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온스와 지놈앤컴퍼니가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을 활용한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 개발에 나선다. 휴온스는 25일 성남 판교 본사에서 엄기안 대표와 지놈앤컴퍼니의 배지수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마이크로바이옴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진단 및 치료 솔루션 공동 연구·개발 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전문의약품,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 등과 같은 휴온스의 다양한 제품과 지놈앤컴퍼니의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접목한 새로운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한 개인 맞춤형 제품 및 진단·치료 솔루션을
셀트리온제약이 자회사 셀트리온화학연구소를 합병한다. 셀트리온제약은 25일 이사회를 개최해 안정적인 지속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연구개발과 생산 부문의 유기적 협업에 기초한 경영효율 극대화를 위해 자회사인 셀트리온화학연구소를 합병하기로 결의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화학연구소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셀트리온제약은 신주발행 없는 소규모 합병 방식으로 셀트리온화학연구소를 흡수합병한다. 셀트리온제약은 국내 처방 간장약 분야 매출 1위를 기록한 고덱스 등 30여종의 케미컬의약품을 생산하고 있다. 셀트리온제약은 지난 2015년 셀트리온그룹
유한양행이 25일 축구선수 손흥민을 앞세운 소염진통제 '안티푸라민' TV 광고를 선보였다. 손 선수가 참여한 이번 광고는 지난 연말 영국에서 촬영을 마치고, 1월부터 소비자들에게 공개됐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국가대표 손흥민의 탁월한 기량과 애국심이, 국민 대표약 안티푸라민의 탄생· 성장과정과 매우 닮아있다"며 발탁 배경을 설명했다. 안티푸라민은 유한양행의 창업주인 고(故) 유일한 박사가 치료받지 못하고 고통스러워하는 국민들을 위해, 1933년 자체 기술로 만든 첫 의약품이다. 안티푸라민 광고는 어둠이 짙게 깔린 그라운드에서 홀로
GC녹십자엠에스는 디아시스 인디아(Diasys India)에 당화혈색소(HbA1c) 측정 시스템 ‘그린케어 에이원씨’의 OEM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디아시스 인디아는 독일에 본사를 둔 글로벌 체외진단 의료기기 기업인 디아시스의 인도법인으로 그룹 내 현장진단(POCT) 의료기기 사업의 허브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계약은 4년간 총 133억 원 규모이며 GC녹십자엠에스는 측정기기부터 진단시약까지 당화혈색소 시스템 전체를 공급하게 된다. 이번 공급계약에 따라 GC녹십자엠에스는 디아시스 인디아가 보유한 자체 영업망을
암 조기진단 전문기업인 지노믹트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지노믹트리는 오는 2월께 코스닥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상장 주관사는 키움증권이다. 지노믹트리는 지난해 11월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지노믹트리는 후성유전학을 기반으로 체액 기반 대장암·방광암·폐암 조기진단 기술을 개발하는 체외진단기업이다. 대장암 조기진단키트 'EarlyTect-Colon Cancer'는 지난해 8월 식약처 3등급 의료기기로 허가 받았다. 지노믹트리는 1년에 17만건의 대장암
휴젤이 미국 등 글로벌 '보툴리눔 톡신' 시장 진출을 위한 마지막 3상을 예고했다. 올해 임상을 돌입해 2020년 중순까지 3상을 마무리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 시판 허가를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2022년 상반기 시판허가를 받는 것이 목표다. 휴젤은 24일 공시를 통해 보툴리눔 톡신 제품인 보툴렉스의 미국, 폴란드, 독일 임상 3상 시험 중 일부인 'Bless 1, 2'가 공식 종료됐다고 밝혔다. 이번 임상은 미간주름 치료에 대한 보툴리눔 톡신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됐다. Bless1은 700명, Bless2은
크리스탈지노믹스는 개발 중인 HDAC 저해제 ‘CG-745’의 신성고혈압에 대한 약효를 확인한 전임상시험 결과가 국제학술지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몰레큘라 사이언스(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게재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전남의대 신장내과 김수완 교수와 배은희 교수팀, 경북의대 김인겸 교수팀이 공동수행했다. CG-745는 후성유전학 표적단백질인 HDAC(Histone Deacetylase)의 기능을 저해하는 억제제다. 최근 HDAC가 특발성 폐 섬유질화(Idiopat
인포메디텍이 알츠하이머병을 신속하게 진단하는 새로운 알츠하이머병 진단 ApoE 검사법에 대한 특허를 획득했다. 인포메디텍은 올해 상반기 국내에 관련 제품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인포메디텍은 글로벌 전용 실시권을 보유한 ‘알츠하이머병 위험도와 관련한 ApoE 프로모터 단일염기변이 및 이것의 용도’에 대한 국내 특허가 등록됐다고 24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유전률이 70%이상인 고 유전성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사람의 ApoE(Apolipoprotein E) 유전자 변이가 일어날 경우 알츠하이머병 발병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
