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미약품이 일라이릴리에 기술수출한 BTK억제제(LY3337641/HM71224)의 권리를 반환받았다. 일라이릴리는 작년 2월 류마티스관절염을 적응증으로 하는 BTK억제제 2상을 유효성 등의 이유로 중단한 바 있다. 한미약품은 23일 파트너사 일라이 릴리가 라이선스 계약했던 BTK 억제제(LY3337641/HM71224)의 권리를 반환했다고 공시했다. 한미약품은 “작년 2월 릴리가 BTK 억제제의 류마티스관절염 환자 대상 임상 2상 중간분석에서 목표하는 유효성을 입증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자 임상을 중단하고 다른 적응증 개발을 위한
존슨앤드존슨(J&J)의 블록버스터 항체의약품 레미케이드의 미국 매출이 지난해 2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 바이오시밀러 공세에 맞서 장기계약에서 소송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시장수성 전략을 펼쳤지만 매출, 점유율 하락을 피할수 없었다. 22일(현지시간) J&J 실적 발표에 따르면 레미케이드는 2018년 미국에서 36억6400만달러(약 4조150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전년(2017년) 매출 45억2500만달러에 비해 19.0% 감소한 것이다. 작년 4분기 매출 하락폭은 더 컸다. 이 기간 레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조작 의혹과 관련한 금융당국의 행정처분 집행이 정지된다. 법원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제기한 행정처분 등의 집행정지 신청을 받아들인 것이다. 이에 따라 처분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증권선물위원회간 행정소송 이후로 미뤄지게 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2일 증권선물위원회 처분 집행정지 신청 결과, 서울행정법원이 취소 청구사건의 판결선고 이후 30일이 되는 날까지 효력을 정지할 것을 주문했다고 공시했다. 앞선 작년 11월 증선위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종속회사에서 관계회사로 변경한을 것을 고의 회계기준 위반으로
NeoImmuneTech, Inc. (NeoImmuneTech), an immunotherapy drug development company focused on advanced cancer treatments, and Genexine, today announced that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has accepted its Investigational New Drug (IND) application to evaluate the combination of Hyleukin-7
CJ헬스케어는 종근당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성분명: 테고프라잔)의 국내 코프로모션 계약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두 회사는 국내 종합병원과 병·의원 등에서 케이캡정의 국내 영업 및 마케팅을 함께 진행한다. CJ헬스케어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은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 P-CAB)하는 새로운 기전의 신약으로 지난해 7월 식약처 허가 승인을 받았다. 현재 약가 협상절차를 밟고 있다. 케이캡은 임상에서 복용 1일째부
툴젠이 호주 바이오텍과 손잡고 유전자교정 기술을 접목한 차세대 CAR-T 개발에 나선다. 툴젠은 21일(현지시간) 호주 멜버른의 세포치료제 기업 ‘Cartherics Pty Ltd’와 항암 세포치료제 기능 강화를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는 Cartherics가 보유하고 있는 세포치료제 개발 기술과 툴젠의 유전자 교정을 적용한 치료제 개발 기술을 바탕으로 항암(암세포 제거) 기능이 강화된 세포치료제(CAR-T 등)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Cartherics는 환자 혈액 유래 T 세포 또는 유도만능줄기세
국내 바이오벤처인 지놈앤컴퍼니와 에이비엘바이오가 새로운 면역관문억제제 항체를 공동 개발한다. 특히 anti-PD1 비반응성 환자에 특화된 항체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개발 전문기업 지놈앤컴퍼니는 이중항체의약품 개발기업 에이비엘바이오와 혁신적인 맞춤형 면역항암제 개발을 위한 신규 면역관문억제제 항체 공동 개발 협약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지놈앤컴퍼니는 항체 개발을 위해 타깃 발굴과 전임상실험을, 에이비엘바이오는 항체 발굴과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두 회사는 anti-PD1 비반응성 환자에
바이오리더스가 이스라엘 요즈마그룹으로부터 10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바이오리더스는 이번 투자유치와 함게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Weizmann Institute of Science)의 항암제 파이프라인을 도입한다. 바이오리더스는 요즈마 글로벌 메자닌펀드 2호를 대상의 100억원 전환사채(CB) 발행을 결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CB발행은 세계 5대 기초과학연구소로 꼽히는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핵심기술을 이전해 사업화하고, 이스라엘 합작 바이오 기술 인큐베이터 설립이 목적이다. 특히 바이오리더스는 이스라엘 와이즈만의
신테카바이오는 21일 최고재무책임자(CFO)로 박성훈 전무를 영입했다고 밝혔다. 또한 양현진 이사를 의과학디렉터(Medical Science Director)로 임명했다. 이날 신테카바이오에 합류한 박성훈 전무는 기업 전략기획 및 재무컨설팅에 전문가다.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거쳐 미국 노스웨스턴대학 켈러그경영대학원에서 MBA학위를 받았다. 이후 베인앤컴퍼니(Bain & Company), CJ그룹(전략기획 및 M&A 상무보), 현대차그룹 금융계열사(영업마케팅 총괄 이사), ADT캡스(경영고문) 등을 거쳤다. 양현진 이사는 연세대학교
