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GFR 돌연변이를 발견하고 종양 유전자 1개가 하나의 드라이버(driver)로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진 뒤, 지난 10년간 폐암 치료제 분야는 놀라운 발전을 이뤘다. 타깃들이 발굴되면서 2000년대 들어 많은 약제들이 개발되기 시작했고 일부는 시판 승인을 얻어 환자들에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적절한 치료제가 없는 변이를 가진 환자들의 미충족 수요가 존재한다.” 안명주 서울삼성의료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14일, 서울 중구의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보로노이 심포지엄’의 연자로 나서 이와 같이 말했다. 안 교수는
천랩이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평가를 통과했다. 천랩은 한국거래소에 상장예비심사 청구서 제출 등 상장 절차를 밟아 연내 코스닥 시장에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천랩은 기술성 평가를 진행하는 전문평가기관 2곳으로부터 합격점을 받았다. 기술성평가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필수 단계로 기술의 완성도, 경쟁력, 인력 수준, 성장 잠재력 등을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한다.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2곳의 전문평가기관으로부터 BBB등급 이상과 적어도 한 곳에서는 A등급 이상을 받아야 코스닥 상장기회를 부여받는다. 천랩은 코스닥
“PRS타깃 섬유증 치료제, 이온채널 타깃 통증치료제, 이중표적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3가지 차세대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웅제약의 핵심 역량을 집중할 것입니다. 높아진 한국 바이오제약산업의 신약개발 역량에 발맞춰 이제 대웅제약이 리더십을 보여줄 차례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박준석 대웅제약 신약센터장은 최근 경기도 용인의 대웅제약 생명과학연구소에서 바이오스텍테이터와 만나 이같이 말했다. 그는 2018년 대웅제약이 연구조직을 3팀 체제(신약센터, 바이오센터, 신제품센터)로 개편하면서 첫 신약센터장에 임명됐다. 신약센터는 총 6개의
한올바이오파마가 글로벌 기술이전한 자가면역질환 항체신약 후보물질 ‘HL161(RVT-1401)’의 임상1상 결과가 글로벌 학회에서 첫 데뷔무대를 가졌다. 한올바이오파마는 2017년말 로이반트에 계약금 3000만 달러를 포함해 총 5억250만 달러 규모로 미국, 유럽, 중남미 등 지역에서 HL161의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라이선스 아웃했다. 로이반트는 지난해 HL161 개발 및 상업화에 주력하기 위한 자회사로 이뮤노반트(Immunovant)를 설립했다. 한올바이오파마의 글로벌 임상개발 파트너인 이뮤노반트는 4일부터 11일까지 미국
국내 신약개발기업 란드바이오사이언스가 122억원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란드바이오는 이번 투자유치로 면역·표적 이중효능 항암제, 난치성 천식 치료제 등 혁신신약 개발과 기술이전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란드바이오는 지난달 국내 벤처캐피탈 등 다수의 기관으로부터 122억원의 시리즈A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 이번 투자에는 코오롱인베스트먼트, 네오플럭스, 우신벤처투자, 라구나인베스트먼트, 엠포드에쿼티파트너스 등이 재무적 투자자로 C&R리서치가 전략적 투자자로 참여했다. 란드바이오는 이번 투자유치로 STAT3
로슈(Roche)와 PTC 테라퓨틱스(PTC Therapeutics)가 지난 7일(현지시간) 2019 미국 신경과학회(AAN) 연례학술대회에서 척수성 근위축증(SMA) 환자에게 ‘리스디플람(risdiplam)’을 적용한 2개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 척수성 근위축증은 SMN1(Survival of motor neuron 1) 유전자의 변이나 결실로 인해 나타나는 신경근계 유전질환으로, 특히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질환이다. SMN1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나거나 유전자가 결실되면 SMN 단백질 수치가 낮아진다. 이로인해 운동 신경이 점차
"올해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신약개발의 성과를 낼 것입니다. 우수한 신약후보물질의 권리를 100% 확보해 자체 역량과 국내외 네트워크를 통해 신약으로 개발할 것입니다." 유원상(45) 유유제약 대표는 최근 바이오스펙테이터의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한 신약개발 전략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신약개발이 회사의 자체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제품으로 출시돼 회사에 매출이 기여하는 선순환 구조가 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유 대표는 투자를 통해 바이오텍의 일부 지분을 확보하는 형태의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해서는 "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다. 바이오
'RNA 스플라이싱을 조절(Splicing Modifiers)하는 저분자화합물 신약'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가진 스카이호크 테라퓨틱스(Skyhawk Therapeutics)가 이번엔 다케다와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지난 6일 밝혔다. 바이오젠과 셀진에 이어, 빅파마와의 3번째 딜이다. 스카이호크는 이에 앞서 올해 초 바이오젠과 다발성경화증(MS), 척수성근위축증(SMA) 등 신경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라이선스 아웃하는 형태의 옵션 딜을 체결했다. 바이오젠은 스카이호크에 계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가 암, 감염병 치료를 위한 바이러스 기반 면역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프랑스 바이오테크 트랜스진(Transgene)과 협약을 맺었다고 2일 밝혔다. 트랜스진은 바이러스 디자인 및 공학적 기술에 관한 항암 바이러스 전문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트랜스진이 집중하는 암 살상 바이러스 치료제는 선택적으로 종양 세포를 죽이고, 체내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암세포에 대항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아스트라제네카는 트랜스진의 차세대 바이러스 플랫폼 기술인 ‘Invir.IO’을 사용해 5개 항암 백시니아 바이러스(
