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아에스티(Dong-A ST)의 항체-약물접합체(ADC) 전문 자회사인 앱티스(AbTis)는 13일 중국 상하이 소재 ADC 위탁개발생산(CDMO) 전문기업 켐익스프레스(Chemexpress)와 툴박스(Toolbox) 파트너십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툴박스는 서로다른 기술, 솔루션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해 고객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합형 플랫폼이다. 켐익스프레스는 ADC 분야의 CDMO 전문기업으로 연구개발부터 GMP생산까지 가능한 원스톱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앱티스는 독자적
아이오반스 바이오테라퓨틱스(Iovance Biotherapeutics)는 지난 8일(현지시간) 올해 1분기 실적발표에서 올해 매출전망치를 2억5000만~3억달러로 하향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전망치인 4억5000만~4억7500만달러에서 절반 가까이 줄인 수치이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진 후 아이오반스 주가는 하루에 44.79% 급락했다. 이번 올해 매출전망치 하향조정은 흑색종(melanoma)을 적응증으로 승인받은 종양침윤림프구(tumor infiltrating lymphocyte, TIL) 세포치료제 ‘암탁비(Amtagvi,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는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기술학회인 단백질·항체 공학 서밋(PEGS) 보스턴에 참가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고농도 제형 의약품 개발 및 후보물질 개발 가능성 평가 등 위탁개발(CDO) 역량을 알렸다. PEGS 보스턴은 2400명 이상의 참가자가 모여 최신 바이오의약품 기술에 대해 논의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단백질·항체의약품 학회다. 매년 5월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열리며 올해는 12~16일 닷새간 진행된다. 이번 행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전용 미
지놈앤컴퍼니(Genome & Company)가 신규 타깃인 CNTN4 항체-약물접합체(ADC)의 최종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효능을 향상시킨 업데이트 결과를 공개했다. 지놈앤컴퍼니는 지난해 미국 암연구학회(AACR 2024)에서 CNTN4 ADC 프로젝트를 처음으로 공개한 바 있다. 그리고 지놈앤컴퍼니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올해 AACR 2025 학회에서 링커-페이로드, 항체 엔지니어링을 최적화한 최종 후보물질에 대한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 지놈앤컴퍼니는 ADC의 페이로드를 토포이소머라제1(TOP1) 저해제로 최종 결
이노보테라퓨틱스(InnovoTherapeutics)는 궤양성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 치료제 후보물질 ‘INV-101’로 진행한 미국 임상1상에서 안전성 및 약동학(PK) 결과를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INV-101은 글리코겐 포스포릴라제(glycogen phosphorylase, PYGL)를 타깃하는 경구용 면역대사 조절제로, 면역세포의 에너지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기전이다. 한국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이 지난해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바이오파마 딜메이커(Biopha
듀셀바이오테라퓨틱스(Dewcell Biotherapeutics)는 독일의 PL바이오사이언스(PL BioScience)와 인공 혈소판 공급에 대한 구매의향서(LOI)를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를 통해 공급계약이 체결될 경우 듀셀은 PL바이오에 줄기세포 유래 인공 혈소판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두 회사는 인공 혈소판용해물(aHPL)을 생산해 연구용으로 먼저 공급하고, 향후 GMP 등급 제품 생산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혈소판용해물은 소태아혈청(FBS)의 대체제로 활용이 가능한 세포배양 촉진성분이다. 최근 동물유래 성분
입셀(YiPSCELL)은 12일 글로벌 글로벌 생명과학기업 써모피셔사이언티픽(Thermo Fisher Scientific)과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유래 세포치료제 폐쇄식·자동화 제조 플랫폼’ 연구 협력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입셀은 iPSC 유래 주사형 3D연골스페로이드 약물인 ‘뮤콘(MIUChon)’을 개발중이며 현재 연구자주도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협업은 입셀의 공정 및 품질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인공혈액, 차세대 조직 재건 등 다양한 iPSC 파이프라인을 자동화, 무균시스템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Lunit)은 올해 1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92억300만원을 기록해 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273.6% 증가한 수치다. 특히 해외 매출은 179억3700만원으로 전체 매출의 93%를 차지했다. 국내 매출도 12억6500만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4.6% 늘었다. 이같은 실적은 루닛이 지난해 5월 자회사 볼파라 헬스(Volpara Health)를 인수한데 따른 실적증가이며, 물론 루닛과 볼파라 모두 올해 1분기에 암진단(cancer screening) 영역에서 분기 최대매
