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 인공지능(AI) 전문회사인 모니터코퍼레이션(monitor corporation)이 시리즈A로 3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마무리했다고 19일 밝혔다. 모니터코퍼레이션은 지난 2018년 분당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의 이경준 교수와 김지항 교수가 공동설립한 회사다. 이번 시리즈A는 프리미어파트너스와 UTC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다. 이는 회사설립 당시 네이버 D2 스타트업 팩토리, 블루포인트파트너스로부터 초기 시드(Seed) 투자를 받은 후 3년 만의 후속 투자 유치이다. 이번 투자금은 모니터코퍼레이션이 자체 개발하고 있는 폐암 검진용
ADC링커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앱티스는 20일 진스크립트(GenScript ProBio)로부터 클라우딘18.2(Claudin18.2) 항체를 도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앱티스는 진스크립트로부터 ADC 용도와 관련된 클라우딘18.2 항체의 전세계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확보했다. 상세 계약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클라우딘18.2는 위암, 췌장암 등 여러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는 항원이다. 앱티스는 자체 ADC 링커 기술을 클라우딘18.2 항체에 접목해 독자적 ADC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게 됐다는 설명이다. 앱티스의
제 13회 바이오파마테크콘서트가 오는 23일(목) 서울 서대문역 바비엥2 교육센터 3층 컨퍼런스룸으로 장소를 변경했다. 주최측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전면 온라인 개최로 변경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사전 접수와 파트너링 신청은 과학기술진흥원 홈페이지(https://www.compa.re.kr) 또는 웹포스터 QR코드를 통해 등록이 가능하다. 이전에 2021 한국과학기술대전 홈페이지에서 사전신청을 한 기등록자도 다시 신청해야 한다. 온라인 참여자에게는 행사 전날 화상회의 접속이 가능한 url이 이메일로 전송된다. 참가비는 무료다.
티앤알바이오팹(T&R Biofab)은 자사가 개발한 3D 바이오프린팅 인공피부의 동물실험 결과를 국제 학술지에 게재했다고 17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Materials 저널에 ‘Therapeutic Efficacy of Artificial Skin Produced by 3D Bioprinting’라는 제목으로 지난 9월 게재됐다(doi: 10.3390/ma14185177). 티앤알바이오팹은 한국산업기술대, 전남대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3D 세포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인공피부를 개발 및 제작했다. 논문에 따르면 티앤알바이오팹은 돼지
한미약품이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GLP-1/GCG/GIP 삼중작용제 '랩스트리플아고니스트(LAPSTriple Agonist, HM15211)'의 원발경화성담관염(Primary sclerosing cholangitis, PSC)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 지정(Orphan drug designation, ODD)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LAPSTriple Agonist는 GLP-1 수용체(GLP-1R), 글루카곤 수용체(GCGR), GIP 수용체을 동시 활성화하는 삼중작용제다. 한미약품은 LAPSTriple Agonist가 다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LegoChem Biosciences)가 비임상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Trop2 ADC 'LCB84' 후보물질이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과제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국가연구과제 선정으로 레고켐바이오는 향후 2년간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에 필요한 비임상 및 임상시료 생산 등에 대한 연구비를 지원받게 돼다 LCB84는 지난 6월 레고켐바이오가 이탈리아의 메디테라니아로부터 기술도입한 Trop2 단일클론항체에 자체 ADC 플랫폼 기술을 결합해 도출한 ADC 항암제 후보물질이다. 레고켐바이오는
유전자교정 전문기업 툴젠은 CRISPR 유전자가위 R&D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R&D센터 건설에 약 1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소재지는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로 건축면적 약 1200평(3927.63㎡), 연면적 약 1500평(4960.70㎡) 규모의 연구시설이다. 내년 1월 착공해 2023년 1월에 완공할 계획이다. 오송첨단의료복합단지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등 6대 국책기관이 이전해 운영 중이며, 신약개발지원센터, 실험동물센터, 첨단임상시험센터의 연구지원시설을 중심으로 글로벌
엘마이토 테라퓨틱스(Lmito Therapeutics)는 염증과 섬유화증이 같이 내제되어 있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PKM2 활성화약물(PKM2 activator)’ 개발 과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KDDF)의 ‘신약R&D 생태계 구축 연구’ 사업 지원과제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엘마이토는 세포대사(cell metabolism) 조절을 통한 자가 염증성, 면역질환 치료제 개발 바이오텍이다. 이번 국가신약개발사업 지원과제 선정으로 엘마이토는 향후 2년간 연구개발비를 지원받게 됐다. PKM2(pyruvate kinase M2)는