큐로셀이 2020년 차세대 CD19 CAR-T 임상을 시작하기 위한 본격 준비에 들어갔다. 큐로셀은 삼성서울병원과 면역항암세포치료제인 키메릭항원수용체T세포 치료제(CAR-T)의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협약했다고 21일 밝혔다. CAR-T는 2017년 처음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허가받은 유전자 치료제다.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말기 혈액암 환자에서 완전 관해율 80%라는 고무적인 효능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기술, 경험, 인프라 등 부족으로 개발되지 않고 있다. 큐로셀과 삼성서울병원의 기초연구, 임상연구, 임상
우정바이오는 스마트바이오팜과 업무 협약을 맺고 현재 건축 중인 동탄 우정바이오 신약클러스터에 연속생산공정을 적용한 GMP 생산시설 구축을 추진키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연세대 약대 정진현 교수(고문)가 창업한 스마트바이오팜은 유동화학(Flow chemistry) 연속생산 프로세스를 적용해 높은 품질, 적은 불순물, 보다 적은 공간에서 의약품원료와 시약을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 심유란 스마트바이오팜 대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선호하는 Flow chemistry 연속생산 프로세스를 적용하면 우정바이오의 신약개
신라젠은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의 주관으로 펙사벡과 아스트라제네카 더발루맙(임핀지)을 병용요법으로 투여한 임상 1상 중간 안전성 결과를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임상종양학회 위장관종양 심포지엄(ASCO GI 2019)’ 포스터 세션에서 발표했다고 21일 밝혔다. 임상은 화학요법에 실패한 현미부수체 안정형(MSS)을 가진 대장암 환자와 PD-1 억제제 단독요법에 실패한 고빈도 현미부수체 불안정성(MSI-H)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2017년 12월에 시작했다(NCT03206073). 임상은 크게 두
우진비앤지의 자회사 우진바이오는 아주IB투자의 ‘아주좋은기술금융펀드’로부터 2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를 위해 우진바이오는 각각 10억원 규모의 상환전환우선주와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이번 투자는 약 2개월 동안의 실사 및 투자심사위원회를 거쳐 결정됐고 우진바이오의 보유기술 및 현재 기업 가치는 약 200억 원으로 평가됐다. 우진바이오는 아주IB투자외에도 몇몇 기관들과 후속투자 협의를 하고 있다. 우진바이오는 모회사 우진비앤지가 백신 전문 기업으로의 전문성 및 경쟁력을 도모하기 위해 작년 말 분할한 신설법인이다.
신생 바이오벤처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가 국내 화학에너지기업 OCI로부터 50억원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 에스엔바이오는 이번 투자를 발판으로 올해 하반기 미국과 국내 나노항암제 임상을 추진하는 등 신약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는 21일 OCI로부터 50억원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에스엔바이오는 한미약품, CJ제일제당, 유타-인하 DDS(drug delivery system) 연구소 등을 거친 박영환 대표가 2017년 5월 설립한 바이오벤처다. 항암제 나노의약품에 특화된 약물전달시스템 '이중나노미셀
JW중외제약이 A형 혈우병 치료제 블록버스터로 주목받는 헴리브라(Hemlibra)의 국내 허가를 획득했다. 최초의 피하주사제형으로 평생 주사를 맞아야 하는 환자들의 투약 편의성을 개선한 제품이다. JW중외제약은 항체보유 A형 혈우병 예방요법제 헴리브라피하주사(성분명 에미시주맙)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시판 허가를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일본 쥬가이제약과 스위스 로슈가 개발한 헴리브라는 혈액응고 제8인자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A형 혈우병의 일상적 예방요법제인 유전자재조합의약품으로 제8인자의 혈액응고 작용기전을 모방해 활성화된 제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미국 진출 2호 바이오시밀러가 탄생했다. 블록버스터 항암 항체치료제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인 온트루잔트(성분명: 트라스투주맙)가 미국 판매승인을 획득한 것.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18일(현지시간)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온트루잔트 150mg' 바이오의약품 품목허가신청(BLA, Biologics License Application)을 승인했다. 2017년 12월 심사에 착수한지 1년 1개월여만이다. 온트루잔트는 다국적 제약사인 로슈(Roche)가 판매하는 허셉틴의 바이오시밀러다. 허셉틴은 초기 유방암, 전이성 유방암
삼성에피스홀딩스, 바이오 '플랫폼 개발' 자회사 설립
에이비엘, '이번엔' 릴리에 'BBB 플랫폼' 26억弗 L/O
올릭스, ‘MyD88 RNAi’ 황반변성 1상 “최종결과 수령”
[인사]일동제약 임원 인사
큐로셀, 서울대서 '고형암 CAR-T' 기술독점권 사들여
뷰노, 3Q 매출 108억·영업익 10억 "흑자전환"
지놈앤컴퍼니, ‘마이크로바이옴’ 위암 2상 “최종 결과”
머크, ‘경구' PCSK9 고지혈증 3상 "LDL-C 56%↓"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삼진제약, 복지부 'AI신약개발사업' 공동기관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