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호주 바이오제약사 메소블라스트(Mesoblast)는 자사의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줄기세포 치료제 후보물질 MPC-300-IV이 2상 임상시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고 9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48명의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12주 2상 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중간엽 전구세포(Mesenchymal Precursor Cell, MPC) 치료제 후보물질 MPC-300-IV이 생물학적제제에 반응하지 않은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의 증상과 질병의 활성도를 유의미하게 개선 시켰고, 투약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자사의 MEK 1/2 억제제 셀루메티닙(selumetinib)과 기존 화학 항암제 도세탁셀(docetaxel)과 병용요법으로 특정 형태의 폐암 환자에 대한 안정성과 효과를 평가하는 3상 임상시험에서 목표 도달에 실패했다고 9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3상 임상시험 SELECT-1의 결과 데이터에 따르면 1차 평가 지수인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 free survival, PFS)의 유의미한 연장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셀루메티닙이 KRAS 돌연변이 양성 국소 진행성(KRAS mut
노바티스(Novartis)는 신약 후보물질 LEE011(ribociclib)과 기존 약물 레트로졸(letrozole)의 병용요법이 FDA로부터 유방암에 대한 혁신 치료제(Breakthrough Therapy designation)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신약 후보물질 LEE011는 3상 임상시험 MONALEESA-II 연구에서 레트로졸과 병용요법으로 이전의 치료를 받지 않은 폐경 후 진행성 유방암 환자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에 기초하여 혁신 치료제로 지정 받았다고 노바티스는 전했다. 노바티스의 항암제 개발 및 의료업무 글로벌 책임
MSD는 자사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가 FDA로부터 백금 치료전력이 있는 재발 또는 전이성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에 사용을 승인 받았다고 8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지난 4월 적응증 추가신청서 제출이후 4개월만의 결과다. 이 결정은 1b상 임상 KEYNOTE-012 연구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뤄졌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 16%, 완전 응답
생명공학회사 모멘타 파마슈티컬스(Momenta Pharmaceuticals)는 자사의 췌장암 치료제 네큐파라닙(necuparanib)의 2상 임상시험을 중단했다고 밝혔다. 모멘타 파마슈티컬스는 췌장암 치료를 위해 네큐파라닙과 셀진(Celgene)의 아브락산(Abraxane)과의 병용요법, 네큐파라닙과 화약요법 약물 젬시타빈(gemcitabine)과의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앞선 임상시험에서 한 싸이클의 병용요법으로 치료받은 16명의 환자 중 9명이 부분 응답(partial response)했고, 약 3분의 1이 안정적 질환(st
바이오젠(Biogen)은 파트너사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스(Ionis Pharmaceuticals)와 개발중인 희귀 유전질환 척수성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SMA) 치료제 뉴시너센(nusinersen)의 3상 임상시험이 성공했다고 밝혔다. 122명의 13개월 유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은 뉴시너센의 치료를 받은 유아 대비 치료받지 않은 유아에서 상당한 운동증상 개선을 보이며 1차 유효성 평가변수에 도달했다고 바이오젠은 전했다. 바이오젠은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스에 뉴시너센의 개발 및 전세계 시장
테바(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는 지난주 홈페이지를 통해 앨러간(Allergan)의 제네릭 사업부 액타비스 제네릭스(Actavis Generics) 인수를 완료했다고 전하며 앨러간의 의약품 유통회사 안다(Anda)에 대한 추가 인수계획을 밝혔다. 테바는 334억3000만달러의 현금과 1억달러의 자사 주식을 지급하며 액타비스 제네릭스를 인수했고, 이를 통해 약 338개의 제품과 미국과 유럽의 허가신청서 제출 준비중인 115개의 제품을 갖게 됐다. 테바가 5억달러에 인수하려는 안다는 300개가 넘는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ristol-Myers Squibb, BMS)는 자사의 면역항암제 옵디보(Opdivo)의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치료 3상 임상시험 'CheckMate-026'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고 5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과거 치료전력이 없는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대상 옵디보 단독치료 결과 기존 화학요법 대비 무진행 생존기간(PFS) 도달을 실패했다고 BMS는 전했다. 옵디보와 경쟁중인 MSD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는 지난 6월
