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스펙테이터 김성민 기자
아이엠바이오로직스(IMBiologics)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중국 바이오텍 진퀀텀(GeneQuantum)과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자체 다가결합 항체백본(multivalent antibody backbone) 기술인 ‘ePENDY(enhanced/engineered PENtamer boDY)’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와 면역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진퀀텀이 보유한 링커, 페이로드(payload)를 접목해 새로운 모달리티(modality)로 다가항체 기반 ADC를 공동개발하게 된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ePENDY 플랫폼을 기반으로 유망 ADC 타깃에 대한 발굴 및 생산하고, 진퀀텀은 링커와 페이로드를 적용해 ‘ePENDY ADC’ 물질을 제작하고 특성 및 효능 평가 등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인 ADC 타깃과 계약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의 ePENDY 기술은 항원 결합기(variable domain)가 2개인 IgG 항체와 비교해 IgM 구조를 기반으로 해 최대 10개의 타깃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항원에 대한 높은 총결합력(avidity)을 가지며, 클러스터링(clustering) 효과가 있어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작용제(agonism)에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최근 ePENDY 기술이 타깃 발현수준이 낮은 단백질이나 낮은 유효용량에서 IgG 항체와 비교해 높은 효능을 가지며, 타깃단백질과 결합한 후 IgG 항체 대비 더 빠르게 세포내로 내재화(internalization)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러한 특성에 기반해 ePENDY를 적용한 ADC가 기존 IgG 기반 ADC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고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하경식 아이엠바이오로직스 대표는 “ADC 전문기업인 진퀀텀과의 공동연구 진행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공동연구는 IgG 항체 대비해서 가지는 ePENDY의 장점을 활용한 글로벌 파트너십 일환으로 플랫폼 기술의 완성도와 확장성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 앞으로도 ePENDY 기술을 활용하여 다수의 글로벌 업체들과 다양한 협업과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할 것이다”고 말했다.
강진(Qin Gang) 진퀀텀 CEO는 “이번 협력은 자체 보유한 효소적 접합(enzymatic conjugation) 기술을 확장하고 글로벌화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라며 “아이엠바이오로직스의 차세대 ePENDY 플랫폼과 결합해 보다 광범위한 암을 타깃할 수 있는 차세대 ADC를 개발하고, 종양이질성(tumor heterogeneity)과 약물내성을 극복하며 향상된 치료 효능(therapeutic window)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