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주대의료원과 모바일 헬스케어 기업인 눔코리아가 임상 의료정보를 라이프로그(생활습관정보)에 융합한 공통 데이터모델 개발을 위해 협력키로 했다. 아주대의료원 의료정보연구센터와 눔코리아는 7일 아주대병원 별관 5층 회의실에서 ‘공통데이터모델 기반 산학연협력의 동반 성과창출을 위한 업무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아주대의료원 의료정보연구센터의 차별화된 의료정보 인프라와 눔코리아의 모바일 헬스케어 분야 경험을 기반으로 △선행공통데이터모델 기반 분산형 바이오헬스 통합 데이터망 구축 기술개발 △라이프로그 융합용 국제 표준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오는 15일 서울 반포동 쉐라톤 서울팔래스강남호텔 본관 1층 로얄볼룸에서 보건의료기술의 효율적인 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 연구중심병원-제약기업을 잇는 오픈 이노베이션 행사를 개최한다. 의료계의 연구성과와 산업계의 신약개발 현황을 공유하는 자리다. 이번 행사는 연구중심병원협의회의 연구중심병원 소개 발표로 시작해 △융합연구 기반 대사질환 및 암 치료제(고대병원 김현수 교수) △Development of RBP-albumin fusion protein as anti-fibrotic drug(고대병원 오준서 교수) △세
유한양행과 앱클론은 공동개발중인 항체신약 프로젝트들 중 첫 번째 프로젝트에서 새로운 면역항암제 후보물질(YHC2101)을 도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YHC2101은 면역항암제 중 면역관문저해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로 분류된다. 면역관문저해제란 암세포의 면역반응 회피신호를 억제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약물이다. PD-1/PD-L1을 표적으로 하는 BMS사의 옵디보, 머크사의 키트루다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현재 판매되는 면역관문저해제는 높은 치료효과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자들에게서만 효능
셀트리온그룹이 7일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사업 확장 및 가속화를 위해로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기우성·김형기 셀트리온 공동 대표이사는 각각 사장에서 부회장으로 승진하며 셀트리온은 기존 기우성·김형기 공동 대표이사 체제에서 기우성 부회장 단독 대표이사 체제로, 셀트리온헬스케어는 김형기 부회장과 김만훈 사장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전환된다. 기우성 부회장은 셀트리온 설립 초기부터 생산, 임상 및 허가부문 경영자로 세계최초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의 유럽 허가 및 후속 바이오시밀러의 임상과 허가를 진두지휘해왔다. 기우성 부회장은 이
SCM생명과학은 면역 질환에 특화한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제조기술의 특허를 확보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특허는 부작용이 알려진 기존의 면역억제제와 염증억제제를 대체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진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제조 기술로 특허명은 '염증 자극된 중간엽줄기세포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또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SCM생명과학은 특정 조건으로 염증 자극된 중간엽줄기세포가 신경세포인 콜린성 뉴런과 유사한 형태로 변화하고, 변화된 중간엽줄기세포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비해 활성화된 면역세포를 억
많은 스타트업, 벤처들이 공통적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분이 함께 일할 사람을 찾는 것이다. 대기업이나 공기업 등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모험적인 스타트업이 인재를 채용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으로 부상하면서 '인력모시기' 경쟁이 뜨거운 인공지능(AI), 딥러닝(Deep Learning) 분야는 더욱 그렇다. 2015년 문을 연 바이오·IT융합 스타트업 딥바이오도 같은 문제에 봉착했다. 딥러닝을 이용해 암 진단 솔루션을 개발하는 회사이니 만큼 딥러닝 개발 인력 확보는 무엇보다 중
티움바이오의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치료제 후보물질이 독일에서 임상 돌입할 계획이다. 회사내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파이프라인 'NCE403(TU2670)'으로 GnRH 길항제(antagonist)다. 티움바이오는 6일 유럽윤리위원회(EC, Ethics Committee)에 이어 지난달말 독일 임상승인기관(BfArM)에 NCE403의 임상돌입을 위한 임상승인신청서(IND filing)를 제출을 마쳤다고 밝혔다. 두기관은 별도의 승인절차 없이 제출후 EC는 60일, BfArM는 30일내에 임상중단 및 추가자료요구와 관련한 조치
GC녹십자는 6일 이재우(李載宇, 52세) 박사를 개발본부장(상무)으로 영입했다고 밝혔다. 이재우 신임 개발본부장은 서울대학교 약학 박사 출신으로, LG화학(구 LG생명과학) 제품개발 부서에서만 15년 이상 근무했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선진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허가 전략 강화 및 전반적인 R&D 생산성 제고를 위해 관련 분야 최고 전문가를 영입했다”고 설명했다.
