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제네론(Regeneron)의 코로나19 항체치료제 ‘REGN-COV2’가 이미 체내에서 면역반응이 일어나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에 대한 항체가 형성된 경우에는 그 치료 효과가 미미한(minimal)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항체는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곧바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최소 1주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리제네론은 지난 17일(현지시간) NEJM(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입원하지 않은 코로나19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항체치료제 REGN-COV2의 임상1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의 코로나19 백신 'AZD1222'가 영국에서 처음으로 긴급사용승인(authorised for emergency supply)을 받았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새해 초부터 접종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영국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내년 1분기까지 수백만도즈(millions of doses)의 코로나19 백신을 공급할 예정이다. 이후 최대 1억도즈까지 백신을 공급하기로 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30일(현지시간)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으로부터 18세 이상의 성인에 대해 코로나19 백신
GSK(GlaxoSmithKline)와 화이자(Pfizer)가 설립한 HIV 치료제 전문회사 비브 헬스케어(ViiV Healthcare)가 장기지속형 HIV-1 치료 주사제를 유럽에 시판한다. 한달에 한번 혹은 두달에 한번 주사하는 치료제로 기존에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매일 복용해야 하는 HIV 환자의 부담을 덜 수 었을 것으로 보인다. GSK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비브 헬스케어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 EC)로부터 HIV-1 치료제 '보카브리아(cabotegravir injection, ta
암젠(Amgen)이 작년 셀진(Celgene)으로부터 '오테즐라(Otezla®)'를 인수하면서 같이 사들인 다른 PDE4 저해제 ‘AMG 634’의 권리를 매각한다. 암젠은 지난 22일(현지시간) 결핵(tuberculosis) 및 나성결절홍반(Erythema Nodosum Leprosum, ENL) 치료제 후보물질 AMG 634를 호주 MDGH(Medicines Development for Global Health)에 라이선스 아웃한다고 발표했다.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결핵은
우시 바이오로직스(WuXi Biologics)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바이엘(Bayer)의 독일 부퍼탈(Wuppertal) 소재 원료의약품 생산공장을 1억5000만유로(약 1억8330만달러)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공장은 COVID-19 백신 및 다른 생물의약품 생산이 가능하며, 2021년 상반기에 인수작업이 완료될 예정이다. 우시가 이번에 인수한 원료의약품 생산공장은 3만㎡(9075평) 규모로 1000리터의 퍼퓨전(Perfusion) 리액터 3개와 2000리터의 유가배양(Fed-batch) 리액터 6개를 보
A2 바이오테라퓨틱스(A2 Biotherapeutics)가 머크(Merck)와 자사의 'Tmod(T-cell module) 플랫폼'을 통해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CAR-T 세포치료제 개발에 나선다. A2는 23일(현지시간) 머크와의 이같은 내용의 공동연구 협약(Collaboration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머크는 A2의 전임상 개발을 지원하며, A2는 회사의 미공개 Tmod™세포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와 전임상 개발에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A2는 머크로부터
다케다(Takeda)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중국 헤이슨 바이오파마(Hasten Biopharmaceutic)에 비핵심(Non-core) 의약품 포트폴리오를 매각하는 3억2200만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다케다는 작년 1월부터 올해까지 약 100억달러 규모의 비핵심 의약품을 매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매각으로 다케다는 목표치인 100억달러를 초과한 총 약 113억달러 규모의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다케다는 이외에도 독일 세플라팜(Cheplapharm)과 5억6200만달러, 셀트리온과 2억7800만달러 등의 매
스카이호크 테라퓨틱스(Skyhawk Therapeutics)는 지난 22일(현지시간)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ertex Pharmaceuticals)와 중증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RNA 스플라이싱(splicing)을 조절하는 저분자화합물을 개발하는 22억달러 규모의 공동연구 및 라이선싱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서 구체적인 대상질환은 밝히지 않았다. 계약에 따라 스카이호크는 SkySTAR 플랫폼을 기반으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버텍스는 개발 및 상업화를 담당하게 된다. 공동연구로 발굴한 후보물질에 대한 전세계 독점적 권리는 버
