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테오젠(Alteogen)이 18일 감사보고서 제출이 지연됐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7조 제1항에 의거해 외부감사인은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정기 주주총회 1주일 전인, 이날까지 회사에 제출해야 하지만 제출하지 못한 상태다. 알테오젠의 주총 예정일은 3월 28일이다. 알테오젠은 2021년 회계연도 감사와 관련, 현재까지 당사 및 종속회사의 전환우선주(CPS) 회계처리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심리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음에 따라 감사보고서의 제출이 지연됐다고 설명했다. 알테오젠은
대웅제약은 18일 경증 및 중등증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DWJ1248(성분명: 카모스타트 메실레이트)'의 국내 임상2/3상을 중단한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임상 2b상에서 코로나에 확진된 대상자 중 고위험군 또는 고령의 환자에게서 증상개선을 확인했으나, 최근 코로나와 관련된 전문가 의견 및 종합적 상황을 고려해 임상중단을 결정했다. 또 오미크론 변이형이 우점종이 되면서 중증 발전비율이 급감했고 코로나19 확진자들이 빠르게 회복됨에 따라 경증 치료제 개발의 의학적 중요성이 낮아졌다고 판단했다. 대웅
대웅제약은 18일 KB바이오메드와 골다공증 치료제인 테리파라타이드(teriparatide)의 합성 펩타이드 또는 재조합 펩타이드 공동개발 및 라이선스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대웅제약과 KB바이오메드는 주사제인 테리파라타이드를 경구용으로 적용하기위한 제형개발 단계부터 전임상 및 임상개발, 상업화 단계까지 협력관계를 유지할 예정이다. KB바이오메드는 경구용 제제 개발 및 초기 전임상을 진행하고, 대웅제약은 제형개발, 제조공정 기술개발, 전임상, 글로벌 임상 및 상업화를 담당한다. 이후 신규 출원한 지적재산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골관절염 치료제 후보물질 '엔게디1000(E1K)’의 임상 2상을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이번 임상 2상은 만 40~70세 이하의 중등증 무릎 골관절염 환자 120명을 대상으로 E1K 단회 투여 후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며 전국 8개 기관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E1K는 생체 유래 아미노산 5개로 구성되어 있는 짧은 펩타이드로 통증경감과 연골재생의 작용기전을 가진다. 김해진 엔솔바이오 대표는 “국내에서 골관절염 통증치료제로 임상을 진행해 가능한 빨리 국내 골관절염 환자들을 치료할 수
한미약품(Hanmi Pharmaceuticals)의 파트너사 스펙트럼 파마슈티컬(Spectrum Pharmaceuticals)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장기지속형 호중구감소증치료제 후보물질 ‘롤론티스(Rolontis, eflapegrastim)’의 신약허가신청서(BLA)를 다시 제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시판허가 신청은 작년 8월 FDA로부터 수령했던 제조시설 CRL(Complete Response Letter)의 보완사항 개선에 따른 것으로, 회사는 규제당국이 약 6개월간의 검토기간을 가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기
유한양행은 18일 서울 대방동 본사 강당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보통주 1주당 배당금 400원, 우선주 410원의 현금배당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조욱제 사장은 이날 주총에서 인사말을 통해 “코로나 팬데믹 위기속에서도 유한 전직원들은 원팀(One Team) 정신을 바탕으로 전부문에서 고른 성장을 이루었다”며 “글로벌 혁신신약인 '렉라자(Leclaza®, lazertinib)'를 필두로 유한양행의 비전인 ‘Great Yuhan, Global Yuhan’과 유한 100년사 창조를 위해 계속 전진해 나아가겠다”고 다짐했다. 유한양행은 별도
안지오랩(AngioLab)이 17일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후보물질 ‘AL101-NASH(ALS-L1023)’의 임상2a상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ALS-L1023은 혈관신생을 억제해 간내 지방축적을 억제하고 간의 염증을 감소시키는 다중표적 기전의 약물이다. 안지오랩은 한양대병원을 비롯한 4개의 대학병원에서 ALS-L1023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NASH 환자 60명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했다. 임상에 참여한 환자들은 ALS-L1023 고용량(1800mg/day)군, 저용량(1200mg/
인지기능증진제 신약개발 벤처기업 비엔에이치리서치(BnH리서치)는 18일 시리즈B로 120억원 규모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UTC인베스트먼트, LSK인베스트, CKD창업투자, 어니스트벤처스, PNP인베스트, 위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비엔에이치리서치는 투자금을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전임상 연구 및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에 사용할 예정이다. 비엔에이치리서치는 성인 대뇌피질의 신경가소성을 재활성화해 인지기능을 개선시키는 컨셉의 약물을 개발 중으로, 퇴행성뇌질환 뿐만 아니라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 등의
