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이자, 美 매사추세츠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증설 화이자는 16일 미국 매사추세츠 앤도버에 바이오의약품의 임상의약품 생산을 위한 신규 공장을 착공한다고 발표했다. 화이자는 이미 매사추세츠 앤도버에 항체의약품 및 폐렴구균 복합백신 등의 상업 생산 및 임상물질 생산을 맡아 온 R&D 중심의 생산 기지를 보유 중이며, 이 공장에는 약 2,000여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화이자는 2019년 1월 상업 생산을 목표로 약 2억달러(약 2,340억원)를 투자해 17만5,000ft2(1만6,258m2)의 최신 설비를 건설할 예정
이스라엘 거대 제네릭회사인 테바가 임상3상 시험중인 줄기세포 심장 치료제 MPC-150-IM의 모든 권한을 호주 바이오제약사 메소블라스트(Mesoblast)에 반환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테바는 2012년 제약회사 세팔론(Cephalon)을 인수하면서 MPC-150-IM에 대한 권리를 60% 소유하게 됐었다. 이 치료제는 발전적 만성심부전(advanced chronic heart failure)에서 시험의 마지막 단계에 있다. 테바는 이 치료제의 개발을 더 이상 진행하지 않기로 했으나 메조블라스트는 계속해서 치료제 개발을 이어갈
로슈가 그리스 의약품위탁생산(CMO)업체 파마르에 스페인 레가네스(Leganes) 공장을 매각할 것으로 알려졌다. 로슈는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주력하기 위해 약 16억달러의 비용을 들여 2021년 말까지 약 1200여명의 직원을 감축하고 기존 생산지 가운데 미국, 이탈리아, 아일랜드, 스페인 등 저분자의약품 생산공장 4곳을 폐쇄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몇주내 계약을 완료하고 공장을 인수키로 한 파마르는 미국 제약시장 진입을 위한 방안으로 FDA의 설비 승인을 받은 레가네스 공장을 매입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마
아일랜드 제약사인 샤이어가 화이자의 실험 중간단계인 염증성 장 질환 치료제 PF-00547659에 대한 권리를 사며 그들의 위장계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이 약물은 이미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에서 2상 임상 시험을 통과했다. 또한 이 약물은 인간 단일 클론 항체로 림프구의 α4β7 인테그린과 결합하는 MAdCAM-1라고 알려진 위장 내피 접착 분자를 타겟으로 작용한다. 투란도트(Turandot) 시험에서 이 약물은 이전 치료에 실패한 중증도 중증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서 1차 목표와 2차 목표에 도달했다. PF-00547659
인타시아(Intarcia)가 회사의 당뇨병 약물이 미국 규제당국의 승인을 곧 받게 될 것으로 판단, 작년부터 계획했던대로 사우스 보스턴의 새로운 곳으로 이사하게 됐다고 보스턴 비지니스 저널이 보도했다. 인타시아는 버텍스(Vertex) 본사 옆에 있는 팬 피어 빌딩(Fan Pier building)의 4만7000 평방 피트를 인수하게 된다. 새로운 공간은 예전보다 훨씬 크며 회사는 2017년 말까지 약 800명의 직원을 채용해 확장할 예정이다. 인타시아의 성장은 아직 승인 받지 못했지만 1년에 한번 피하주사로 투약하는 당뇨병 치
머크가 사노피의 수십억달러 가치를 가진 기본 인슐린인 란투스(Lantus)의 바이오시밀러 버전을 내놓는 첫 회사는 아니지만 경쟁력 있는 제품을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외신들은 예상했다. 최근 의미있는 임상결과를 발표했기 때문이다. 릴리와 베링거 인겔하임은 지난해 란투스 바이오시밀러를 출시했고 미국에서는 Basaglar라는 제품명으로 12월을 목표로 출시를 준비중이다. 피어스파마 등 외신에 따르면 머크가 진행한 두 별개의 3상 임상시험에서 MK-1293은 제 1형 및 2형 당뇨병 환자에서 효능과 안전성 면에서 란투스(insulin