로슈(Roche)가 당뇨병성 황반부종(DME) 치료제 '파리시맙(faricimab)'과 '아일리아(Eylea, aflibercept)'의 비교임상 3상에서 파리시맙의 효능과 내구성(durability)을 확인했다. 아일리아는 리제네론(Regeneron)의 망막질환 치료제로, 치료 효과를 위해 8주마다 안구 내 주사를 맞아야 하지만, 로슈의 파리시맙은 투여간격을 8주에서 16주로 늘려 안구주사에 대한 환자의 부담을 줄였다. 로슈는 21일(현지시간) 당뇨병성 황반부종 환자를 대상으로 이중항체(bispecific antibody) 치료
전립선암에 대한 첫 경구용 GnRH(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수용체 길항제 약물이 나온다. 마이오반트(Myovant)는 18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GnRH 수용체 길항제 ‘오르고빅스(Orgovyx, relugolix)’를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오르고빅스의 약가는 한 병(30 tablets)에 2313달러로 책정됐으며 내년 1월 시판될 예정이다. 오르고빅스는 GnRH 수용체 길항제로 전립선암의 원인인 고환 테스토스테론 생성을 감소시킨다. 오르고빅스는 1일 1회 투여하는 경구용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암젠(Amgen)이 공동개발중인 천식 치료후보물질 ‘테제펠루맙(Tezepelumab)’이 또 하나의 임상3상에서 1차 충족점(Endpoint)을 만족하지 못했다. 최근 아스트라제네카는 다른 임상3상에서의 긍정적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22일(현지시간) 천식 치료후보물질 ‘테제펠루맙(Tezepelumab)’의 SOURCE 임상3상에서 1차 충족점을 만족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코트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s)의 지속적인 처방을 필요로 하는 심
유니큐어(Uniqure)는 2주전 ASH(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에서 긍정적인 B형 혈우병 임상 결과를 공개했었지만 간암환자의 발생으로 임상을 중단한다. 유니큐어는 지난 21일(현지시간) B형 혈우병 유전자치료제 후보물질 ‘AMT-061(Etranacogene dezaparvovec)’에 대한 임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의 투약은 완료됐으며, 더이상의 환자 등록이나 치료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임상 중단은 2019년 10월 임상에 참여해 AMT-061을 투약받은 환자에서
중국의 자코바이오(Jacobio Pharmaceuticals)가 홍콩증권거래소(HKEX)에 기업공개(IPO)를 통해 1억6300만달러 규모의 자금조달에 성공했다. 자코바이오는 21일 IPO를 통해 주당 1.81달러(14 홍콩달러)로, 1억6300만달러(12.63억 홍콩달러)의 자금을 공모했다고 발표했다. 자코바이오는 유치한 자금의 88%를 자코바이오가 개발한 저분자 치료제의 임상 및 상업화에, 8%는 GMP 제조시설과 생산라인 구축에, 나머지 4%는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자코바이오는 다양한 종류의 암에서 발현하는 PTPs
베릴리(Verily)가 7억달러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Alphabet, Silver Lake, Temasek, Ontario Teachers’ Pension Plan 등 기존 투자기관이 참여했다. 베릴리는 이번 투자금으로 주력 프로그램인 ‘Baseline’, ‘Healthy at Work’와 베릴리가 설립한 기업인 ‘Onduo’의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베릴리는 구글의 지주회사인 알파벳(Alphabet)의 자회사이며 2015년 설립됐다. 베릴리는 '전세계의 건강 관련 데이터로 건강한 사회를
프랑스 소재 세르비에(Servier)가 대사(Metabolism) 항암제 개발에 뛰어들며 파이프라인을 확장한다. 세르비에는 지난 3월 셀렉티스(Cellectis)로부터 동종유래(Off-the-shelf) CAR-T 치료후보물질을 인수한 것에 이어 이번에는 대사 기반 항암제 개발기업 아지오스 파마슈티컬스(Agios Pharmaceuticals)의 항암제(Oncology) 포트폴리오를 라이선스인(License-in) 했다. 세르비에(Servier)는 지난 21일(현지시간) 아지오스와 항암제 포트폴리오 라이선스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노바티스(Novartis)의 고지혈증(Hyperlipidemia) 신약 ‘인클리시란(Inclisiran)’의 신약승인을 거절했다. 이에 앞서 인클리시란은 지난 11일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을 적응증으로 유럽에서 처음 승인을 받았다. ‘렉비오(Leqvio, inclisiran)’라는 이름의 제품으로 시판될 예정이다. 노바티스는 지난 18일(현지시간) FDA가 저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농도가 높고 스타틴(Stati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AC이뮨, ‘BBB 투과 ADC’ 개발중단..인력 30% 감축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
입셀, 오노와 ‘iPSC 기반’ 효능평가 서비스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