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Bridge Biotherapeutics)는 지난 10일 온라인 IR 기업설명회를 통해 지난달 진단기업인 엘립스진단(ELIPS Diagnostics)의 50% 이상에 해당하는 지분인수 절차를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엘립스진단은 지난 2021년 7월 신익수 숭실대 화학과 교수가 설립했으며, pre-시리즈A 단계 회사이다. 브릿지바이오는 전기화학발광(ElectroChemiLuminescence, ECL) 기반 진단기술을 보유한 엘립스진단을 인수해 중앙검사실(central Lab), 현장진단(point-of-care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연내 선천성면역 STING을 활성화시키는 기전의 ENPP1 저해제 후보물질을 도출해, 전임상 개발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또다른 한축으로 레고켐바이오는 항체에 STING 작용제(agonist)를 결합한 ADC 형태의 면역활성화 약물도 연구하고 있다. 글로벌에서도 면역항암제로 ENPP1 저해제 개발은 아직 초기 단계이다. 앞서가는 회사로 리보사이언스(Riboscience)가 ‘RBS2418’와 키트루다 병용투여로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전임상 개발 단계 회사로 아바뮨
올릭스(Olix Pharmaceuticals)는 지난 2013년 휴젤(Hugel)과 총 10억원 규모로 체결한 비대흉터 치료제 후보물질 CTGF asiRNA ‘OLX101A(BMT101)’의 아시아 지역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해지하고 모든 권리를 반환받기로 합의했다고 10일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이번 계약해지는 기술적 문제가 아닌 휴젤의 내부 사업방침 변경에 따른 것이다. 휴젤은 OLX101A의 국내 임상진행 및 아시아지역 독점판권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지난 2018년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OLX101A(BMT101)의
'바이오코리아 2023(BIO KOREA 2023)' 행사가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에서 개막돼 12일까지 열린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충청북도가 공동 주최하는 바이오코리아는 2006년부터 시작되어 올해로 18째를 맞는다. 이번 행사는 "초연결시대, 신성장 혁신기술로의 도약”을 주제로 컨퍼런스, 비즈니스 파트너링, 전시, 인베스트페어 등의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컨퍼런스의 주요 카테고리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차세대 임상시험 △유전자 치료제 △항체-약물접합체(ADC) △백신 △재생의료 △위탁개발생산(CDMO) △인
바이젠셀(Vigencell)은 10일 희귀 난치성 혈액암인 NK/T세포림프종을 적응증으로 하는 ‘VT-EBV-N’의 임상2상 환자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바이젠셀은 전국 14개 의료기관에서 NK/T세포림프종 환자 48명을 대상으로 VT-EBV-N을 투약하고 2년간의 경과관찰을 거쳐 유효성과 안정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VT-EBV-N은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BV) 양성 NK/T세포림프종을 적응증으로 하는 면역항암제로, 환자로부터 채취한 T세포를 항원특이적 살해T세포(cytotoxicity T lymphocyte, CTL)로 분화
대웅제약(Daewoong Pharmaceuticals)은 지난 6일부터 4일간 미국 시카고에서 진행되는 ‘2023년 소화기학회(Digestive Disease Week 2023, DDW 2023)’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Fexuprazan)’ 부스를 마련하고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환자 대상 펙수클루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한 2건의 임상데이터를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7일(현지시간)에 진행된 포스터 발표 2건은 ▲국내에서 진행된 식전, 식후
셀트리온(Celltrion)은 6~9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소화기학회(Digestive Disease Week, DDW 2023)에 참가해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 제형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CT-P13 SC)’의 글로벌 임상3상 결과 2건을 각각 구두 및 포스터로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셀트리온이 이번 학회서 구두발표 세션과 포스터 세션을 통해 각각 발표한 연구는 크론병 환자 343명, 궤양성대장염 환자 43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로벌 임상3상 결과다. 셀트리온은 임상에 참여한 환자를 대상으로
인벤티지랩(Inventage Lab)은 미국 샌디에고에서 7일부터 10일까지 열린 ‘TIDES USA 2023’ 학회에 참석해 ‘유전자치료제 원액(DS) 통합공정 지질나노입자(Lipid Nano Particle, LNP) 제조시스템의 개발’에 대해 발표했다고 9일 밝혔다. TIDES USA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펩타이드, mRNA 및 유전자 편집 분야에 대해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 및 상업화 등 신약개발에 대한 전단계를 논하는 글로벌 학회다. 유전자치료제의 DS 생산공정 단계에서 유전물질의 최적화와 유전물질을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Txinno Bioscience)는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로부터 선천면역을 활성화하는 ENPP1 저해 저분자화합물 ‘TXN10128'의 국내 임상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9일 밝혔다. 티씨노바이오는 올해 하반기 TXN10128의 임상1상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번 임상1상에서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TXN10128의 안전성과 내약성, 예비 항암활성 등을 평가할 예정이다. 티씨노바이오는 TXN10128의 단독요법과 면역관문억제제와 병용요법도 평가할 계획이다. 면역관문억제제는 T세포를 활성화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Gilead Sciences Korea)는 9일 TROP-2 ADC ‘트로델비(Trodelvy, sacituzumab govitecan)’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이전에 두 번 이상의 전신치료를 받았으며, 그 중 최소 한 번은 전이성 질환에서 치료받은 절제불가능, 국소진행성 또는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mTNBC)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트로델비는 TROP-2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로 유방암, 방광암 등 암종에서 높게 발현되는 세포표면항원 TR
