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마리서치프로덕트는 신임 연구소장으로 김태균 박사를 영입했다고 1일 밝혔다. 김 소장은 경북대 유전공학과 학∙석사, 고려대 의학생명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에서 박사 후 과정을 수료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20년간 의약품 및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안전성·유효성 심사 업무를 담당했다. 최근에는 바이오 벤처기업에서 기술총괄이사직(CTO)을 역임했다. 김 소장은 “다양한 연구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내실있는 재생의학 연구 집단을 구축하고 우수한 기술과 제품 개발에 매진해, 회사 성장 가속화에 기여할 수
진매트릭스는 분자진단 제품의 자동분석 결과보고 소프트웨어인 네오플렉스 뷰어(Neoplex Viewer)가 유럽에서 의료기기로 등록됐다고 1일 밝혔다. 네오플렉스 뷰어는 대량 임상검체 분석과 동시에 결과보고를 자동화하는 시스템 기술로 진매트릭스가 핵심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회사 측은 “유럽과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제품인 네오플렉스의 CE 인증을 앞두고 자동분석 소프트웨어인 네오플렉스 뷰어가 유럽 의료기기로 등록돼 본격적인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초석을 다지게 됐다”며, “연내 CE 인증이 임박한 ‘네오플렉스 STI-7’ 제품
툴젠은 1일 아일랜드 식물육종 스타트업 플랜트에디트(PLANTeDIT)와 유전자 교정 식물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두 회사는 식물에 적용 가능한 유전자 교정 플랫폼 개발을 위해 협력해 왔으며, 이번 계약을 통해 본격적인 사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식물 유전자 교정 기술은 외부 유전자 주입 없이 식물체 자체의 자연적 형질 전환 과정을 촉진시키는 방식으로, 작물 개발에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 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식물 유전자 교정은 농업 분야에서 파급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
메디톡스가 보툴리눔독소제제 ‘메디톡신’의 방광기능장애 적응증을 추가하기 위한 임상시험에 착수한다.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메디톡스는 특발성 과민성 방광 증상을 가진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메디톡신주의 안전성을 탐색하기 위한 임상1상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 임상시험은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경북대병원, 서울대병원, 아주대병원 등에서 진행된다. 현재 메디톡신은 눈꺼풀경련, 첨족기형, 뇌졸중의 상지경직, 미간주름 등 4개의 적응증을 보유 중이다. 국내 기업이 개발한 보툴리눔독소제제 중 휴젤의 보툴렉스와 함께 가장 많은 적응증을
셀트리온의 항체 바이오시밀러 '램시마(미국명 인플렉트라)'가 3분기 미국에서 3400만 달러(38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해 미국 시장에서만 1000억원대 매출을 올릴 것이 확실시된다. 화이자는 31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램시마의 매출이 1억 1200만 달러(1250억원)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분기(9400만 달러) 대비 약 20%, 지난해(4900만 달러) 대비 두 배 이상 매출이 늘었다. 누적 매출은 2억 8400만 달러 규모다. 화이자는 셀트리온이 개발한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
유한양행과 한미약품이 새로운 수익원(캐시카우) 발굴을 통해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나타냈다. 유한양행은 자체 개발 의약품의 성과를 내며 도입신약 의존도를 낮추는 분위기다. 한미약품은 다양한 신제품과 지속적인 기술료 유입이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졌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1조850억원으로 전년대비 11.7% 늘었고 영업이익은 782억원으로 12.0% 증가했다. 유한양행이 3분기만에 매출 1조원을 돌파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유한양행의 주요 제품 매출을 살펴보면 모처럼
지트리비앤티는 31일 미국 전역 안과 특성화 병원에서 진행된 RGN-259 안구건조증 치료 신약의 3상 임상시험(ARISE-2)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미국 자회사 ReGenTree가 진행하는 이번 임상은 601명의 안구건조증 피험자를 대상으로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됐다. ARISE-2 임상의 전체 피험자군을 대상으로 한 평가항목 가운데 증상(Symptom)의 대표 항목인 안구 불편감 분석과 징후(Sign)의 대표 항목인 각막상처치료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또한 각막의 전 영역에서 상처치유효과와
한미약품은 지난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278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2.2% 늘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2276억원으로 전년보다 3.6% 늘었고 당기순이익은 228억원으로 261.9% 증가했다. 회사 측은 "주력 제품인 아모잘탄(고혈압 치료제)과 아모디핀(고혈압 치료제), 로수젯(고지혈증 치료제), 구구∙팔팔(발기부전 치료제) 등의 안정적 성장이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기술수출 파트너사들이 지급한 기술료도 수익으로 인식됐다. 개별 회계 기준에서 기술료 수익을 제외한 R&D 투자 비율은
셀트리온은 류마티스 크론병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인 '램시마' 피하주사(SC) 제형의 임상1상에서 안정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환자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제형인 정맥주사(IV)와 별도로 피하주사 제형을 개발, 2019년 상업화를 목표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지난 30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유럽장질환학회(UEGW)에서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램시마 SC제형의 안전성 및 약동학 비교 임상1상 결과를 포스터를 통해 공개했다. 포스터에 따르면 이번 임상1상은 건강한 19~30세
