 위해 2000만달러를 투자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 오비메드(OrbiMed) 등 총 4개의 기관투자자가 참여했다. 이번 투자금을 바탕으로 아주라는 내년 안구건조증 치료후보물질 ‘AZR-MD-001’의 신약허가신청(NDA)을 위한 임상(Pivotal Registration Study)을 진행할 예정이며 후속파이프라인
GSK(GlaxoSmithKline)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백신 임상 1/2상에서 노인 혹은 영아 대상 두가지 백신 후보물질에서 면역반응과 내약성을 확인했다. GSK는 다음달에 임상 3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GSK는 지난 21일(현지시간) RSV 백신 후보물질 'GSK3844766A'와 'GSK3888550A'에 대한 임상 1/2상 결과를 발표했다. GSK는 임상 1/2상 결과 두 백신 후보물질로 높은 수준의 면역반응을 이끌어 냈고, 내약성(tolerability) 또
CRISPR 테라퓨틱스(CRISPR Therapeutics)가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유전자편집 동종유래 CD19 CAR-T의 임상 1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CRISPR은 지난 21일(현지시간) 동종유래 CD19 CAR-T ‘CTX110’을 재발성/불응성 비호지킨림프종(relapsed or refractory non-Hodgkin lymphoma)을 앓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 1상(CARBON study, NCT04035434)에서 긍정적인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긍정적 결과 발표에도 불
바이오젠(Biogen)이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치료제 ‘오피시누맙(Opicinumab)’의 개발을 중단하고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루게릭병(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바이오젠은 지난 21일(현지시간) 올해 3분기 실적발표에서 다발성 경화증 대상 오피시누맙 AFFINITY 임상2상에서 1차, 2차 충족점을 만족하지 못해(NCT03222973) 개발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자세한 임상결과는 아직 공개하지 않
스페어링비전(SparingVision)은 색소성망막염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돌연변이에 적용할 수 있는 유전자치료제 개발을 위해 시리즈A에 525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받았다. 스페어링비전은 지난 20일(현지시간) 시리즈A로 525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받아 총 71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리즈A는 VC4BIO캐피탈과 UPMC엔터프라이즈가 리드했으며 총 4개의 투자기관이 추가로 참여했다. 이번 시리즈A 투자금은 색소성망막염 치료제 후보물질 ‘SPVN06’의 임상 연구에 쓰일 예정이다. 스페어링비전은 SPVN06의
앱팅스(Aptinyx)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에 대한 ‘NYX-783’의 임상 2상에서 1차 종결점을 충족시키며 PTSD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앱팅스는 내년 NYX-783의 임상 3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앱팅스는 지난 19일(현지시간) PTSD 치료제 후보물질 ‘NYX-783’에 대한 임상 2상(NCT04044664) 결과 임상적,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했다고 발표했다. NYX-783 임상은 2017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패스트트랙(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AC이뮨, ‘BBB 투과 ADC’ 개발중단..인력 30% 감축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