셀트리온(Celltrion)이 박스터인터내셔널의 바이오파마솔루션 사업부 인수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9일 공시했다. 셀트리온은 이날 조회공시 답변을 통해 "안정적인 글로벌 생산시설 확보를 위해 Baxter International Inc.의 BioPharma Solution 사업부문 인수 관련하여 검토한 바 있으나, 이를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라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3월21일 박스터인터내셔널의 바이오파마솔루션 사업부 인수전 참여 보도와 관련한 거래소의 조회공시에 대해 "인수와 관련하여 검토한 바 있으나, 현 시점에서
지아이이노베이션(GI Innovation) 관계사인 지아이셀(GI Cell)은 조절T세포(Treg) 대량배양 기술이 한국, 대만에 이어 미국에서 특허 등록 결정을 받았다고 9일 밝혔다. 이번에 등록이 결정된 특허는 지아이셀의 면역세포 배양플랫폼(Immune Cellpure Expander®)으로 부터 선별된 이중 융합단백질을 포함한 Treg의 대량배양 기술에 관한 것으로, 지아이셀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이토카인 등 배양조성물을 첨가한 배양방법 대비 월등한 배양능력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지아이셀은 해당 Treg 배양기술에 기반해
알지노믹스(Rznomic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RZ-001’의 뇌종양인 악성교모세포종 대상 임상1/2a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8일 밝혔다. 알지노믹스는 리보핵산 치환효소(RNA trans-splicing ribozyme)를 기반으로 표적 RNA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원하는 유전자를 발현시키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RZ-001은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벡터로 리보핵산 치환효소를 전달함으로써 암세포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텔로머라아제(hTERT) RNA를 표적함과 동시에, 항암작용을 유도하는
셀트리온(Celltrion)은 8일 연결기준 잠정실적으로 올해 1분기 매출액 5975억원, 영업이익 1823억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각각 12.4%, 41%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영업이익률은 30.5%를 달성했다. 회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실적은 바이오의약품 매출 증가가 성장을 견인했다. 바이오의약품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49% 증가했으며, 차세대 주력 제품인 '램시마SC'와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의 공급 증가에 힘입어 바이오시밀러 분기 매출이 사상 처음으로 4000억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수익성이 높은 램시마SC의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내달 2일부터 6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되는 2023년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3)에서 연구결과 16건을 발표한다고 8일 밝혔다. ASCO는 지난 1964년 설립된 세계 최고권위 암학회로 매년 4만명 이상 의료관계자가 참여한다. 루닛은 2019년부터 참가해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있으며 지난해 11건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루닛은 이번 ASCO 2023에서 병리조직에서 AI 바이오마커 분석솔루션 ‘루닛스코프’와 관련된 자체 연구결과와 공동연구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
JW중외제약(JW Pharmaceutical)의 C&C신약연구소(C&C Research Laboratories)는 정밀의료 혁신기업 엠비디(MBD)와 3D 암 오가노이드(organoid) 진단 플랫폼 기반의 혁신 항암제 개발을 위한 연구협력 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C&C신약연구소는 스탯(STAT) 단백질을 포함한 신규 타깃 항암신약 과제에 엠비디의 3D 암 오가노이드 플랫폼인 '코디알피(CODRP™)'를 적용해 다양한 종양 적응증을 탐색하고, JW중외제약에서 개발하고 있는 STAT3 표적항암제 ‘JW2286
에이비엘, 'DLL4xVEGF' 2/3상 "내년 1Q 판독 연기"
에이비엘, 'CLDN18.2x4-1BB' 1b상 모집 "조기완료"
릴리, 센트렉시온서 ‘10억弗 L/I’ 비마약성진통제 “중단”
넥스아이, 시리즈B 610억 유치 ”올 비상장 최대규모”
'ADC+키트루다' 초기 방광암도 침투 시작 "OS 늘려"
美브릿지 분사 ‘차세대 RAS’, 나스닥 “SPAC 상장”
길리어드, 항암제 'CAR-T' 매출부진 "계속"..경쟁 심화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비나이 프라사드, 사임 “10일만에” FDA 복귀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한올, 'FcRn 항체' GD 2상 6개월 효능 "내달 발표"
차바이오텍, 상반기 매출 6030억 "역대 최대실적"
HLB제약, 2Q 매출 469억..전년比 31.16%↑
뷰노, 2Q 매출 93억..“분기 최대실적 달성”
루닛, 상반기 매출 371억 "역대 반기 최대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