영국 제약회사 오티포니 테라퓨틱스(Autifony Therapeutics)는 자사의 조현증 치료제 후보물질 AUT00206의 1상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AUT00206는 혁신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 kv3 조절체(modulator)로 파브알부민 양성 인터뉴런(parvalbumin-positive interneurons)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이 인터뉴런들은 정신분열증 환자들에게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kv3를 통한 인터뉴런 컨트롤이 환자의 증상을 개선 할 수 있을 것
샤이어(Shire)는 자사의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치료제 후보약물 SHP626(볼릭시뱃, volixibat)이 FDA로부터 신속심사(Fast Track designation)로 지정 받았다고 밝혔다. SHP626은 1일 1회 복용하는 약물로 표면 나트륨 의존성 담즙산 운반체(apical sodium dependent bile acid transporter, ASBT) 저해제다.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수백만 명의 미국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며, 비만 및 제2형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는 스위스의 폴 쉐러 연구소(Paul Scherrer Institut)의 연구자들과 함께 환자의 혈액에서 약물을 고통없이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니들(Microneedle)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니들은 매일 4번의 혈액 채취가 필요한 항생제 반코마이신(vancomycin)을 효과적으로 모니터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개발하게 됐다.. 마이크로니들은 치료기간 동안 환자의 팔에 붙이는 작고 얇은 패치의 형태로 바늘 같은 돌기는 0.5mm보다 짧
사노피(Sanofi)와 R&D 파트너 리제네론(Regeneron)은 양사가 공동 개발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제 '사릴루맙'(sarilumab)이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판매허가신청(Marketing Authorisation Application, MAA) 검토를 승인 받았다고 지난1일 밝혔다. 사릴루맙은 인터루킨-6(interleukin-6) 수용체 유도 인간 단클론항체로 최근 애브비(AbbVie)의 자가면역 TNF 차단제 휴미라(Humira, adalimumab)와 비교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3상 임상시험에서는 휴미라 보
화이자(Pfizer)는 유전자 치료의 리더를 목표로 밤부 테라퓨틱스(Bamboo Therapeutics)를 인수했다고 1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이번 인수를 통해 화이자는 자사의 기존 희귀 질환과 유전자 치료 포트폴리오를 보완할 밤부 테라퓨틱스의 고급 재조합형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advanced recombinant adeno-associated virus, rAAV) 기반의 유전자 치료법을 얻게 됐다. 이 치료법들은 희귀 질환인 뒤시엔느 근위축증증(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을 위한 전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는 구글의 생명과학부문으로 알려진 버릴리(Verily Life Sciences)와 함께 생체전자공학을 이용한 치료기술 개발 회사 ‘갈바니 바이오일렉트로닉스(Galvani Bioelectronics)’를 설립한다고 1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많은 만성질환은 신경에 불규칙적 또는 바뀐 전기적 자극이 주어져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환자의 인체에 전기적 신호를 수정하여 정상적인 자극을 줄 수 있는 초소형 장치를 삽입하는 것이 생체전자공학을 이용한 치료기술 중 하나다.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2012년부터 이 분
유전자 편집 바이오업체 에디타스 메디신(Editas Medicine)은 조혈줄기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HSC) 유전자 편집 및 T 세포(T cell) 치료법 연구개발을 위해 폰다지온 텔레톤(Fondazione Telethon) 및 오스페데일 산 라파엘(Ospedale San Raffaele)과 협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폰다지온 텔레톤과 오스페데일 산 라파엘은 ‘유전차 치료를 위한 산 라파엘 텔레톤 연구소(San Raffaele Telethon Institute for Ge
사노피(Sanofi)는 자사의 당뇨병 치료제 애들릭신(Adlyxin, lixisenatide)이 FDA의 승인을 받았다고 지난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애들릭신은 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치료를 위해 식단조절 및 운동과 병행하며 하루 1회 식후 투여하는 GLP-1 수용체 작용 주사제다. 애들릭신은 2013년 유럽에서 릭수미아(Lyxumia)라는 제품명으로 승인 받은 이후 60여개국의 허가를 받았고 유럽연합국, 일본, 브라질 등 40개국이 넘는 곳에서 판매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2013년 FDA 허가신청서를 제출 한 이후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신생 엑소좀' 인텐트, 화이자 前사장 CEO로 합류
SMC 임상의 6人 'ADC 현장'서 본 "4가지 인사이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라이프케어, 연세대와 ‘AI 디지털헬스케어’ MOU
큐로셀,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대통령표창 수상
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