녹십자는 지난 3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이 42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1.3% 늘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3561억원으로 전년보다 8.7%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284억원으로 24.0% 늘었다. 회사 측은 "국내외 사업 호조와 효율적인 판매관리비 집행으로 수익성이 대폭 개선됐다"라고 설명했다. 백신 사업의 국내외 매출 규모는 독감백신의 국내 판매실적의 가세로 전년 동기보다 17% 늘었다. 혈액제제 부문은 면역글로불린의 수출 호조로 해외 매출이 10% 상승했다. 녹십자의 3분기 매출액 대비 판매관리비 비
녹십자는 30일(현지시간) 캐나다 퀘벡 주 몬트리올에서 캐나다 법인 Green Cross Biotherapeutics(GCBT)의 혈액제제 공장 준공식을 열었다고 31일 밝혔다. 국내 기업이 북미에 바이오 의약품 생산시설을 세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총 설비투자 2억5000만 캐나다달러(약 2200억원)가 투입된 캐나다 GCBT 공장은 지난 2015년 6월 착공했고 최근 공장 건축과 기계적인 설비를 모두 완료했다. 이 공장 준공으로 녹십자는 북미에 생산거점을 확보했고 국내외 혈액제제 생산능력이 270만ℓ로 늘어나 '글로벌 톱5
#국내의 모 교수가 학회 참석을 위해 방문한 미국에서 현지 벤처캐피탈리스트(VC)를 만났다. 교수가 자신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며 자부심을 드러내자 VC가 "스타벤처 나오나요?"라고 화답했는데 순간 분위기가 싸해졌다. 이미 계획이 있어서 노출하기 조심스러운 것이 아니라 비즈니스를 한 번도 고민 해보지 않은 눈치였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출신들이 바이오벤처 창업을 위해 팀을 꾸렸다. 투자 상담을 위해 만난 VC가 "교수 자리를 포기하고 나와서 (바이오벤처를) 할 수 있느냐"고 묻자 이들은 즉각 대답했다. "펀드레이징(fund-rai
JW중외제약은 일본 에자이그룹 EA제약과 혈액투석환자를 위한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SHPT) 치료제 ‘AJT240’에 대한 국내 임상 및 판매 라이선스계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은 혈액투석을 받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혈중 비타민D, 칼슘 등의 수치가 저하됨에 따라 부갑상선호르몬이 과도하게 생성되면서 고칼슘혈증, 골다공증, 근력 악화 등을 유발하는 병이다. ‘AJT240’은 부갑상선에 있는 칼슘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면서 부갑성선 호르몬의 과잉분비를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의 치
최근 국내제약기업들이 2개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된 복합제 시장을 적극적으로 두드리고 있다. 제약사 입장에선 복합제는 신약보다 개발 난이도가 떨어질 뿐더러 기존에 없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는 매력이 있다. 환자들에게는 1개의 알약만으로 2개 이상의 제품을 복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복용 편의성이 제공된다. 복합제는 2개의 알약을 따로 먹는 것보다는 약값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게 제약사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그러나 일부 복합제 제품은 개별 성분을 따로 복용할 때보다 약값이 더 높은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머크와 바이오의약품 제조와 공정개발 분야 전략적 제휴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제휴는 머크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바이오의약품 원료 물질을 제공하는 내용으로 2014년 체결한 장기 공급 계약의 연장선상이다. 머크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국내 1 공장(3만리터 규모)과 2 공장(15만 2000리터 규모)에 필요한 핵심 솔루션과 생물학 제제 개발 공정 구축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왔다. 머크가 보유한 뫼비우스 싱글유즈(Mobius Single-use) 포트폴리오는 가변 생산을 위한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KDDF)이 프랑스 제약사 세르비에(SERVIER)와 협력해 글로벌 기술이전 가능성 극대화를 위한 ‘빅파마 연계 공동 연구개발 프로그램(Joint R&D Program)’의 공모를 시작한다. KDDF는 선도물질 도출부터 임상 2상 단계까지의 심장질환치료제 분야를 대상으로 사업제안요구서(RFP)를 공고 국내 민간기업, 대학(의료기관 포함), 정부출연연구기관, 국공립연구소를 대상으로 과제접수를 받는다고 30일 밝혔다. 구체적 질환분야는 심부전(Heart Failure)과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펩트론, ADC의 "세포유입∙효능↑" 플랫폼 초기결과 '공개'
릴리, ‘GLP-1/GIP’ 폭발적 증가 "1Q 매출, 전년比 45%↑”
셀트리온제약, 신규 '이중페이로드' 플랫폼 "첫 공개"
유한양행, ‘TKI’ EGFR 엑손20도 효능..‘EGFRx4-1BB’ 공개
머크, ‘키트루다' 美 생산시설 착공..”10억弗 투자”
노바티스, 레귤러스 17억弗 인수.."신장질환 강화"
AZ, 신경과학 임상개발 "3건 중단..파이프라인 제로(0)"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이엔셀, 셀트리온 출신 염건선 이사 영입
삼진제약, BD담당에 이서종 이사 영입
"책은 느릴까요?" 카페꼼마서 '바이오 전문서적' 만나다
[새책]『좋은 바이오텍에서 위대한 바이오텍으로』
오스코텍, 'EP2/4 저해제' 고형암 "FDA 1상 IND 신청"
티움바이오, TGF-β/VEGF+키트루다 2상 "ASCO 발표"
이뮨온시아, 공모가 상단 3600원 확정.."329억 조달"
바이젠셀, 테라베스트와 'GD2 CAR-NK' 공동개발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