토모큐브(Tomocube)가 3차원(3D) 홀로그래피 영상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세포를 형광염색없이 기존 형광이미지를 97% 이상 예측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세포에 형광염색을 하는 과정없이도 실시간으로 분자 정보를 볼 수 있다는 의미다. 토모큐브는 홀로그래피 이미지에 딥러닝(deep learing)을 접목해 염색없이 형광정보를 직접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이번달 7일 네이처셀바이올로지(Nature Cell Biology, IF 28.82)에 게재했다. 해당 연구는 토모큐브 AI팀과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
글로벌 체외진단 전문기업 SD바이오센서는 16일 국제기구 FIND(Funds for Innovative New Diagnostics)가 중저개발국으로 공급할 현장분자진단기기로 자사의 ‘스탠다드 M10(STANDARD M10)’을 최종선정했다고 밝혔다. FIND는 다양한 파트너들과 진단 분야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안정적 보건시스템 확립을 목표로 하는 진단전문 국제기구다. FIND는 전세계에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진단 신기술에 대해 객관적이며 독립적인 임상을 주도해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세계보건기구(WHO) 및 각국
체외진단 바이오벤처 솔바이오는 15일 혈액에서 엑소좀을 이용해 악성 흑색종을 진단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바이오센서&바이오일렉트로닉스(Biosensors and Bioelectronics)에 게재했다고 밝혔다(doi: 10.1016/j.bios.2021.113828). 발표에 따르면 솔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가역적 면역분리시스템 기술 ‘뉴트라릴리스(Neutra Release)’를 이용해 혈액 5방울, 약 0.2mL를 이용해 암세포로부터 유래한 종양 특이적 엑소좀을 1차로 분리했다. 이후 자체 개발한 종양 특이적 엑소좀 분석기술 '엑
펩트론(Peptron)은 16일 유럽 의약품제조및품질관리기준(EU-GMP) 수준의 임상 승인을 위한 자사의 오송바이오파크 생산시설의 유럽의약품청(EMA) 현장실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이번 실사가 이뤄진 오송 생산시설은 약효지속성 펩타이드 의약품의 임상개발 및 생산∙상용화에 특화된 시설이다.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의 주사제 완제의약품을 연간 100만 바이알 규모로 생산할 수 있는 연면적 4700㎡ 규모의 스마트 공장이다. 펩트론은 오송 생산시설에서 호주 인벡스(Invex Therapeutics)와 함께 유럽 임상3상
제 13회 바이오파마테크콘서트가 오는 23일(목) 일산 킨텍스(KINTEX) 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총 7가지 유망 기술을 소개하고 관련 연구자, 기업, 투자자간 파트너링을 통해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논의한다. 이번에 13회를 맞게 되는 바이오파마테크콘서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바이오스펙테이터가 공동주관한다. 이번 행사는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으로도 참여할 수 있으나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오프라인 참여인원은 최대 50명으로 제한된다. 각 기술별로 15분간 발표 후 개별 파트너
제일약품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역류성식도염 치료제 후보물질 ‘JP-1366’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3상 계획을 승인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역류성(미란성)식도염 환자를 대상으로 JP-1366 20mg 또는 에소메프라졸(Esomeprazole) 40 mg 투여에 따른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한 임상이다. 에소메프라졸은 기존 역류성식도염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프로톤펌프 저해제(Proton Pump Inhibitor, PPI) 중 하나다. 회사측에 따르면 JP-1366은 P-CAB(Pota
피노바이오는 15일 한국화학연구원과 공동으로 미국혈액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에서 표적항암제인 DNMT1 저해제 ‘NTX-301’의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abstracts 2348). 발표에 따르면 NTX-301은 in vitro 연구에서 암세포 성장을 억제하고 암세포 내 암의 생장/증식/전이 등에 영향을 끼치는 특정 DNA에 선택적으로 활성화하는 결과를 보여줬다. 또 NTX-301을 투여한 종양 마우스 모델에서 기존에 사용되는 항암제인 아자시티딘(azacytidine) 보다
체외진단 전문기업 프리시젼바이오가 15일 일본 에이켄 화학(Eiken Chemical)과 자사 검사기 및 카트리지 수출판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에이켄화학은 도쿄증권거래소(TSE)에 상장된 글로벌 진단 전문 기업이다. 프리시젼바이오는 지난 10월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에 허가를 신청한 ‘Exdia TRF Plus’ 검사기와 코로나19, 인플루엔자 진단용 Exdia 시약 2종의 심사가 마무리 단계에 도달함에 따라 에이켄화학과 제품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일본 승인 완료 후 Exdia TRF Pl
노바티스 "또", 'BAFF-R 항체' ITP 3상도 "성공"
HLB 엘레바, 브라이언 김 신임 대표 선임
노바티스, ‘BAFF-R 항체’ 쇼그렌 3상 “최초 성공"
길리어드, 항암제 'CAR-T' 매출부진 "계속"..경쟁심화
에이비엘, 'DLL4xVEGF' 2/3상 "내년 1Q 판독 연기"
리가켐, 'CEACAM5 ADC' WCLC서 "차별성 공개"
사이톰엑스, ‘마스킹’ EpCAM ADC 1상 “1명 사망”
바이엘도 ‘KRAS G12D’ 합류, 퀌쿼트와 “13억弗 딜”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비나이 프라사드, 사임 “10일만에” FDA 복귀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제약, 2Q 매출 1313억..전년比 12.1%↑
대원제약, 상반기 매출 3017억..전년比 1.9%↑
쓰리빌리언, 상반기 매출 46억..전년比 107%↑
SG메디칼, ‘암 오가노이드’ 신약개발 플랫폼 “UKC 발표”
동국생명과학, 상반기 매출 699억..전년比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