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오는 26일 오후 1시 서울 소공로 더 플라자 호텔 지하 1층 그랜드볼룸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 바이오스펙테이터와 공동으로 ‘2017 제2회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Bio-Pharma Tech Concert)’를 개최한다고 17일 밝혔다. 바이오파마 테크콘서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기초ㆍ원천 R&D 지원사업 연구성과 중 선별된 제약・바이오분야 유망기술을 소개해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촉진하고 국내 제약ㆍ바이오분야 산・학・연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행사에서는 연구성과실용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17일 “제네릭 제품은 생물학적동등성이 입증돼 (오리지널 의약품)과 안전성과 유효성이 같다”고 밝혔다. 이날 류 처장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식약처 국정감사에서 윤소하 정의당 의원의 오리지널 의약품과 제네릭간의 동등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윤 의원은 최근 노바티스의 리베이트 의약품에 대한 과징금 처분을 문제삼았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 노바티스의 리베이트 의약품의 보험급여 정지 처분을 결정하면서 백혈병치료제 ‘글리벡’의 처분은 과징금 대체를 허용했다. 글리벡이 이미 특허
임상시험 글로벌선도센터 컨소시엄(SCI-C)이 다빈도로 연구되는 80개 질환의 연구자 디렉토리를 구축, 공개한다고 17일 밝혔다. 컨소시엄에는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인하대병원이 참여하고 있다. SCI-C는 2016년 대상으로 △80개 질환별 환자 수 △80개 질환별 임상연구 진행 건 수 △80개 질환별 다빈도 연구자 리스트 등을 조사해 각 질환별 분석을 완료했다. 2015년 다빈도 연구 질환 80개에 대한 환자 수만 조사한 것을 확대한 것이다. 이번에 구축된 디렉토리는 2016년 1년 동안 4
코롱생명과학이 국내 최초의 유전자치료제 ‘인보사케이’의 출시 채비를 마치고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에 돌입했다. 17일 코오롱생명과학은 코오롱제약·한국먼디파마과 지난 14일부터 이틀 동안 국내 의료진들을 상대로 인보사케이 론칭 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지난 7월 국내 허가를 받은 인보사케이는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TGF-β1 유전자’가 도입된 동종연골유래연골세포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물로 국내 최초로 개발된 유전자치료제다. 심포지엄 첫날에는 이명철 서울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골관절염 치료 가이드라인을 시작으로 인보
한미약품의 항암신약 ‘올리타’(성분명 올무티닙)의 경쟁 약물로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가 지목된다. 올리타와 타그리소 모두 ‘3세대 EGFR TKI 계열’이라는 동일 기전의 약물이고,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은 적응증도 ‘이전에 EGFR-TKI로 치료 받은 적이 있는 T790M 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치료’로 같다. 국내 시판승인도 올리타(2016년 5월13일)와 타그리소(2016년 5월19일)는 유사한 시기에 이뤄졌다. 올리타는 임상2상시험을 완료한 이후 조건부승인을
SK케미칼이 국내서 임상3상시험을 진행한 과민성방광치료제 'THDV-201'의 긍정적인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동일한 연구결과를 두고 보건당국이 허가 불발 이유로 제시한 부작용 문제에 대해 연구진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THDV-201은 SK케미칼이 2013년 원개발사인 미국 테라비다와 국내 독점 판권 계약을 체결한 이후 국내에서 임상3상시험을 진행한 약물이다. THDV-201은 기존 과민성방광치료제가 복용시 입마름 현상을 유발해 물 섭취가 필요하고 다시 소변량을 증가시켜 환자의 고통을 가중한다는
일양약품은 최근 포르투갈에서 ‘열린 제19회 존 골드만 콘퍼런스'(19th Annual John Goldman Conference)에서 슈펙트의 임상2상시험의 36개월 장기추적결과와 3상 임상시험의 24개월 추적연구결과를 각각 구연 및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행사는 유럽혈액학회(ESH, European School of Haematology)와 국제만성골수성백혈병재단(iCMLf, Iinternational Chronic Myeloid Leukemia foundation) 가 공동 주관했다. 지난 2012년 1월
제일약품은 이명식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팀과 공동으로 개발 중인 새로운 당뇨치료제(자가포식 증진제, autophagy enhancer)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시장연계 미래신약기술개발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지원과제 선정으로 제일약품과 이명식 교수팀은 향후 2년간 선도물질 도출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될 예정이다. 이명식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자가포식’은 세포소기관의 기능 회복 및 재생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사질환인 당뇨병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자가포식 조절을 통해 당뇨병의 혈당을 위시한 대사지