핀테라퓨틱스(Pin Therapeutic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K1α 분자접착제 기전의 분해약물(molecular glue degrader, MGD) ‘PIN-5018’의 고형암 임상1상 시험계획서(IND)를 승인받았다고 12일 밝혔다. 핀테라퓨틱스는 이번달말 국내 식약처에 PIN-5018의 임상1상 IND를 추가 제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올해 하반기 국내에서 고형암 환자 약 40명 대상 임상1a상 환자 투약을 시작할 예정이고, 오는 2026년 2~3분기 초기 임상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회사측은 예상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ABL Bio)는 GSK(GlaxoSmithKline)로부터 IGF1R 기반 혈뇌장벽(BBB) 셔틀 플랫폼 '그랩바디-B(Grabody-B)'의 라이선스아웃(L/O) 계약에 따른 반환의무가 없는 계약금(upfront) 739억원(3850만 파운드)을 수령했다고 12일 공시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달 5일 GSK와 계약금 및 단기마일스톤 총 1480억원(7710만 파운드)을 포함해, 향후 개발, 허가, 상업화 마일스톤을 합해 최대 약 4조1104억원(21억4010만파운드) 규모의 딜을 체결한 바 있다. 계약에 따라
카나프테라퓨틱스(Kanaph Therapeutics)가 종양을 타깃하면서 활성을 완화(attenuation)시킨 변이형 인터루킨-12(IL-12) 약물개발 접근법이, 전신 독성을 낮춘 비임상 데이터를 발표했다. 그동안 임상에서 IL-12 약물의 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면역항암제 붐에 따라 개발됐던 IL-12 사이토카인 약물은 전신투여시 심각한 면역관련 부작용이 발생하면서 충분한 약물 안전역(safety margin)을 확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병철 카나프테라퓨틱스 대표는 지난달 30일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 암연구학
대원제약(Daewon Pharmaceutical)은 지난달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P-CAB 계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DW4421(성분명: padoprazan)‘의 국내 임상3상 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12일 밝혔다. 대원제약은 지난해 5월 일동제약 자회사 유노비아(YUNOVIA)와 P-CAB 신약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으며, 올해 2월 국내 임상2상을 완료했다. 이번 IND 신청은 2건으로, 각각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와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DW4421의 유효성
다케다(Takeda)는 지난 8일(현지시간) 지난 2024년 회계연도 실적발표에서 EGFRxCD3, B7-H3xCD3 등 두가지 CD3 T세포 인게이저(T cell engager, TCE)의 개발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1년 CD3 이중항체 개발회사 매버릭 테라퓨틱스(Maverick Therapeutics)를 총 5억2500만달러 규모로 인수하면서 확보한 에셋이다. 다케다가 이번에 중단하는 EGFRxCD3 TCE ‘TAK-186’과 B7-H3(B7 homolog 3 protein)xCD3 TCE ‘TAK-280’은 매버릭
지난해 10월 허가를 받은 국산 37호 신약 ‘자큐보정’이 시판 5개월만에 누적 매출 100억원을 달성했다. 제일약품(Jeil Pharmaceutical)의 신약개발부문 자회사인 온코닉테라퓨틱스(Onconic Therapeutics)는 올해 1분기 매출 91억원을 기록, 전년동기 대비 594.91% 증가했다고 12일 공시했다. 회사에 따르면 자큐보정은 출시 첫 분기인 지난해 4분기에 33억원에 이어 올해 1분기에 67억원 규모로 처방되면서 6개월만에 누적 처방 100억원을 달성했다. 온코닉은 지난달 자큐보의 매출 급성장에 힘입어
메드팩토(Medpacto)는 관계사 셀로람(Celloram)의 NLRP3 저해제 ‘CLM-022’의 전임상 연구결과가 유럽간학회(EASL 2025) 연례회의에서 발표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셀로람의 파트너사인 프랑스 젠핏(Genfit)을 통해 진행됐다. 셀로람은 지난 2023년 젠핏에 CLM-022의 글로벌 권리를 비공개 계약금과 1억6000만유로의 마일스톤 규모로 라이선스아웃(L/O)했다. 젠핏은 CLM-022를 급성만성간부전(acute-on-chronic liver failure, ACLF) 등 중증의 간질환 치료제
종근당(Chong Kun Dang Pharmaceutical)은 9일 앱클론(AbClon)과 서울 충정로 본사에서 전략적 지분투자(SI) 및 공동연구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종근당은 신주발행을 통해 앱클론의 기명식 보통주 140만주(지분 7.3%)를 취득하고, 앱클론이 혈액암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CD19 CAR-T 후보물질 ‘네스페셀(AT101)’의 국내 판매 우선권을 갖는다. 두 회사는 향후 새로운 CAR-T 및 이중항체의 공동개발과 상업화를 위한 포괄적 협력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AT101
스파크바이오, LG화학과 '저분자 신약' "공동연구 계약"
월드ADC서 살펴본 '이중페이로드 ADC' 주목하는 이유?
보로노이, 500억 규모 CB발행 "결정"
지아이이노, 'CD80-IL2'+키트루다 2상 "초기결과 공개"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 1차 '윤곽' "ORR 83%"
이노벤트, '첫' GLP-1/GCG 비만치료제 "中 승인"
카스젠, ‘CLDN18.2’ 위암 中 NDA ”첫 고형암 CAR-T”
루닛 "대주주 보호예수 해제물량, 매각계획 없어"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인사]일동제약, 임원승진 인사
지노믹트리 美자회사, 테오 드보스 수석부사장 영입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JW중외, 리겔 개발 'SYK 저해제' ITP신약 국내 출시
씨젠, 감영병 분석 플랫폼 ‘STAgora™’ 출시
셀트리온제약, 당뇨병치료제 ‘네시나메트서방정’ 출시
에스티팜, 美바이오텍과 1825만弗 '올리고핵산'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