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도 제약사 자이더스 카딜라(Zydus Cadila)는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가 보유한 새로운 C형간염의 여러 유전자형에 쓰일 수 있는 직접 작용 항 바이러스제(DAA) 다클라타스비르(daclatasvir)의 제네릭 생산을 위하여 의약품특허풀(The Medicines Patent Pool, MPP)과 비독점적, 로열티 프리계약을 체결했다. 의약품특허풀(Medicines Patent Pool)은 제약사들이 자발적으로 특허를 공동 위탁관리토록 하는 기관으로 상호교차 사용계약(cross-licensing), 제3자에 대한 특허
샤이어(Shire)는 자사의 성인 단장증후군(Short Bowel Syndrome, SBS) 치료제 리베스티브(Revestive)가 1세 이상의 소아 단장증후군 환자들에게 5mg 분말과 용액을 주사로 투여할 수 있도록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단장증후군은 선천적인 이상, 질병 또는 외상으로 인해 장의 넓은 부분 절제수술 결과로 장내 흡수 용량이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희귀 위장관 질환이다. 샤이어의 글로벌 제품전략 부문 대표 율리 팡크호이저(Ueli Fankhaus
일본 제약사 에자이는 의약품 판매 자회사 에자이 멕시코를 통해 자사의 경구용 갑상선암 표적항암제 렌비마(Lenvima)를 멕시코에 출시했다. 회사측에 따르면 렌비마는 에자이가 쓰쿠바 연구소에서 자체 연구개발한 신규 결합 모드를 가진 분자 표적항암제다. 렌비마는 미국, 일본, 유럽, 한국, 캐나다를 포함한 40개국에서 난치의 갑상선 암에 대한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멕시코에서는 지난 5월 국소 진행성, 전이성 또는 재발성 치료가 어려운 방사성 요오드 불응 갑상선 암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2014년 멕시코 제약시장은 113억달러
주노 테라퓨틱스(Juno Therapeutics)는 자사가 개발중인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치료제 CAR-T 후보물질 JCAR015의 2상 임상시험이 미국 FDA로부터 보류 통지를 받았다고 지난 7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주노는 이러한 움직임이 후보물질 JCAR015의 전처치(preconditioning) 요법으로 항암제 플루다라빈(fludarabine)을 최근 추가한 이후 환자 2명이 지난주 사망 한 뒤에 이루어졌다고 전했다. 주노는 플루다라빈 전처치 요법이 문제점으로 보이며 싸이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
화이자(Pfizer)와 독일의 머크(Merck)는 공동개발 중인 난소암 면역치료제 아벨루맙(avelumab)의 대규모, 말기 연구를 시작했다고 지난 8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양사는 임상을 통해 이전에 치료를 받지 않은 상피성 난소암을 가진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환자 950명에게 기존 백금기반의 화학요법과 아벨루맙의 병용치료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테스트 할 예정이다. 화이자 글로벌 항암제품 개발부 및 변형/면역 종양학 대표 크리스 보숍(Chris Boshoff)은 “난소암 환자들은 더 많은 치료 옵션이 필요하다.
노바티스(Novartis)의 산도즈(Sandoz)는 암젠(Amgen)의 엔브렐(Enbrel)과 자사가 개발한 엔브렐 바이오시밀러가 건선환자에 대한 임상시험에서 동등한 효과를 보였다는 추가 데이터를 지난 7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산도즈의 바이오시밀러는 건선환자에 대한 12주에 걸친 임상시험에서 엔브렐과 동등한 유효성을 보이며 1차 유효성 평가 변수에 도달했다. 이상반응의 발생 빈도도 엔브렐과 비슷하게 비교되었다고 전했다. 산도즈에 따르면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데이터는 이미 FDA와 EMA에 제출되어 허가진행
샌프란시스코 스타트업 카못 테라퓨틱스(Carmot Therapeutics)는 로슈의 자회사 제넨테크(Genentech)와 신약발굴 및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6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제넨테크는 리드 화합물 후보를 찾는 일을 카못과 함께하며 리드 최적화, 전임상, 임상개발, 제조 및 상업화 과정 전반에 대한 독자적 책임을 진다. 카못은 자사의 리드 식별기술(lead-identification technology) 케모타입 에볼루션(Chemotype Evolution)을 통해 대사성질환, 암, 염증 치료를 위한 혁신적 신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ertex Pharmaceuticals)는 메신저RNA(mRNA)를 이용한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 치료제 개발을 위해 모더나 테라퓨틱스(Moderna Therapeutics)와 독점 연구협력 및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6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모더나는 지난 주 MSD(미국 머크)와도 면역항암제 개발을 위한 2억달러 규모의 연구협약을 체결했다. 낭포성 섬유증은 낭포성 섬유증 막횡단 전도 조절 유전자(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
