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진은 24일 ‘다가 코로나 19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정부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아이진은 2년간 총 100억원의 지원금에 자체 연구비 30억원을 더해 총 130억원 규모의 연구를 수행한다. 아이진은 이번 과제를 통해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의 반복접종과 소아 접종이 가능하도록 추가적인 안전성을 확보하는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또 새롭게 발생될 수 있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다가 mRNA 백신 시스템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이진 관계자는 “이번
펠레메드(PeLeMed)는 23일 FLT3/RET 이중저해제 후보물질 ‘PLM-102’의 전임상 연구결과를 미국 임상종양학회 2022(ASCO 2022)에서 발표한다고 밝혔다. 펠레메드의 표적항암제 후보물질 PLM-102는 급성 골수성백혈병(AML) 치료제인 FLT3 저해제 ‘조스파타(Xospata®, gilteritinib)’ 등 기존 약물로 치료 이후 내성으로 나타나는 FLT3 저항성 돌연변이(D835Y, F691L)까지 표적한다. 펠레메드는 내년 한국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를 목표로 하고 있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가 8년만에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의 합작사 아키젠 바이오텍(Archigen Biotech)을 청산한다. 24일 삼성바이오로직스 1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월 아키젠 청산에 대한 이사회 승인이 진행됐으며, 2분기내 청산대금 40억원을 수령할 예정이라고 공시했다. 아키젠은 지난 2014년 6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아스트레제네카가 각각 지분 50%를 투자해 설립한 합작회사이며, 아키젠은 림프종치료제 CD20 항체 '리툭산(성분명: 리툭시맙)'의 바이오시밀러 'SAI
에이프릴바이오가 코스닥 시장위원회를 통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통과해 코스닥시장 기업공개(IPO)가 가능해졌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시장위원회는 에이프릴바이오의 상장예비심사 승인을 결정했다. 에이프릴바이오는 지난 3월 코스닥 상장위원회의 예비심사에서 미승인 판정을 받았으나 시장위원회 재심에 도전해 상장에 성공했다. 이번 결정으로 에이프릴바이오는 코스닥 시장위원회가 상장위원회의 심의결과를 바꾼 첫 사례가 됐다. 코스닥 상장규정상 상장위원회에서 미승인을 받으면 코스닥 시장위원회에서 재심을 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자
브릿지바이오 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운영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약 486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3일 공시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이번 제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투자자를 대상으로 전환우선주(CPS) 474만1440주를 발행한다. 발행가액은 기존 주가에서 10% 할인된 1만250원이다. 3자배정 대상자는 증권사, 자산운용사, 벤처캐피탈 운용펀드 등 30여 곳이 참여했다. 브릿지바이오가 이번에 신규 발행하는 전환우선주는 전환가격 조정약정(리픽싱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올릭스는 23일 이사회에서 총 57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전환우선주(CPS) 발행을 통한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두건의 공시를 통해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올릭스는 전환우선주 221만527주를 발행해 총 420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한다. 해당 유상증자에는 화인자산운용, 케이비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 솔리더스인베스트먼트 등이 참여한다. 추가로 올릭스는 전환우선주 78만9481주를 발행해 총 150억원 규모의 3자배정 유상증자를 진행한다. 해당 유상증자에는 수성자산운용, 웰컴자산운용, 포커스자산운용
대웅제약은 지난 4월 이후 멕시코, 칠레, 에콰도르, 페루 등 중남미 4개국에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신약 '펙수클루정(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 Fexuprazan)'의 신약허가신청서(NDA, New Drug Application)를 각각 제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4개국 NDA 제출로 펙수클루정은 현재 8개 국가에서 허가절차를 진행하게 됐다. 브라질은 지난해 4분기에, 필리핀∙인도네시아∙태국은 올해 1분기에 신약허가를 신청했다. 펙수클루정은 대웅제약이 자체 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의 계열 내 최고(Best-in-class) 신
면역세포치료제 전문기업 바이젠셀(Vigencell)은 23일 교모세포종 치료제 후보물질 ‘VT-Tri(2)-G’의 임상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VT-Tri(2)-G는 환자로부터 채취한 T세포를 항원특이적 살해T세포(cytotoxicity T lymphocyte, CTL)로 분화시키는 ‘바이티어(ViTier)’ 플랫폼으로 개발한 약물이다. 다중항원을 이용해 종양의 면역회피기전을 극복한다는 전략이다. 바이젠셀은 IND 승인이 이루어지게 되면 임상1상을 통해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
메드팩토(Medpacto)는 23일 진행성 데스모이드 종양에 대한 TKI '이매티닙(imatinib)' 단독요법 대비 TGF-β 저해제 '백토서팁'과 이매티닙 병용요법 비교시험 임상 2상을 자진철회한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메드팩토는 지난해 11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2상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으나, 현재까지 임상환자 모집 및 투약을 실시하지 않은 상황이었다. 메드팩토는 이와관련, 개발계획 변경에 따른 임상 2상에 대한 IND 자진철회라고 설명했다.
