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체-약물접합체(ADC) 바이오텍 트리오어(TriOar)는 전환우선주(CPS) 발행을 통해 12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유치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pre-시리즈A 투자유치 이후 1년만의 후속투자이며 지금까지 누적투자금은 190억원이다. 이번 라운드는 LSK인베스트먼트가 리드했으며 신규투자사로 인라이트벤처스, 키움인베스트먼트, 메디톡스벤처투자, 신한캐피탈 등이 참여했다. 또한 pre-시리즈A에 이은 후속투자사로 KB인베스트먼트와 보광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다. 트리오어는 이번 투자금으로 플랫폼 기술을 고도화하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TROP2 항체-약물접합체(ADC) ‘LCB84’의 고형암 대상 임상1/2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신청했다고 24일 공시했다. 이번 임상1/2상은 유방암, 폐암 등 진행성 고형암 환자 300여명에게 LCB84의 안전성, 내약성, 약동력학적 특성, 예비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임상이다. 레고켐바이오는 LCB84 단일요법과 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을 평가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레고켐바이오는 임상1상 용량증량(dose escalation) 파트에
오가노이드 및 첨단생체소재 전문기업 세라트젠(Cellartgen)은 인간 장기모델 칩 전문기업인 멥스젠(Mepsgen)과 ‘인간 생체조직 칩 플랫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두 회사는 장기 특이적 미세환경을 모사(mimic)하는 세라트젠의 장기 맞춤형 세포배양소재를 멥스젠의 인간 장기모델 칩(Human Organ Model Chip) 기술에 접목하여, 생체 모사도가 크게 향상된 장기 생체조직 칩 플랫폼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세라트젠은 실제 장기의 면역원성은 제거하고 장기 특이적인 유효성분을
엠엑스티 바이오텍(MxT Biotech)은 23일 미래유망융합기술 파이오니어 정부과제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엠엑스티는 ‘면역세포 리프로그래밍 연속 공정 플랫폼: 면역치료제 대량 제조기술 개발’ 과제에 공동 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해 주관 연구개발기관인 정아람 고려대 교수팀과 더불어 성균관대 2개팀, 서울대, 한양대, 삼성서울병원 등 총 6개 기관과 함께 산-학-병 네트워크를 구축해 과제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융합연구팀은 약 5년간 총 57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원받는다. 정아람 엠엑스티 대표이자 과제 총괄책임자는 “미세
알지노믹스(Rznomics)가 초기 임상개발 단계에 있는 RNA 치환효소(trans-splicing ribozyme) 기반 항암제에 이은 후속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알지노믹스는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개최된 미국 유전자세포치료학회(ASGCT 2023)에서 망막색소변성증(retinitis pigmentosa, RP) 치료제로 개발하는 RNA 치환효소(trans-splicing ribozyme) 기반 'RZ-004'가 변이와 무관하게(mutation-independent) RNA를 편집하는 효과를 확인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구두 발표했다
피노바이오(PinotBio)는 2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바이오산업기술개발사업의 국책과제 주관 연구개발기관으로 선정돼 향후 5년간 50억원을 지원받는다고 밝혔다. 이번 과제 선정으로 Trop2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 선정, 핵심재료(표적 항체, 페이로드, 링커) 및 제조공정 기술 확보, ADC 스케일업 공정개발 및 표준품 생산, ADC 동결건조 제형개발 및 최적화 등의 개발에 지원을 받게 된다. 피노바이오는 해당 사업을 통해 자체개발 중인 Trop2 ADC의 GMP 생산공정을 개발할 예정이다. 피노바이오는 오송첨단
한올바이오파마(HanAll Biopharma)의 미국 파트너사 이뮤노반트(Immunovant)가 지난 22일(현지시간) 올해 1분기 실적보고에서 차세대 FcRn 항체로 개발하는 ‘IMVT-1402(HL161ANS)’의 임상1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017년 한올바이오파마는 이뮤노반트 모회사 로이반트 사이언스(Roivant Sciences)에 ‘바토클리맙(batoclimab, IMVT-1401; HL161)’과 IMVT-1402를 라이선스아웃한 바 있다. 이뮤노반트는 여러 자가면역질환에서 바토클리맙과 IMVT-1402을
파멥신(PharmAbcine)은 지난 22일 TIE2 활성화 항체 ‘PMC-403’의 황반변성(nAMD) 임상1상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고 23일 밝혔다. PMC-403의 임상1상은 최대 36명의 신생혈관성 연령관련황반변성(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nAMD) 환자들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내약성 등을 평가하게 된다. 또한 최대내약용량(MTD)을 확인해 임상2상의 권장용량(RP2D)을 결정한다. 임상시험 기관은 분당서울대병원 외 3개 의료기관이다. PMC-403은 TI
CJ바이오사이언스(CJ Bioscience)는 22일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650억원을 조달하기로 결의했다고 공시했다. 주주배정후 실권주는 일반공모를 진행하며 NH투자증권이 대표주관사를 맡는다. 공시에 따르면 주당 신주 예상 발행가액은 2만100원이며, 신주 배정기준일은 7월10일이다. 이날 CJ바이오사이언스 주식은 전날보다 200원 오른 3만650원에 마감했다. 신주는 현 주가대비 30%이상 할인된 가격으로 발행된다. CJ바사의 현재 시가총액은 1802억원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의 최대주주인 CJ제일제당은 회사 지분 43.8
