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근당이 처음으로 도전한 바이오신약 EGFR/cMet 이중항체 항암제 ‘CKD-702'의 연구결과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특히 약물 저항성 동물모델에서 내성극복 가능성도 확인됐다. 종근당은 내년 상반기 임상1상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문승기 종근당 바이오의약실장은 지난 6일 경기도 여주 썬밸리 호텔에서 열린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R&D 워크숍’에서 항암 바이오신약 후보물질 ‘CKD-702'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종근당은 지난 2월 범부처전주기신약개발 과제에 선정돼 CKD-702 비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종근당이 첫번째
조직재생의학 바이오벤처기업 엘앤씨바이오가 오는 11월 코스닥에 상장한다. 엘앤씨바이오는 지난 6일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공모절차에 들어간다고 7일 밝혔다. 엘앤씨바이오는 지난 7월 초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으며 8월말 통과했다. 기술성장기업이 아닌 매출·수익성으로 평가하는 일반 상장이다. 엘앤씨바이오는 2011년 설립된 조직재생의학 R&D 전문기업으로 인체조직(피부, 뼈, 연골)을 기반으로 한 조직공학 치료재를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주요 제품인 ‘메가덤(Megaderm®)’은 외과에서 화상/외상
큐리언트가 총 4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지난 6일 공시했다. 이번 증자에는 쿼드 자산운용, 알펜루트 자산운용, 더블유자산운용이 참여했다. 큐리언트는 운영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159억9996만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신주는 보통주 74만7754주, 발행가액은 1주당 2만1120원이다. 또한 회사는 239억9994만원 규모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도 결정했다. 기타주 11만6361주, 발행가액은 1주당 2만1120원이다. 회사측은 "이번 자금조달은 운영비용과 R&D 비용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라며 "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새로운 형태의 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모델을 가동한다. 바이오벤처의 경쟁력 있는 신약 후보물질의 글로벌 임상을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전담해 신약 허가 및 상업화까지 돕겠다는 것이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미 국내외 바이오벤처 파트너사 찾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바이오플러스 2018'에서 신약개발을 위한 '리스크 셰어링 파트너십 모델(Risk sharing partnership model)'을 전격 공개했다. 삼성이 내놓은 파트너십 모델은 바이오벤처가 발굴해
지트리비앤티는 세계보건기구(WHO)가 부여하는 국제일반명(INN)으로 ‘티모신베타4(Thymosin beta 4)’의 성분명이 ‘timbetasin(팀베타신)’으로 등재됐다고 6일 밝혔다. 국제일반명이라 불리는 ‘INN(International Nonproprietary Name)’은 WHO가 규정한 의약 물질에 주어지는 공식적인 명칭으로 의약품의 물질 구분을 위해 부여한다. 전세계에서 개발되는 ‘Thymosin beta 4’의 물질구조 및 작용기전을 가지는 약물성분은 앞으로 ‘timbetasin’라는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 ‘t
“하버바이오메드(Harbour BioMed)는 핵심기술로 글로벌 수준의 2종류 인간항체(fully human antibody) 형질전환 마우스(transgenic mouse) 플랫폼을 갖고 있다. 내부 단일클론항체/이중항체 디스커버리 팀이 있어, 자체적으로 30개 이상의 발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임상 단계로는 파트너링을 통해 자가면역질환, 면역항암제 4개 에셋을 도입했고, 최근 2개 프로그램이 중국 약품감독관리국(CNDA)으로부터 임상허가신청(IND)을 승인받았다. 하버바이오메드의 비즈니스 모델과 파트너십 전략을 얘기하겠다
한미약품이 미국 스펙트럼에 기술수출한 항암제 ‘포지오티닙(Poziotinib)’의 새로운 임상결과가 나왔다.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EGFR 및 HER2 엑손(exon)20 변이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전향성 추적조사 연구의 중간결과다. 특히 HER2 코호트 연구결과 공개는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스펙트럼 파마슈티컬은 오는 24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리는 제19회 세계폐암학회(WCLC)에서 구두 발표할 ‘포지오티닙’ 임상결과 초록을 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초록에 따르면 EGFR 환자 50명 중 40 명을 조사한 결과, 8주차
대전의 신약개발기업 엔솔바이오사이언스가 오는 10일 코넥스에 상장한다. 한국거래소는 엔솔바이오의 코넥스시장 신규상장을 승인했다고 5일 밝혔다. 이에 따라 엔솔바이오는 오는 10일부터 주당 1만 6450원(액면가 500원)에 거래가 시작된다. 주식수 약 840만주를 감안하면 시가총액은 1300억 규모다. 엔솔바이오는 2001년 대전에 출발한 바이오벤처로 바이오빅데이터를 활용해 신약후보물질을 발굴하고 검증하는 2개의 신약발굴 플랫폼 기술(KISDD, ETONS)을 통해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 (동물) 골관절염 치료제 등을 개발하고
금융위원회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이달부터 상시 정보교환 채널을 운영한다. 정보 공유를 통해 신약개발 관련 자본시장내 허위·과장 정보의 유통을 막겠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5일 정보를 교류해 바이오·제약 산업의 건전한 발전과 자본시장 투자자 보호에 공동노력키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9월부터 금융위는 바이오·제약주 관련 시장정보의 진위를 식약처에 확인해 그 결과를 투자유의 안내, 주식 이상 거래 심리 분석, 불공정거래 조사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교환 대상 정보는 ▲의약품 허가절차와 임상시험