HK이노엔(HK inno.N)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이 필리핀에서 허가를 획득하며 동남아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이는 케이캡이 기술 및 완제품 수출계약을 통해 진출한 해외 34개국 중 몽골, 중국에 이어 3번째로 받은 허가다. HK이노엔(HK inno.N)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이 필리핀 식품의약품청의 최종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케이캡은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P-CAB)이다. 이번에 허가된 케이캡의 적응증은 국내 적
세라노틱스는 23일 자체개발 중인 합성 완전인간항체 라이브러리 프로젝트가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의 중소기업기술혁신개발사업 시장확대형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세라노틱스는 기존에 개발한 합성 완전인간항체 라이브러리를 고도화하는 비용을 2024년까지 지원받게 된다. 세라노틱스의 합성 완전인간항체 라이브러리는 현재 항원-항체 결합부위(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중 항원 결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VH(heavy chain variable region) CDR3
SK바이오사이언스는 23일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의 수출을 시작하며 중남미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 2월 UN산하 국제기구인 범미보건기구(pan america health organization, PAHO)의 3127만달러(약 374억원) 규모 입찰 수주에 성공한 바 있다. PAHO는 중남미 지역의 수두 질환 예방을 목적으로 PAHO 가입국가들로부터 수두백신에 대한 잠정 수요량을 정기적으로 파악한다. 이후 PAHO는 사전 입찰을 통해 글로벌 수준의 기술력 및 생산 능력을 지닌 기업을 선정해 수두백신이
셀트리온은 23일 일본류마티스학회(Japan College of Rheumatology 2022, JCR)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Humira, adalimumab) 바이오시밀러 ‘유플라이마(Yuflyma, CT-P17)’의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했다. 셀트리온은 건강한 일본인 204명을 대상으로 유플라이마 투여군과 아달리무맙 투여군으로 나눠 단일투여 하는 임상 1상을 진행했다. 약물 투여 후 10주 간의 경과를 관찰한 결과, 셀트리온은 두 그룹의 약동학(PK)적 유사성과 약물투여로 인한 이상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에서
피노바이오는 20일 영국 압타머그룹과 압타머-약물 접합체(Aptamer Drug Conjugate, ApDC) 추가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피노바이오와 압타머그룹은 혈액에서 유래하지 않는 Nectin-4, Tissue Factor, CEACAM5, CD73 등 4개 타깃에 대해 추가연구를 진행한다. 피노바이오는 지난해 압타머그룹과 림프종, 골수종 등 혈액암을 적응증으로 ApDC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계약금 등 상세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양사는 이번 추가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계기로 파트
아피셀테라퓨틱스는 20일 엑셀세라퓨틱스와 유전자도입 줄기세포 치료제 맞춤형 배지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협약에 따라 아피셀테라퓨틱스에서 개발중인 유전자세포 치료제개발 플랫폼인 ‘AFX플랫폼’에 적합한 맞춤형 화확조성 배지를 개발한다. 아피셀은 이를 통해 배양효율을 높이고, 안전성이 강화된 배지공급처 확보를 통해 유전자세포 치료제 개발을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엑셀세라퓨틱스는 맞춤형 화학조성 배지 개발을 통해 독자개발한 첨단바이오산업용 배지 제조 기술의 경쟁력을 입증하고 매출증대
디지털케어 솔루션 전문기업인 씨어스테크놀로지(Seers technology)는 20일 웨어러블 심전도 패치로 진행한 72시간 심전도 검사의 심방세동(AF) 검출률 임상결과가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해당 임상은 최의근 서울대병원 교수팀이 진행했다(doi:10.2196/37970). 논문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심방세동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은 첫 24시간 동안에는 씨어스의 웨어러블 심전도 패치와 기존 홀터 심전도기(Holter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화이자 勝, "치열했던 7일" 멧세라 100억弗 인수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J&J, ‘다잘렉스SC’ 최초 무증상MM 확대 "FDA 승인"
베링거, CDR서 'CD19xBCMAxCD3' 5.7억弗 사들여
티움, ‘ALK5/VEGFR2’ 두경부암 2a상 “ORR 70.6%”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종근당, 'cMET ADC∙경구 GLP-1' 등 3건 "美학회 발표"
동국생명과학, 조영제 '메디레이' 우크라이나 수출계약
유한, J&J와 '리브리반트+렉라자' 국내 공동판촉 계약
신라젠, 'TTK/PLK1 저해제' 전임상 "SITC 발표"
큐로셀, 서울대서 '고형암 CAR-T' 기술독점권 사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