포르투갈 제약회사 비알(Bial)은 자사의 파킨슨병 치료약물인 온젠티스(Ongentys, opicapone)가 유럽연합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승인을 받았다고 지난 5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비알은 온젠티스를 올해와 2017년 사이에 유럽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온젠티스는 기존 레보도파(levodopa)/도파 탈탄산효소 억제제(DDCI) 조합으로 안정되지 못하는 운동동요 환자의 보조 요법으로 승인됐다. 임상 3상 시험인 BIPARK-I(1)와 BIPARK II(2) 연구결과에 따르면 온젠티스는 위약
아프레시아(Aprecia Pharmaceuticals)는 미국에서 시판중인 뇌전증 치료제 스프리탐(Spritam)의 상용화를 위해 헤라클라스 캐피털(Hercules Capital)로부터 3000만달러의 투자를 받았다고 지난 5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아프레시아는 1차로 받게되는 2000만달러를 스프리탐 제조설비 확장을 위해 사용할 계획이며, 퍼포먼스 마일스톤에 따라 추가적으로 1000만달러를 받을 수 있다. 다른 벤처캐피탈업체 디어필드 매니지먼트(Deerfield Management)는 지난 1월 아프레시아에 2500만달러
먼디파마(Mundipharma)는 마약 의존성 치료제 주브살브(Zubsolv)의 미국을 제외한 독점 글로벌 권한을 얻기 위해 스웨덴 제약회사 오렉소(Orexo)와 지난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오렉소는 계약성사금으로 700만 유로를 받게 된다. 주브살브는 마약 의존성 치료제로 미국 FDA의 허가를 받았으며, 상담과 심리사회적 지원을 포함한 포괄적인 치료 계획의 일환으로 환자에게 투여되고 있다. 오렉소는 미국을 제외한 전세계에 약 2000만명이 마약중독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오렉소는 미국 이외 전
최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분석에 대해 의구심을 제기하는 논문이 학계의 이목을 끌고 있다. 지난달 28일 글로벌 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실린 Anders Eklund 저자 “Cluster failure: Why fMRI inferences for spatial extent have inflated flase-positive rates”는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기
독일 바이오 제약회사 프로비오드럭(Probiodrug)는 자사의 알츠하이머병(AD) 바이오마커(Biomarker) 개발을 위해 네덜란드 생명공학회사 크로스베타 바이오사이언스(Crossbeta Biosciences)의 독점기술을 사용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일반적인 퇴행성 신경학적 뇌질환으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26 만명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질병의 원인은 잘못 접힌 β-아밀로이드 단백질 및 타우 단백질이 특징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백질들의 올리고머(o
암젠(Amgen)은 자사의 키프롤리스(Kyprolis)와 덱사메타손(dexamethasone)의 병용투여 요법이 재발성 다발성 골수종 치료제로 유럽연합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의 승인을 받았다고 지난 3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3상 임상시험 데이터에 따르면 키프롤리스와 덱사메타손 병용투여 요법으로 치료를 받은 다발성 골수종 환자는18.7개월의 무진행 생존기간(PFS)을 달성했고, 현재 재발성 다발성 골수종 치료 표준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벨케이드와 덱사메타손 병용투여를 받은 환자는 9.4개월을 달성했
학술지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은 노바티스(Novartis)의 희귀 혈액암 치료제 미도스타우린(midostaurin)의 중기단계(mid-stage) 임상시험에서 전신 비만세포증(systemic mastocytosis) 환자에 높은 반응률을 보였음을 지난달 말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했다. 미도스타우린은 지난 2월 미국 FDA ‘혁신의약품’으로 지정됐었다. 진전된 전신 비만세포증(Advanced systemic mastocytosis)은 골수, 간, 비장, 그리고 다른 장기들에
일본 제약회사 다케다(Takeda)는 캘리포니아 비상장 제약회사 알토스 테라퓨틱스(Altos Therapeutics)와 알토스가 위마비(gastroparesis, GP) 치료제로 개발중인 특허물질 ATC-1906의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4일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계약에는 ATC-1906의 임상 1상 시험 완료 후 알토스 인수에 대한 독점적인 선택권이 부여된다는 조항이 포함돼 있다. 단일자산 기업인 알토스는 구강 도파민 D2/D3 수용체 길항체인 후보 물질 ATC-1906을 위마비 환자의 메스꺼움과 구토 증상 치료제로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에임드바이오 “빠른 타깃선정·밸리데이션, ADC 딜 관건”
'신생 엑소좀' 인텐트, 화이자 前사장 CEO로 합류
SMC 임상의 6人 'ADC 현장'서 본 "4가지 인사이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라이프케어, 연세대와 ‘AI 디지털헬스케어’ MOU
큐로셀,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대통령표창 수상
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