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추신경계(CNS) 질환을 타깃해 AAV(adeno-associated viral) 기반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는 보이저 테라퓨틱스(Voyager Therapeutics)가 또 한번의 빅딜을 성사시켰다. 뉴로크린 바이오사이언스(Neurocrine Biosciences)는 보이저와 약 19억달러 규모의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29일 밝혔다. 보이저는 이에 앞서 2018년 애브비와 퇴행성뇌질환을 겨냥하는 AAV 벡터로 타우 항체를 전달하는 유전자 치료제 옵션 딜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금 6900만달러를 포함해 총 1억550
2019년 새해 첫달부터 국내 바이오텍들이 투자유치 소식을 알렸다. 특히 시리즈A, B 초기단계의 바이오텍들이 대거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1일 바이오스펙테이터가 1월 바이오기업 투자 유치현황을 집계한 결과 바이오기업 11곳이 86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해 불었던 바이오투자 열풍이 새해까지 이어졌고 비상장 유망기업에 대한 관심도 여전했다. 국내 첫 CAR-T 치료제 개발 회사인 큐로셀은 이달 150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인터베스트, 미래에셋캐피탈이 후속 투자를 했고, 타임폴리오자산운용, 스틱벤처스가 새롭게 참여했다
또 하나의 아밀로이드 베타(Aβ) 타깃 항체치료제 후기 임상이 실패했다. 2016년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던 일라이릴리의 '솔라네주맙(solanezumab)'이 임상3상에서 실패하면서 업계를 실망에 빠뜨린 이후 들려온 소식이다. 로슈-제넨텍은 초기 알츠하이머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크레네주맙(crenezumab)'의 CREAD1, CREAD2 임상3상을 중단하겠다고 30일 밝혔다. 로슈는 중간분석 결과 1차 충족점인 CDR-SB(Clinical Dementia Rating-Sum of Boxes) 지표에서 차
“선천면역세포인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세포)는 핵심적인 항암 면역세포일 뿐만 아니라 암 예후진단에서 중요한 바이오마커라는 것이 증명됐다. 특히 NK세포는 동종유래세포 이용이 가능하고 이식거부 부작용 위험이 매우 낮다는 장점이 있어 CAR-NK와 같은 항암 세포치료제로서의 경쟁력이 충분하다." 김헌식 울산의대 교수는 지난 28일 용인의 GC녹십자셀 셀센터에서 열린 ‘세포기반 면역치료제 개발협의체(Cell-BIG) 2019년 신년회’ 초청강연에서 NK세포의 다양한 수용체와 활성화 기전에 대한 연구 결과와
BMS(Bristol-Myers Squibb)가 옵디보+여보이 병용투여로 비소세포폐암 1차 치료제 시장에 들어가는데 차질이 생겼다. BMS는 옵디보+여보이의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predictive biomarker)로 종양변이부담(tumor mutational burden, TMB)을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이같은 BMS 전략에 대해 업계에서 회의론이 일고 있다. BMS는 지난 24일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던, 옵디보(니볼루맙)+여보이(이필리무맙)의 적응증 확대 허가
암 전이(metastasis)과정의 첫번째 단계인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 파괴를 통한 침윤과정(invasion)에서 기질분해효소인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를 저해했을 경우에도 액틴 필라멘트 중합에 의한 침윤기전이 작동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침윤은 세포가 이동하기 위해 세포를 둘러싼 기질층을 분해하는 과정이다. 이번 연구는 암 전이의 첫번째 단계를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듀크 대학의 데이비드 셔우드(David Sherwood) 교수팀은 침습성 세포들
2018년 11월 28일, 12월 14일, 2019년 1월 1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최근 새로운 한국산 바이오시밀러의 시판을 승인한 날이다. 두달새 3개 제품이 미국 규제기관의 높은 벽을 넘었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개발한 트룩시마·허쥬마·온트루잔트가 그 주인공이다. 국내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이 비약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블록버스터 바이오시밀러를 배출하며 산업의 초석을 놓은 이후 종근당, 동아ST, LG화학 등 다수의 제약사와 폴루스, 에이프로젠 등 바이오텍들이 뛰어들면서 연구개발에
증상이 없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혈액 속 미세신경섬유 경쇄(neurofilament light chain, NfL)가 병을 일찍이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인지기능이 망가지기 시작하는 16년전부터 혈액 속의 NfL 농도가 올라갔다. 논문은 네이처 메디슨에 '증상이 없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혈청 미세신경섬유 경쇄가 신경 퇴행과 병기 진행을 예측할 수 있다(Serum neurofilament dynamics predicts neurodegeneration and clinical pro
뇌 면역시스템을 깨워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할 수 있을까? 신경면역(immuno-neurology) 접근법으로 지난 2~3년 사이에 업계가 주시하기 시작했다. 면역항암제와 같이 체내에 원래 있는 선천성 면역세포를 활성화해 퇴행성 뇌질환을 치료하겠다는 접근법. 잠들어있는 면역세포를 깨우거나 혹은 제 역할을 못하게했던 브레이크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항암제 분야에서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잡고 있는 PD-1, PD-L1 등 면역항암제와 비슷한 컨셉이다. 신경면역 분야의 선두주자인 알렉토(Alector)는 약물로 뇌 면역 기능을 회복시켜 퇴행성