보건복지부가 내년부터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 양성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오는 11일 오후 2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K룸에서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설명회'를 개최한다. 복지부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오송첨단산업진흥재단,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신약개발지원센터와 함께 실무·실습 중심의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의 개발 및 제조공정에 필수적인 GMP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은 바이오의약산업 분야 취업 예비인력과 기업
국내 줄기세포 연구개발기업 스템랩의 오동훈 대표이사가 4일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주최로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제1회 지식재산의 날’ 기념식에서 특허청장 표창을 수상했다. 대통령 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는 작년 12월 법정기념일로 처음 제정된 9월 4일 '지식재산의 날'을 맞아 지식재산 발전에 기여한 개인과 지자체를 대상으로 지식재산 진흥 유공 정부포상을 마련했다. 공모와 심사를 거쳐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장 표창(개인 및 지자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표창(개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개인), 특허청장 표창(개인) 분
국내 체외진단·의료기기 기업들에 있어 신의료기술평가는 국내 시장 진입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장애물이다. 특히 세상에 없는 제품들은 문헌정보(신의료기술 평가 방법)가 부족하다는 이유에서 국내 시장 진입 기회를 부여받지 못했다. 정부가 최근 제도 개선 의지를 밝혔지만 여전히 갈길은 멀어 보인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4일 서울 명동 포스트타워에서 혁신의료기술 별도 평가체계 마련과 관련한 신의료기술평가 제도개선 공청회를 열었다. 정부는 지난 7월 의료기기 분야 규제혁신 방안을 내놓은 바 있다. 대표적인 것이 체외진단을 포함한 의료기기
유전체 분석 기업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가 국내 의료기기 유통회사인 씨엔에스헬스케어를 인수한다. EDGC는 4일 이사회를 열어 씨엔에스헬스케어의 총 발행주식 가운데 49.9%인 2만 958주를 양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양수금액은 199억 6000만원이다. 이에 따라 EDGC는 씨엔에스헬스케어의 1대 주주에 오르게 됐다. 씨엔에스헬스케어는 의료기기 전문 유통회사로서 국내 유수의 병의원 등의 매출처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액은 465억, 영업이익은 36억원, 당기순이익은 51억원이다. 이번 인수로 EDGC는 연결기
제일약품은 3일(현지시간) 슬로베니아 루블랴나에서 개최된 유럽 의약화학학회(EFMC-ISMC 2018)에 참가해 '위식도 역류질환 및 위산분비 치료제(JP-1366)' 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기존 약물 대비 JP-1366의 약효 신속성 및 지속성, 복약순응도가 모두 개선됐음을 확인했다. 제일약품은 경구 단회 투약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안정적인 혈중농도 유지를 비롯 특이적인 부작용 보고가 없는 것을 확인했으며, 올해 안에 반복 투여 임상 시험을 통해 약물의 내약성, 약동력학적 특성 및 안전성을 확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엑소좀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엠디뮨은 바이오드론 플랫폼 기술의 핵심인 '인공 엑소좀 기술'의 유럽특허를 등록했다고 4일 밝혔다. 엑소좀은 세포로부터 유래되어 생체 내 신호 전달 기능을 하는 물질이다. 특정 세포로 의약품을 전달할 수 있어 부작용을 줄이고 약물 효능을 높이는 전달체 역할을 한다. 그러나 천연 상태에서 획득되는 엑소좀의 양이 한정되어 있고, 엑소좀을 얻을 수 있는 세포 종류도가 제한적이라 임상개발이 어려웠다. 인공 엑소좀 기술은 세포로부터 엑소좀을 인공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생산 수율 및 엑소좀 추출 대상 세포의 다양성을
유산균 및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비피도가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를 통과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비피도는 지난 3일 기술성평가를 수행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나이스평가정보로부터 각각 A등급을 받았다. 기술성평가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필수단계로 기술의 완성, 경쟁우위, 인력 수준 등을 평가 받는다.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2곳의 전문평가기관 각각으로부터 A등급, BBB등급 이상을 받으면 코스닥 상장 도전의 기회가 주어진다. 비피도는 균주를 분리·동정하고 제품화하는 파마바이오틱스 개발 프로세스인 ‘BIFIDO-
길리어드 "여지없이", in vivo CAR-T '선두' 3.5억弗 인수
셀트리온, ‘사이언스&이노베이션 데이’ 개최
그래디언트, 동아ST와 '항암∙뇌질환' AI 신약연구 MOU
한미약품, 내달 EASD서 '비만 신약' 연구 "6건 발표"
다인메디컬, 스위스 EMS와 "1020억 공급계약"
아이씨엠, 'Nkx3.2 AAV' OA 1/2a상 "DMOAD 도전"
'의료AI' 템퍼스, '병리 선두‘ 페이지 8100만弗 인수
아이오니스, 편의성↑ 첫 'PKK ASO' 혈관부종 "美승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디티앤씨알오, 루다큐어와 신약개발 협력 MOU
아이엠바이오, 中진퀀텀과 '다가결합 ADC' 공동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