그동안 신약연구사에서는 암과의 기나긴 전쟁, 그리고 고지혈증이나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병과의 인류 투쟁의 역사를 다루었다. 신약연구사 3부가 되는 이번 연재부터는 감염성 질환, 특히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하는 질병과 이에 대처하는 인간의 역사를 다룰 것이다. 여러번 소개했던 그래프이지만 20세기 초반 가장 많은 사망의 원인은 폐렴과 같은 박테리아 감염, 혹은 인플루엔자와 같은 바이러스성 질병이었다. 1918년의 ‘스페인 독감’ 으로 알려진 인플루엔자는 전세계적으로 약 5억 명의 감염자를 냈었고 5000만명에서 1억 명에 달하는 사망
올해 코스닥 상장을 앞둔 바이오기업들이 대규모 프리IPO 투자유치에 성공했다. 퇴행성뇌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 디앤디파마텍은 1400억원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해 주목받았다. 3일 바이오스펙테이터가 4월 바이오기업 투자 유치현황(발표일 기준)을 자체집계한 결과 디앤디파마텍, 티움바이오, 엔솔바이오사이언스 등 17개 기업이 총 3748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 3월 7곳 1900억원에서 기업 수, 투자액 모두 두배 이상 뛰었다. 시리즈B로 1400억원을 모은 디앤디파마텍이 단연 화제였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교수진 및 연구진이
바이오젠(Biogen)은 지난 1일(현지 시간)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AAN 2019에서 ALS(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치료제 ‘Tofersen(BIIB067)’의 임상 1상, 2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Tofersen은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Ionis Pharmaceuticals)과 공동개발한 SOD1 mRNA 표적 RNAi 치료제다. 루게릭병으로도 불리는 ALS는 뇌의 운동신경이 파괴되면서 근육이 쇠약해지고 기능을 상실하는 질환이다. 발병 후 근육 쇠약으로 거동할 수 없게 되며
2017년 국제 학술지 네이처(Nature)는 ‘오가노이드(Organoid)’를 올해의 기술로 선정했다. 네이처는 그 이유에 대해 “우리의 삶은 대부분 3차원에서 발생하는데 분자와 세포의 기초를 연구하는 방법은 플라스틱 바닥에 평평하게 부착된 세포에서 진행되고 있다”며 “오가노이드는 이 간극을 해결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내에서 오가노이드는 생소한 개념으로 대학 또는 연구소의 실험실 내 연구는 종종 진행되고 있지만 상업화를 위해 개발하는 기업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이러한 미개척분야에 오가노이드사이언스가
퓨쳐메디신이 유럽에서 임상 1상을 진행중인 비알콜성지방간염(NASH)치료제 'FM101'의 비임상 연구결과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FM101은 아데노신 A3 수용체를 타깃으로 한 새로운 치료기전의 신약후보물질로 항섬유화 및 항염증 효과를 통해 NASH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2일 퓨쳐메디신에 따르면 NASH치료제 FM101은 지난달 열린 유럽간학회 EASL(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에서 포스터 발표를 통해 비임상연구결과가 소개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EASL의 최우수 초록으로
한올바이오파마는 대웅제약과 공동개발 중인 안구건조증 치료제 후보물질 ‘HL036’의 미국 임상2상 결과를 지난 28일부터 오는 2일까지 캐나다 벤쿠버에서 열리고 있는 '글로벌 안과학회(ARVO 2019)'에서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두 회사는 지난달 HL036의 미국 임상3상을 시작했다고 알렸다. 올해 말에 같은 프로토콜로 진행하고 있는 임상3상 탑라인 데이터(Topline data)가 나올 예정인 만큼, 이번 임상2상 결과에 더욱 주목된다. HL036(성분명: Tanfanercept) 점안액은 눈물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증발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은 면역항암제를 도약시킬 수 있다. 실제 임상에서 약물전달 방법이 적절하지 못해 유효한 결과를 내지 못한 경우도 있다고 본다. 약물전달은 약물을 타깃부위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용도도 있지만, 약물이 원하는 방향으로 효능을 내기 위한 측면도 있다. 약물 메커니즘을 고려해 최종 목적이 뭔지를 잘 고려해야 하고, 이 부분은 늘 개선할 점이 있다. 이제까지 바이오로직스 분야는 상대적으로 DDS에 대한 관심이 덜 했다. 기대되는 점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보수적인
에이비엘, 1400억 유증 CPS 전량 "보통주 전환"
펩트론, '장기지속' 루프린 제네릭 “식약처 시판허가”
FDA ‘공개’ CRL서 본 승인거절 “주요 3가지 사례는?”
일리미스, 시리즈B 580억..릴리와 'GAIA 플랫폼' 협력
FDA, '승인거절 사유' 담긴 CRL 200건 '첫 공개'
울트라제닉스, 'AAV' 산필리포증후군 "FDA 거절"
카프리코, '첫' DMD 세포치료제 "FDA 승인거절"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엔게인, '허가임상' 하지정맥류 의료기기..시장성 “자신”
CJ바이오사이언스, 윤상배 대표 내정.."천종식 고문"
HLB제약, 중앙연구소장에 강성권 박사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프로젠-라니, 경구용 GLP-1/2 전임상 "ENDO 발표"
JW홀딩스, UNGC 가입.."지속가능경영 강화"
이수화학, 이수앱지스 CB전량 주식전환 "지분 33.1%"
Illimis closes $42M series B to develop neuro-immune drugs via GAIA platform, working with Eli Li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