'인테그린' 저해제와 항암제를 함께 사용하여 휴면 상태의 유방암 세포가 전이성 종양을 형성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시애틀 소재 프레드 허친슨 암연구센터(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의 사이러스 가자르(Cyrus Ghajar) 박사는 이같은 연구 결과를 21일 네이처셀바이올로지(Nature Cell Biology)에 게재하였다. 연구팀은 휴면세포를 보호하는 신호를 방해하여 화학요법에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유방암은 조기 발견 시 완치율이 90%로 예후
NeoImmuneTech, Inc. (NeoImmuneTech), an immunotherapy drug development company focused on advanced cancer treatments, and Genexine, today announced that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has accepted its Investigational New Drug (IND) application to evaluate the combination of Hyleukin-7
"셀리드는 B세포 기반 면역세포 치료제를 개발한 최초의 기업으로 환자에게 더 빠른 시간안에 제공할 수 있는 세포치료제를 상용화할 것이다. 또한 환자의 개인정보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개발에도 도전하겠다." 면역세포치료제 개발기업 셀리드(CELLID)가 다음달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강창율 서울대 교수가 2006년 회사를 세운지 약 13년만이다. 미국 아이덱 파마슈티컬스(IDEC Pharmaceuticals, 현 바이오젠) 창업멤버로 블록버스터 항체의약품 리툭산 탄생에 일조한 강 교수는 고국에서 B세포 기반 면역세포치료제라는
유전자·세포 치료제 시장이 규제기관의 지원으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지난 2017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암 질환 치료제로 킴리아(Kymriah)와 예스카르타(Yescarta), 희귀질환 치료제로 룩스투나(Luxturna) 등 3개의 신약을 승인했다. 2012~2016년에 FDA로부터 승인받은 유전자 치료제가 임리직(Imlygic) 1건이라는 고려하면 고무적인 숫자다(제품 리스트). 이후 유전자·세포 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 개발이 급증하고 있다. 스콧 고틀리브(Scott Gottlieb) 미국 식품의약국(FDA) 국장과 피
국내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가 작년 한해 2조원을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바이오기업의 연구개발(R&D) 회계 이슈, 코스닥 시장 부진 등의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바이오기업에 대한 투자는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창투사(VC)부터 제약사까지 다양한 투자자가 초기단계 기업부터 코스닥 상장사까지 적극적인 투자에 나섰다. 21일 바이오스펙테이터가 2018년 국내 바이오기업(의약품, 진단분야) 투자 유치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9곳의 기업이 2조753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바이오투자액 2조원은 지금까지 공식적으로 언급된 적이
유전자치료제는 ‘유전물질의 발현에 영향을 주기 위해 투여하는 유전물질’ 또는 ‘유전물질이 변형되거나 도입된 세포’ 중 하나를 함유한 의약품을 말한다. 유전자치료제는 기존의 화학의약품, 항체의약품으로 치료할 수 없었던 질환 영역에서 근본적인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어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가장 많이 연구가 진행 중인 영역은 종양 분야로 2015년 암젠의 유전자 조작 바이러스 항암제 ‘임리직(Imlygic; T-Vec)’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허가를 받아 최초의 항암 유전자치료제라는 수식어를 얻었다. 2017년에는
사노피가 또 다른 파트너십을 추가하면서, 이중항체 포토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달 초에 사노피는 기존에 공동연구를 진행해온 리제네론으로부터 2개의 CD3기반 이중항체 후보물질에 대한 옵션을 확보하는 동시에 프랑스 바이오텍과의 새로운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사노피는 프랑스 바이오뮨엑스파마퓨티컬(Biomunex Pharmaceuticals)이 보유한 이중항체 및 다중항체(multi-specific antibody)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치료항체를 발굴해 라이선싱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 밝혔다. 사노피는 후보물질에 대한 연구,
에이비엘, 1400억 유증 CPS 전량 "보통주 전환"
펩트론, '장기지속' 루프린 제네릭 “식약처 시판허가”
FDA ‘공개’ CRL서 본 승인거절 “주요 3가지 사례는?”
일리미스, 시리즈B 580억..릴리와 'GAIA 플랫폼' 협력
FDA, '승인거절 사유' 담긴 CRL 200건 '첫 공개'
악티테라, 시리즈A 7550만弗.."공유결합 RPT 新접근"
울트라제닉스, 'AAV' 산필리포증후군 "FDA 거절"
카프리코, '첫' DMD 세포치료제 "FDA 승인거절"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CJ바이오사이언스, 윤상배 대표 내정.."천종식 고문"
HLB제약, 중앙연구소장에 강성권 박사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코어라인소프트, 지멘스 헬시니어스와 '의료 AI' MOU
프로젠-라니, 경구용 GLP-1/2 전임상 "ENDO 발표"
JW홀딩스, UNGC 가입.."지속가능경영 강화"
이수화학, 이수앱지스 CB전량 주식전환 "지분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