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일 이매틱스(Immatics)가 면역관문억제제(ICI) 치료를 받은 흑색종(melanoma)을 대상으로 한 PRAME 타깃 TCR-T의 임상1b상에서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mPFS) 6개월의 데이터를 도출했으며, 올해말 흑색종에 대한 허가 임상3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2달전 어댑티뮨 테라퓨틱스(Adaptimmune Therapeutics)가 고형암에 속하는 활막육종에서 첫 TCR-T 치료제인 ‘테셀라(Tecelra)’의 미국 가속승인에 성공한 바 있으며, 이번에는 이매틱스가 보다 본격적인 고형암 적응증에서 진전을 보이고 있다.
화이자(Pfizer)의 시판 PARP 저해제 ‘탈제나(Talzenna, talazoparib)’가 전립선암 1차치료제 세팅 임상3상에서 HRR 변이유무와 관계없이 전체 환자군을 대상으로 전체생존기간(OS) 개선에 성공한 결과를 도출했다. 2년전부터 시판 PARP 저해제의 OS 감소 이슈로 인해 HRR 변이형 환자군으로 미국 적응증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며, 현재 전립선암 치료제로 시판된 PARP 저해제는 모두 HRR 혹은 더 좁은 범위의 BRCA 변이형으로만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상태다. 화이자의 탈제나도 지난해
화이자(Pfizer)가 경구용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치료제 ‘시수나토비르(sisunatovir)’의 개발을 중단했다. 이번 중단이후 화이자에 남은 RSV 분야 파이프라인에 더 이상 치료제는 없으며, RSV 백신만 남았다. 이로써 화이자는 지난 2022년 리바이럴(ReViral) 인수를 통해 확보한 모든 에셋의 개발을 중단했다. 화이자는 총 5억2500만달러 규모로 리바이럴를 인수해 RSV 치료 후보물질 2개를 확보했었다. 그러나 인수한지 1년만에 하나의 에셋의 개발을 포기한데 이어 이번에 남은 하나의 에셋을 추가로 포기한
케자르 라이프사이언스(Kezar Life Science)의 프로테아좀 저해제 ‘제토밉조밉(zetomipzomib, KZR-616)’으로 진행중인 루푸스신염(lupus nephritis) 임상2b상에서 환자 4명이 사망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조치로 임상이 중단됐다. 제토밉조밉은 선택적 면역프로테아좀 저해제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및 대식세포, B세포, T세포를 포함하는 면역세포 활동에 관여하는 다양한 경로를 차단하는 기전의 약물이다. 케자르가 전략적 우순순위에 두고 개발하고 있던 약물로 상당한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뇌질환에서 RIPK1 저해제 약물 개발이 쉽지 않아 보인다. 사노피(Sanofi)와 디날리 테라퓨틱스(Denali Therapeutics)가 공동개발하는 뇌(BBB) 투과 RIPK1 저해제가 이번엔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 MS) 환자에게서 효능을 내지 못했다. 다발성경화증은 면역체계가 뉴런을 둘러쌓아 보호하고 있는 미엘린(myelin)을 공격하면서 걸리는 만성 뇌질환이다. 올해 2월 해당 RIPK1 저해제 ‘오디트라서팁(oditrasertib, SAR443820/DNL788)’이 루게릭병(ALS) 임상2상에
세이지 테라퓨틱스(Sage Therapeutics)의 NMDA 수용체 조절제 ‘달자넴도르(dalzanemdor)’가 알츠하이머병(AD) 인지장애 임상2상에서도 실패했다. 지난 4월 파킨슨병(PD) 임상2상에서 실패한 이후 추가 적응증에서도 타격을 입으며 약물의 전망이 점차 흐려지고 있다. 세이지는 지난 8일(현지시간)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혹은 경증의 치매(dementia) 증상을 가진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달자넴도르의 임상
유도바이오(Judo Bio)는 지난 7일(현지시간) 시드와 시리즈A 투자로 1억달러를 유치하며 본격 출범을 알렸다. 유도는 지난 2021년 아틀라스벤처(Atlas Venture)가 설립한 바이오텍으로, 신장에 대한 선택성을 높인 새로운 접근법의 siRNA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유도는 이번 출범과 함께 회사의 CEO로 라지브 파트니(Rajiv Patni) 박사를 영입했다. 파트니 박사는 최근까지 리아타 파마슈티컬(Reata Pharmaceuticals)의 R&D 책임자로 재직했으며, 리아타는 지난해 7월 바이오젠(Biogen)에
미국 머크(MSD)의 PD-1 항체 ‘키트루다(Keytruda)’가 두경부암(HNSCC) 수술전후요법(perioperative) 임상3상에서 무사건생존기간(EFS) 개선에 성공하며, 더 초기 암으로 적응증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마조리 그린(Marjorie Green) 머크 종양학 임상개발 책임자는 “이번 임상결과는 국소진행성(locally advanced) 두경부편평세포암종에서 20년만에 처음으로 긍정적인 결과를 거둔 상당히(substantial) 의미있는 성과다”며 “이번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미국 머크(MSD)는 지난 8일(현지시간) 영국의 메스타그 테라퓨틱스(Mestag Therapeutics)와 19억달러 규모의 딜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딜에서 머크의 목표는 염증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표적을 발굴하는 것이다. 이번 계약은 타깃 발굴에 관한 것으로 계약금은 공개하지 않았으며, 계약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도 공개하지는 않았다. 다만 메스타그는 새로운 표적 발견을 위해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질병관련 역할을 조사하는 플랫폼을 머크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머크는 플랫폼을 통해 잠재적 타깃 중 사전에