사노피의 란투스(insulin glargine)의 성분과 최근 승인받은 릭수미아(lixisenatide)를 기반으로 한 조합 제품은 두 약제 중 하나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 보다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임상 시험의 결과는 지난 주말 뉴 올리언스에서 미국 당뇨병 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의 연례 회의에서 발표되었다. 지난 달 자문위원회 투표 이후 아이글라릭시가 판매 승인에 대한(만기일이 8월인) FDA 결정에 다가가면서 긍정적인 결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월그린(Walgreens)이 테라노스와의 관계를 단절하고 아리조나에 있는 40개의 테라노스 웰니스센터(wellness)를 닫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난 가을 테라노스 사태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던 혈액검사 회사들이 심각한 어려움에 처하게 됐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월그린의 이번 결정이 놀라운 소식은 아니다. 왜냐하면 테라노스가 자사의 독점적인 기술의 효능에 대해 검증해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2년동안 회사가 수행한 혈액검사를 무효화한다는 최근 뉴스때문이다. 테라노스측은 무효화 된 결과는 모든 시험의 약 1 %를 차지한다고
“저가 매수, 고가 매도”는 주식거래의 매우 기본이지만 좋은 조언이다. 또한 주식거래에서 단기 및 장기수익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15일 외신에 따르면 미국 주식투자 정보매체인 구루포커스(GuruFocus)가 미국 경제지 포브스(Forbes)의 의뢰를 받아 작성한 '장기투자 전략에 맞는 5개 생명공학 회사'는 다음과 같다. 바이오젠(Biogen) 바이오젠(매사추세츠, 캠브리지)은 지난 주, opicinumab의 임상시험(anti-LINGO-1) 실패에 따라 시가 총액 80억 달러의 손실을 보면서 강한 타격
2013년, 구글은 SF영화 ‘스타트렉’에 나오는 놀라운 의료진단기 트라이코더(Tricorder)를 현실화 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트라이코더는 손바닥 크기로 사람의 몸에 대면 그 사람이 앓고 있는 병명과 치료방법등을 설명해주는 기기다. 당시 구글의 한 임원은 6개월 이내에 시제품이 나올 것이라고 약속했었다. 3년이 지난 지금 의료진단기는 여전히 환상속에서만 존재하고 있다. 구글의 생명과학부문으로 알려진 버릴리는 과학기술을 이용해 인류의 건강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모토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버릴리는 암 검출 트라이코더 뿐만아니라 당
인도 뭄바이의 릴라이언스가 로슈의 오리지널 항암치료제인 베바시주맙(bevacizumab, 상품명 아바스틴)의 바이오시밀러를 출시했다. 15일 제약관련 전문매체인 피어스파마에 따르면 이 약품은 베바시렐(Bevacirel)이라는 이름으로 인도 제약사인 루핀(Lupin)에 의해 유통될 예정이다. 인도 의약품 규제청(The Drug Controller General of India)은 대장암 치료제로 사용되는 베바시주맙의 바이오시밀러를 했으나 릴라이언스는 제품의 법적다툼을 고려해 허가외 사용의약품인 오프라벨(off-label) 의약품
팍스백스의 1회 투약 경구용 콜레라 백신 백스코라(Vaxchora)가 3분기 중 출시될 예정이다. 미 FDA가 지난 10일 백스코라를 승인함에 따라 전 세계에서 유일한 단일 투약 경구용 콜레라 백신이 되었다. 백스코라는 기존 팍스백스의 경구용 장티푸스 백신 비보티프(Vivotif)와 같은 판매조직을 통해 유통될 것이다. 콜레라는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드문 질병이다. 하지만 콜레라 유행지역 여행시 보건당국에서는 주사용 콜레라 백신 등을 권고하고는 있지만 실제로 여행자들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예방법은 깨끗한 물과 충분히 가열된
트럼프와 힐러리 두 미국 대선 후보중 어떤 후보가 제약업계에 더 이익을 제공할지 아직은 판단하기 어려워 미국 제약업계가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3일 외신에 따르면 대표적인 미 제약사 화이자의 관계자 이안 리드는 지난주 개최된 샌포드 번스타인 전략 결정 컨퍼런스에서 "트럼프와 힐러리의 정책을 비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트럼프와 힐러리는 모두 더 저렴한 약가를 협상할 수 있는 메디케어 관련 정책을 지지하고 있다. 다만, 힐러리는 생물학적 제제의 독점적 데이터 연장에 관한 제정법을 내놓음으로써 바이오시밀러의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신생 엑소좀' 인텐트, 화이자 前사장 CEO로 합류
SMC 임상의 6人 'ADC 현장'서 본 "4가지 인사이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라이프케어, 연세대와 ‘AI 디지털헬스케어’ MOU
큐로셀,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대통령표창 수상
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