엑셀세라퓨틱스가 46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엑셀세라퓨틱스는 이번 투자로 용인 기흥 GMP공장 구축을 통해 핵심제품인 무혈청 화학조성 배지 양산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24일 엑셀세라퓨틱스에 따르면 이번 시리즈A 투자에는 한국투자파트너스, 레오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엘앤에스벤처캐피탈, 대덕벤처파트너스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엑셀세라퓨틱스의 핵심사업인 무혈청 화학조성 배지사업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해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5년 이의일 대표와 박상규 아주대약대 교수(CTO)가 참여해 문을 연 엑셀세라퓨틱스는
아이엠지티(IMGT)가 약 1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초음파 기반의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IMGT는 이번 투자 유치를 발판으로 2020년 항암제 임상 진입을 위한 연구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24일 IMGT에 따르면 이번 투자에는 시리즈A에 참여했던 K2인베스트먼트(30억원)를 비롯해 한국투자파트너스(30억원), IBK기업은행(10억원), 산은캐피탈(10억원), 엔젤투자자 등이 참여했다. 전체 규모는 97억7000만원이다. IMGT는 이학종 분당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의료기기연구
GC녹십자셀의 주력제품인 면역항암제 '이뮨셀-엘씨' 매출이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17년 2분기 이뮨셀-엘씨 직판 체제로 전환한 이후 실적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GC녹십자셀은 23일 "이뮨셀-엘씨의 매출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264억8000만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뮨셀엘씨는 환자 자신의 혈액을 원료로 만드는 환자 개인별 맞춤항암제로, 약 2주간의 특수한 배양과정을 통해 항암기능이 극대화된 강력한 면역세포로 제조해 환자에게 투여하는 새로운 개념의 항암제다. GC녹십자셀은 2017년 2분기 모기업인 GC녹십자로부
국내 제약사가 현재 개발중인 신약 파이프라인이 500여개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앞으로 개발계획이 있는 파이프라인까지 포함하면 1000개에 육박한다. 하지만 신약 파이프라인의 3분의 2가 임상 이전 단계여서 상용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어보인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최근 국내 제약기업 100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신약 파이프라인(후보물질) 설문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 결과 국내 제약사가 현재 개발중인 신약은 573개로 집계됐다. 제약사 1곳당 평균 5.7개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신약 유형별로는 바이오
오스코텍이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작년 11월 얀센 바이오테크에 총 12억5500만달러 규모로 기술수출한 레이저티닙이 원동력이었다. 오스코텍은 2018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87억원, 61억7800만원으로 집계됐다고 23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39억원)보다 37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58억원 손실에서 흑자전환했다. 오스코텍은 작년 금융당국의 권고로 연구개발비 무형자산화 비중을 90%대에서 1% 미만으로 크게 낮췄고 이전 재무제표와 사업보고서를 정정해 실적 악화가 우려됐다. 2018년까지 적자가 지속되면 3년 연속으로
한미약품이 일라이릴리에 기술수출한 면역질환치료제(LY3337641/HM71224)가 결국 반환됐다. 릴리가 작년 2월 임상 2상을 중단하면서 예고된 결과다. 한미약품은 지금까지 폐암치료제 올무티닙, 지속형인슐린까지 총 세 개의 신약후보물질의 권리를 돌려받았다. 하지만 한미의 플랫폼기술 랩스커버리가 적용된 첫 글로벌 바이오신약인 장기지속형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롤론티스’가 작년말 미국 식품의약국(FDA) 시판허가를 신청하고 항암신약 '포지오티닙' 역시 이르면 올해 말 시판허가 신청을 예고하는 등 글로벌 신약개발을 위한 전진은 계속되고
큐로셀이 시리즈B로 150억원 규모의 투자자금을 유치했다고 23일 밝혔다. 기존 투자기관으로 인터베스트, 미래에셋캐피탈이 후속 투자를 했고,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스틱벤처스가 새롭게 참여했다. 큐로셀은 2년전에 시리즈A로 20억원을 투자받은 것을 포함해 총 170억원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자금유치를 통해 큐로셀은 임상 진입을 위한 연구개발 가속화하고 임상의약품 제조용 GMP시설 구축에 집중할 계획이다. 큐로셀은 제약업계에 다년간의 경험을 가진 김건수 대표와 T세포 치료제 전문가 KAIST 김찬혁 교수와 항체 전문가 이화여대 심현보
브릿지바이오는 지난 22일 한국화학연구원 대전 본원에서 기술이전 계약 조인식을 갖고, 차세대 항암신약 후보물질을 도입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도입한 신규 후보물질은 차세대 표적항암제다. 폐암을 비롯한 다양한 암종을 타깃으로 기초 효력을 살피는 초기연구단계를 거쳐, 연내 GLP 독성시험을 포함한 전임상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브릿지바이오는 한국화학연구원에 계약금과 선급실시료 10억원을 포함해 총 300억원 규모로 후보물질에 대한 전세계 독점 실시권을 확보했다. 초기 연구개발과정에서 후보물질의 원개발기관인 한국화학연구원 의약바
삼성에피스홀딩스, 바이오 '플랫폼 개발' 자회사 설립
에이비엘, '이번엔' 릴리에 'BBB 플랫폼' 26억弗 L/O
올릭스, ‘MyD88 RNAi’ 황반변성 1상 “최종결과 수령”
[인사]일동제약 임원 인사
큐로셀, 서울대서 '고형암 CAR-T' 기술독점권 사들여
뷰노, 3Q 매출 108억·영업익 10억 "흑자전환"
지놈앤컴퍼니, ‘마이크로바이옴’ 위암 2상 “최종 결과”
머크, ‘경구' PCSK9 고지혈증 3상 "LDL-C 56%↓"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삼진제약, 복지부 'AI신약개발사업' 공동기관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