J&J(Johnson&Johnson)가 블록버스터로 기대하는 '프레첼(pretzel) 모양' 반투과성 실리콘폴리머 기반의 약물방출 기술인 TARIS 플랫폼을 적용한 항암제 'TAR-200'의 임상3상을 중단했다. TARIS 적용 에셋에서 임상중단을 알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이번 중단에도 J&J는 여전히 TARIS가 50억달러 이상의 가치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J&J는 이번 임상 중단과는 별개로 진행한 다른 방광암 임상결과를 토대로 내년초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TAR-200의 첫번째 신약허가신청서(NDA)
스칼라락(Scholar Rock)의 마이오스타틴(myostatin) 항체가 척수성근위축증(SMA) 임상3상에서 운동기능 개선에 성공하며 주가가 350% 이상 폭등했다. 기존 신경세포를 타깃하는 표준치료제(SoC)와 달리 근육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접근법으로, 마이오스타틴 항체와 SoC를 병용투여했을 때 SoC 단독 보다 효능을 더욱 개선시킨 결과다. 업계는 스칼라락의 이번 임상결과에 주목하고 있으며 ‘매력적인’ M&A 대상으로도 언급되고 있다. 더욱이 마이오스타틴 타깃 작용기전에 기반해, 회사가 근육보존 접근법으로 진행하고 있는
J&J(Johnson&Johnson)가 뎅기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개발도 결국 중단한다. J&J는 뎅기 바이러스(DENV) 항바이러스제 후보물질 ‘모스노덴비르(mosnodenvir, JNJ-1802)’의 개발 중단 이유로 전략적 선택을 언급하며 이번 중단과 관련해 안전성 문제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J&J는 모스노덴비르를 임상2상에서 평가하고 있었으며, 현재까지 진행한 평가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종료되면 연구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중단은 J&J가 지난해부터 감염질환 및 백신 분야를 축소하고 있는 전략 변화의 연장선상에
사노피(Sanofi)가 불과 2년전 희귀질환을 적응증으로 출시한 보체 항체를 이탈리아 레코르다티(Recordati)에 계약금 8억2500만달러, 총 10억7500만달러에 매각했다. 이번에 매각한 보체 C1s 항체 ‘엔제이모(Enjaymo, sutimlimab)’는 지난 2022년 미국, 유럽(EU), 일본 등에서 희귀 혈액질환인 한랭응집소병(cold agglutinin disease, CAD)에 대한 첫 치료제로 승인을 받아 판매되고 있는 약물이다. 사노피는 희귀질환을 회사의 핵심 사업부문 중 하나로 간주하고 있으며, 희귀질환 포
트리베니 바이오(Triveni Bio)는 지난 2일(현지시간) 시리즈B로 1억1500만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시리즈A로 9200만달러를 유치한데 이어 1년만에 1억달러를 넘는 규모의 추가 펀딩에 성공하게 됐다. 트리베니는 신규타깃인 KLK5/7을 저해해, 사노피(Sanofi)의 블록버스터 ‘듀피젠트(Dupixent)’를 넘어설 수 있는 차세대 면역 및 염증질환 치료제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트리베니는 지난 2019년 아마그마 테라퓨틱스(Amagma Therapeutics)와 모디파이 테라퓨틱스(Modif
로슈(Roche)가 동종유래(allogeneic) BCMA CAR-T로 진행한 다발성골수종(MM) 임상1상의 중간결과를 업데이트했다. 최적용량으로 설정한 림프구제거요법서 전체반응률(ORR)은 91%로 초기결과보다 증가한 수치이나 여전히 고용량의 림프구제거요법을 받은 환자에서 나온 반응이다. 로슈의 CAR-T 개발 파트너사인 포세이다 테라퓨틱스(Poseida Therapeutics)는 림프구제거요법(lymphodepletion)에 쓰이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Cy)’의 최적(optimized) 용량을
일라이릴리(Eli Lilly)는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인디애나(Indiana)주에 연구와 생산을 결합시킨 새로운 시설 ‘릴리 메디슨 파운드리(Lilly Medicine Foundry)’를 신규로 설립하며 45억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지난 5월말 기존 인디애나 생산시설에 53억달러 투자에 이어 약 4달만에 나온 소식이다. 발표에 따르면 릴리 메디슨 파운드리는 릴리에서는 최초(first-ever)로 연구시설과 생산시설이 공존(single location)하는 시설(center for advanced manufacturing
지투지바이오, 200% 무상증자 결정
AZ, 'TIGIT 이중항체' PD-L1 폐암 "ORR 62%·PFS 12개월"
에이비엘, 월드ADC서 "이중항체 ADC 전략 발표"
종근당, 신약개발社 '아첼라' 설립..대표에 이주희 박사
머크-다이이찌, ‘CDH6 ADC’ 난소암 2상 "ORR 50.5%"
다케다, 中이노벤트 '항암에셋' 3개 "총 114억弗 L/I"
머크-켈룬, ‘TROP2 ADC’ 폐암 中3상 “OS 40%개선”
서밋, PD-1xVEGF 'OS 실패' 불구 “美 허가신청 추진”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아이젠사이언스, 박현선 부사장·박억 상무 영입
오름테라퓨틱, 'DAC 기술총괄'에 도린 토오더 박사 영입
[기고]'조용한 수호자' Treg 노벨상 "면역치료의 진화"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큐리언트, '텔라세벡' 호주 허가임상 중간 "100% 완치"
HLB 베리스모, MSLN CAR-T 1상 국제학회 “구두 발표”
SK바팜, 유로파마와 'AI 뇌전증' JV 멘티스케어 출범
코어라인, 獨공공의료기관에 '흉부진단 AI' 공급
마이크로바이오틱스, '박테리오파지 신약' 국내 1상 승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