셀트리온은 18일 UN 산하 국제의약품특허풀(Medicines Patent Pool, MPP)과 화이자(Pfizer)의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Paxlovid, nirmatrelvir+ritonavir)’ 제네릭 의약품 생산을 위한 라이선스인(License-in) 계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화이자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접근성 확대를 위해 국제기관 MPP를 통해 중저소득국가 판매를 허용하는 비독점 라이선스를 부여한 데 따른 것으로 취득사는 원료의약품(API) 또는 완제의약품 공급을 담당하게 된
유전체분석 전문기업 지니너스(Geninus)와 신약개발 바이오텍 파로스아이바이오(Pharos iBio)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혁신신약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MOU에 따라 두 회사는 AI를 활용한 신약 후보물질 도출을 통해 공동개발 및 사업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지니너스는 유전체 기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신약개발에 대한 유의미한 마커 발굴을 진행하며, 파로스아이바이오는 AI 플랫폼을 활용한 적정 후보물질 선별 및 약물 효능평가를 진행한다. 파로스아이바이오는 AI 플랫폼 ‘케미버스(Che
에스티팜(ST Pharm)이 유럽소재 글로벌 제약사와 만성질환용 올리고핵산치료제(oligonucleotide) 원료의약품의 상업화 물량 공급에 대한 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공시에 따르면 계약금액 총액은 806억67167만원이다. 계약기간은 이날을 기점으로 내년 1월 3일 종료된다. 유럽소재 글로벌 제약사는 미국과 유럽에 해당 의약품을 판매·공급하게 된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다음달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개최되는 2022 미국암학회(AACR 2022)에서 오가노이드 기반 항암제 효능평가 플랫폼에 대해 현장발표한다고 17일 밝혔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는 AACR 오프라인 행사 중 하나인 Exhibitor Spotlight Theater 세션에서 ‘ADIO(Autologous Organoid based Discovery for Immuno-Oncology Drug)’ 플랫폼으로 종양 오가노이드와 환자유래 면역세포를 공배양 시키고 환자특이 면역세포를 생산해 면역관문억제제의 효능을 평가한 결과
'1세대 바이오회사'로 언급되는 메디포스트(Medipost)가 1600억원에 사모펀드에 매각됐다. 메디포스트는 지난 2000년 6월 서울대의대 출신으로 삼성서울병원 교수인 양윤선 대표가 설립해 2005년 7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됐다. 메디포스트는 17일 이사회를 통해 총 1400억원 규모 3자배정 유상증자, 전환사채(CB) 발행 결의와 함께 경영권변경을 위한 200억원 규모의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메디포스트의 최대주주는 스카이레이크에쿼티파트너스(스카이메디유한회사), 크레센도에쿼티파트너스(마블20
노벨티노빌리티(Novelty Nobility)는 17일 다음달 열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로 개발중인 항암제 후보물질 ‘NN3201’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한다고 밝혔다. 초록은 AACR 홈페이지에 공개됐다. NN3201은 cKIT을 타깃하는 완전인간 단일클론항체와 미세소관억제제 MMAE(monomethyl auristatin E)가 결합된 ADC다. cKIT은 다양한 암에서 과발현되어 있다고 알려진 줄기세포인자수용체로, 현재 노벨티노빌리티는 cKI
'유니콘특례 상장 1호'로 이달 30일 코스닥시장 상장이 예정돼있던 보로노이(Voronoi)가 16일 금융감독원에 상장 철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보로노이 관계자는 "공모가 확정을 위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지난 14~15일 양일간 실시했으나 기업가치를 정확하게 평가받기 어려운 상황 등 제반여건을 고려해 잔여일정을 취소하고 철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보로노이는 대표 공동 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과 협의 후 상장철회를 결정했다. 김대권 보로노이 대표는 "보로노이에 관심을 가져주신 투자자분들께 다시한번
랩지노믹스는 16일 이사회에서 주식 1주당 2주의 비율로 무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랩지노믹스는 무상증자를 통해 신주 2266만1082주를 발행한다. 신주배정기준일은 오는 4월 1일이며, 상장예정일은 4월 25일이다.
릴리 “新기준”, ’아밀린 단독‘ 비만 2상서 "20% 감량"
화이자 勝, "치열했던 7일" 멧세라 100억弗 인수
노보노, 항암·MASH 초기에셋 "중단"..주력분야 '베팅'
리가켐, 'World ADC Awards' 2개부문 동시 수상
일동제약, 디앤디파마텍 5만3023주 전량 "매각 결정"
종근당, 'cMET ADC∙경구 GLP-1' 등 3건 "美학회 발표"
J&J, ‘다잘렉스SC’ 최초 무증상MM 확대 "FDA 승인"
베링거, CDR서 'CD19xBCMAxCD3' 5.7억弗 사들여
루카스, ‘바이러스 세포치료제’ 접근법 “개발 전략은?”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인사]삼양그룹, 정기 임원인사 및 조직개편
일동생활건강, 박하영 신임 대표 선임
씨어스, 디지털 기반 "글로벌 의료격차 해소" 비전
[기고]『아웃포스트』, 신약개발 최전선을 기록하다
동국생명과학, 조영제 '메디레이' 우크라이나 수출계약
유한, J&J와 '리브리반트+렉라자' 국내 공동판촉 계약
신라젠, 'TTK/PLK1 저해제' 전임상 "SITC 발표"
큐로셀, 서울대서 '고형암 CAR-T' 기술독점권 사들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