바이오씨앤디는 1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보툴리눔 톡신 A 형 'BCD200'의 임상 1상을 위한 임상시험계획 승인신청계획(IND)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바이오씨앤디는 내년 상반기로 예상하는 식약처 임상시험계획 승인 이후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임상 1상에 진입해 안전성을 입증할 계획이며 1상 결과를 바탕으로 미간주름환자를 대상으로 한 다기관 임상 3상을 실시할 예정이다. 바이오씨앤디는 지난 7 월 강릉 과학산업단지 내 보툴리눔 톡신 전용 공장을 완공했으며 임상시험계획승인 신청(IND)과 수출용 허가를 순차적으로 진행해 2018년부터
알테오젠은 16일 자체 개발한 차세대 항암제 기술인 ‘NexMab™ 항체-약물접합(ADC) 기술‘(특허명: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하는 모티프가 결합된 변형항체)이 미국 특허 등록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에 특허 등록된 ADC 기술은 항암효과가 뛰어난 항암약물을 타깃 치료제인 항체의약품과 접합해 강력한 효능의 항암약물이 암세포에만 작용하도록 하는 원천기술이다. 최근에는 독성 약물을 항체에 선택적으로 접합하는 2세대 ADC 기술의 개발이 활발한데 알테오젠은 자체 개발한 2세대 기술로 미국에서 특허 등록하는 데 성공했다. 알테오젠은 이
젬백스앤카엘의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신약 후보물질이 성기능 감소 부작용이 없는 효과적인 전립선 질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국내에서 진행하는 임상은 현재 2상을 마무리한 후 3상을 준비 중이다. 젬백스앤카엘은 지난 12일 태국 치앙마이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전립선학회(APPS : Asia Pacific Prostate Society)에서 텔로머라제 유래 펩타이드 'GV1001'의 전립선비대증 치료 효과를 입증한 국내 2상 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16일 밝혔다. 젬백스앤
메디톡스가 미국에서 대웅제약 등을 상대로 제기한 '보툴리눔 균주 도용' 관련 민사소송이 국내서 진행될 전망이다. 미국 법원이 한국에서 진행되는 소송 경과를 지켜본 이후 재판 재개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미국 법원의 판단을 두고 대웅제약과 메디톡스가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면서 내리면서 혼선이 가중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 메디톡스는 지난 7월 미국 법무법인 셰퍼드 멀린을 통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렌지카운티 법원에 대웅제약과 대웅제약의 미국 파트너사 알페온 등을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메디톡스는 “대웅제약이 메디톡스에
한미약품은 지난 12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대한심장학회에서 아모잘탄플러스와 아모잘탄큐의 임상결과를 발표했다고 13일 밝혔다. 아모잘탄플러스는 한미약품이 자체 개발한 고혈압복합제 ‘아모잘탄’(암로디핀+로자탄)에 또 다른 고혈압약 클로르탈리돈 등 3개의 약물이 결합된 복합 개량신약이다. 아모잘탄큐는 아모잘탄에 고지혈증치료제 ‘로수바스타틴’을 결합한 약물이다. 한미약품은 아모잘탄, 아모잘탄플러스, 아모잘탄큐 등 3종의 복합제를 ‘아모잘탄패밀리’로 명명하고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시작했다. 학회에서 홍범기 연세의대 교수는
국내 항암신약 개발기업인 언코메트플러스 파마슈티컬(OncoMet+ pharmaceuticals)은 13일 '메티메디 파마슈티컬(MetiMedi Pharmaceuticals)'로 사명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메티메디 파마슈티컬은 항암제 개발에 중점을 둔 바이오텍 회사로서 현존하는 항암제의 여러 독성 및 제한된 적응증을 개선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항암제를 개발하고자 2016년 2월 설립됐다. 대표는 듀퐁 파마슈티컬(DuPont Pharmaceuticals)과 BMS를 거쳐 녹십자 R&D 총괄 CTO,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
한미 생명과학 협력 컨퍼런스(Koera-US Cooperative Conference for Life Science 2017, KUCCLS 2017)가 오는 11월 2일부터 4일까지 미국 메릴랜드주 워싱턴D.C. 인근에 위치한 IBBR(Institute for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Research)에서 열린다. KUCCLS 2017는 한국과 미국의 생명과학 전문가와 산업계들이 모여 첨단 생명과학 기술에 대해 논의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국가간 전문가간 협력을 모색하는 자리로 이번 행사에는 20개 이상의
On September 25, 2017, Jeil Pharmaceutical said tha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a government-affiliated institution, has selected its next-generation innovative type 1 diabetes drug, JP-2266 (low molecular compound), as part of a government program to cultivate blockbuster
에이비엘, 사노피와 'BBB 이중항체' 차별성 "논문 게재"
셀트리온, ‘사이언스&이노베이션 데이’ 개최
한미약품, 내달 EASD서 '비만 신약' 연구 "6건 발표"
길리어드 "여지없이", in vivo CAR-T '선두' 3.5억弗 인수
다인메디컬, 스위스 EMS와 "1020억 공급계약"
中그린밸리, ‘해초 유래’ AD치료제 “中정식승인 실패”
라이트, ’치주염균 타깃’ AD 2상 “美NIH, 5천만弗 지원”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뉴로핏, 과학자문위원에 '이와타 아츠시' 박사 영입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루닛, 이탈리아 지방보건국 11곳에 AI솔루션 공급
삼진제약, 독감백신 '플루아드쿼드' 런칭 심포지엄
한국얀센, 'IL-23 항체' 적응증 확대 "CD∙UC 승인"
디티앤씨알오, 루다큐어와 신약개발 협력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