우정비에스씨가 지난해 적자전환했다. 상장에 따른 일회성 비용 증가와 R&D 투자 확대에 따라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우정비에스씨는 2017년 매출 289억 3200만원, 영업손실 23억 6200만원, 당기순손실 70억 6600만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매출은 34.7%가 늘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적자전환했다. 회사 관계자는 "회사 설립 이후 23년간 적자 없는 흑자경영을 해왔으나 2017년 상장 첫해 매출액이 전년대비 30%이상 증가 했으면서도 적자를 기록했다"면서 "합병상장에 따른 일회성 비용과 적극적인 투자가 맞물
젬백스앤카엘은 지난 3일 열린 제 27회 대한전립선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양성전립선비대증에서 GV1001의 안전성과 치료효과'에 대한 연제가 최우수학술상을 수상했다고 6일 밝혔다. 대한전립선학회는 1997년 창립된 학회로 국내 전립선질환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가진 학회이며 이번에 수상한 GV1001에 대한 연구는 발표된 14편의 연제 중 최고 점수를 받아 최우수학술상으로 결정됐다. 앞서 젬백스앤카엘은 2015년 8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양성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GV1001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무작위 배정, 위약대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전문기업 지놈앤컴퍼니는 유전체기업 마크로젠과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마크로젠으로부터 10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마크로젠의 차세대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과 멀티오믹스(Multi-OMICS) 분석기술을 기반한 정밀의료와 지놈앤컴퍼니의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영역을 융합해 마이크로바이옴을 대상으로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인간의 몸 안팎에 서식하는 미생물들과 유전정보를 의미하는 마이크로바
대웅제약이 5일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삼페넷’을 국내 출시했다. 삼페넷은 스위스계 다국적제약사 로슈가 판매하는 초기 및 전이성 유방암, 전이성 위암치료제 ‘허셉틴’ 바이오시밀러이며, 허셉틴은 2016년 약 8조의 글로벌 매출을 기록한 세계 8위 바이오의약품이다. 삼페넷은 작년 11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았고, 지난 2월에는 보험급여목록에 등재됐다. 삼페넷은 보험약가는 오리지널 대비 29.5% 저렴한 29만1942원이다. 국내 영업조직이 없는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같은 해 12월 국내 판매 파트너로 대웅제약을
엔젠바이오가 최근 유방암 검사제품의 식약처 허가, 글로벌 유전체장비기업 일루미나와의 소프트웨어 개발 계약, 투자유치 등을 잇따라 진행하며 의미있는 성과를 내고 있다. 엔젠바이오는 KT와 젠큐릭스가 공동투자해 설립한 기업으로 유전체 자동 분석 소프트웨어와 결합한 NGS기반 암 진단 제품을 개발, 출시하는 기업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엔젠바이오의 차세대염기서열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반 유전성 유방암/난소암 검사 제품인 브라카아큐테스트(BRCAaccuTest)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 품목허가
유전체교정 전문 기업 툴젠은 2일 이병화 전 엠지메드 대표이사가 부사장으로 취임했다고 밝혔다. 이병화 신임 부사장은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장기신용은행과 국민은행에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생명공학기업인 마크로젠에 합류했다. 이후 대표이사까지 승진했으며 마크로젠의 자회사였던 엠지메드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회사측은 "이병화 부사장의 취임으로 현재 툴젠이 준비하는 이전 상장에 대한 준비와 세계시장 진출을 위한 목표 수립을 비롯해 툴젠의 내실을 다지는 작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병화 부사장은 "유전자
바이오시밀러의 출시에 따른 영향으로 국내 항암제 시장이 출렁거렸다. 항암제 매출 1위 ‘허셉틴’과 '맙테라'가 바이오시밀러의 등장으로 약가가 인하되면서 매출도 큰 폭으로 줄었다. 바이오시밀러의 등장으로 건강보험재정 절감 효과도 가시화했다. 국내 개발 항암제 중 GC녹십자셀의 ‘이뮨셀엘씨’의 선전이 두드러졌다. 2일 의약품 조사기관 아이큐비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항암제 시장에서 로슈의 ‘아바스틴’이 920억원으로 가장 많은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14.2% 증가하며 허셉틴을 제쳤다. 그동안 국내 항암제 시장은 허셉틴이 주
제넥신이 지난해 상장 이래 첫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중국 바이오기업 I-Mab에 6000억원 규모의 면역항암제 기술수출과 계열회사의 투자주식 처분 효과로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제넥신은 28일 매출 및 손익구조 변경공시를 통해 2017년 매출 285억, 영업손실 64억 당기순이익 11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150.7%은 늘었고 영업손실은 73.5%가 줄었으며 당기순이익은 흑자전환했다. 2009년 기술성 평가를 통해 상장한 제넥신은 지속형 성장호르몬, 자궁경부전암 치료제, 면역항암제, DNA 치료백신 등 혁신신약의 글
셀트리온, ‘사이언스&이노베이션 데이’ 개최
한미약품, 내달 EASD서 '비만 신약' 연구 "6건 발표"
길리어드 "여지없이", in vivo CAR-T '선두' 3.5억弗 인수
다인메디컬, 스위스 EMS와 "1020억 공급계약"
그래디언트, 동아ST와 '항암∙뇌질환' AI 신약연구 MOU
아이씨엠, 'Nkx3.2 AAV' OA 1/2a상 "DMOAD 도전"
'의료AI' 템퍼스, '병리 선두‘ 페이지 8100만弗 인수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차백신연구소, 대표이사에 한성일 부사장 내정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한국얀센, 'IL-23 항체' 적응증 확대 "CD∙UC 승인"
디티앤씨알오, 루다큐어와 신약개발 협력 M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