제노스코(Genosco)는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 흉부학회(ATS 2023)에서 특발성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치료제로 개발하는 ROCK 저해제 ‘GNS-3595’이 동물모델에서 항섬유 효능을 가진다는 연구결과에 대한 포스터발표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노스코는 선택적 ROCK(rho-associated protein kinase) 저해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기존 ROCK 저해제의 한계인 비특이적인 억제효과(off-target effect)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NSCLC) 2차 치료제 세팅에서 유한양행(Yuhan)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의 첫 리얼월드 데이터(Real World Data, RWD)가 발표됐다. 임선민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와 안병철 국립암센터 종양내과 교수는 지난 2021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연세암병원과 국립암센터에서 EGFR 변이 양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중 이전에 EGFR-TKI 치료제 사용후 내성이 생긴 T790M 양성 환자 중 렉라자를 투여받은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유효성과 안전성 데이터를
크리스탈지노믹스(CrystalGenomics)는 22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62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유상증자에 따라 최대주주는 기존 조중명 대표에서 뉴레이크인바이츠투자로 변경될 예정이다. 공시에 따르면 크리스탈은 뉴레이크인바이츠투자를 대상으로 상환전환우선주(RCPS) 1500만주와 보통주 464만7696주 발행으로 총 580억원을 조달한다. 또 오성첨단소재를 대상으로 보통주 150만주를 발행해 44억2800만원을 조달한다. 기존 최대주주인 조중명 대표는 지분 7.52%(565만2838주
백신 및 면역질환 치료제 전문기업 큐라티스(Quratis)는 22일 결핵(tuberculosis) 백신 후보물질 ‘QTP101’의 건강한 성인 대상 임상2a상 결과가 국제학술지 ‘감염질환 및 치료(Infectious Diseases and Therapy, IF: 6.119)’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QTP101 결핵백신은 BCG(Bacillus Calmette–Gue´rin) 백신 접종이력이 있는 건강한 성인 107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대비 뛰어난 안전성과 면역원성 결과를 나타냈다. 해당 임상2a상은 세브란스병원, 중
툴젠(ToolGen)은 지난 16일부터 20일까지 진행된 제26회 미국 유전자치료학회(The American Society of Gene & Cell Therapy, ASGCT) 연례회의에서 1건의 구두발표와 2건의 포스터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툴젠은 지난 3월 국제학술지 네이처 케미컬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연구결과가 게재된 Sniper2L 기술을 구두발표 했다. Sniper2L은 효능은 유지하면서 오프타깃(off-target) 부작용을 낮춘 CRISPR/Cas9 유전자편집
바이오의약품 개발기업 알테오젠(Alteogen)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hyaluronidase) PH20의 변이체(variant)인 ‘ALT-B4’와 각 항체의약품의 혼합제형에 대한 일본특허에 대한 결정을 통지받았다고 22일 밝혔다. 주요 국가로는 첫 특허등록이며, 전체 국가로는 3번째 등록이다. 향후 추가적인 진행과정을 거쳐 특허를 등록하게 된다. 알테오젠이 지난해 10월 밝힌 ALT-B4와 ‘펨프롤리주맙(pembrolizumab, 제품명 키트루다)’의 혼합제형 특허등록과는 별개의 건이다. 이번 특허는 알테오젠이 지적재산권 보호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은 지난 19일 "인공지능(AI) 기술은 제약바이오 산업에서 새로운 시대를 여는 열쇠로 정부와 산업계가 힘을 모아 성과를 내야한다”고 강조했다. 노 회장은 이날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약바이오 AI혁신포럼’에서 개회사를 통해 “정부가 지난 2월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전략을 통해 제약바이오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로 발표했고, 오는 2024년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지원사업인 K-멜로디(K-MELLODDY)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에이비엘, 'DLL4xVEGF' 2/3상 "내년 1Q 판독 연기"
에이비엘, 'CLDN18.2x4-1BB' 1b상 모집 "조기완료"
릴리, 센트렉시온서 ‘10억弗 L/I’ 비마약성진통제 “중단”
넥스아이, 시리즈B 610억 유치 ”올 비상장 최대규모”
'ADC+키트루다' 초기 방광암도 침투 시작 "OS 늘려"
美브릿지 분사 ‘차세대 RAS’, 나스닥 “SPAC 상장”
길리어드, 항암제 'CAR-T' 매출부진 "계속"..경쟁 심화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비나이 프라사드, 사임 “10일만에” FDA 복귀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한올, 'FcRn 항체' GD 2상 6개월 효능 "내달 발표"
차바이오텍, 상반기 매출 6030억 "역대 최대실적"
HLB제약, 2Q 매출 469억..전년比 31.16%↑
뷰노, 2Q 매출 93억..“분기 최대실적 달성”
루닛, 상반기 매출 371억 "역대 반기 최대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