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생명공학회사 이뮤노메딕스(Immunomedics)는 자사가 최근 개최한 '투자자 R&D의 날’(Investor R&D Day)에 3중 음성 유방암(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치료 후보물질 삭시투주맙 고비티칸(sacituzumab govitecan, IMMU-132)에 대한 생물학적 허가신청서(Biologics License Application, BLA) 제출을 올해 중반으로 예상한다고 발표했다. 삭시투주맙 고비티칸은 전이성 질환에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투여했지만 치료에 실패한 3중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을 이용한 치료제 개발 경쟁에 앨러간(Allergan)이 합류했다. 앨러간(Allergan)은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초기 임상단계(clinical-stage) 치료제 개발회사인 어셈블리 바이오사이언스(Assembly biosciences)와 연구개발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최근 밝혔다. 계약에 따라 앨러간은 어셈블리 바이오사이언스의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과 크론병 (Crohn’s disease)을 타깃으로 하는 전임상단계 후보물질 ABI-M201, ABI-M3
화이자(Pfizer)는 영국의 연구개발 매치메이킹(match-making) 컨소시엄인 '밀너 테라퓨틱스 컨소시엄’(Milner Therapeutics Consortium)에 합류했다고 19일 밝혔다. 밀너 테라퓨틱스 컨소시엄(Milner Therapeutics Consortium)은 제약회사들과 케임브리지 대학(University of Cambridge)의 연구자들 사이의 매치메이킹(match-making)을 위해 2015년 설립됐다. 이 컨소시엄은 산업계와 학계 사이에 물질들(materials)을 효율적으로 전송 할 수 있게
얀센(Janssen)은 애브비(AbbVie)의 계열사인 파마사이클릭스(Pharmacyclics)와 공동개발한 림프종 항암제 임브루비카(IMBRUVICA, Ibrutinib)가 미국 FDA로부터 변연부 림프종(Marginal Zone Lymphoma, MZL) 환자의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고 19일(현지시각) 밝혔다. 이번 승인으로 전신 요법(systemic therapy)을 필요로 하고 이전에 적어도 하나의 항 CD20 기반 요법(anti-CD20-based therapy)을 받은 재발성/난치성 형태의 변연부 림프종 환자에게 임
신경세포의 신경돌기(neurite) 증식과 재생에 관여하는 새로운 분자 신호전달 경로를 밝히고 '신약 재창출(Drug repositioning)' 방식을 통해 빠른 임상적 적용이 가능한 말초신경병증의 치료법이 제시됐다. 신약 재창출 전략은 이미 시판 중이거나 임상 단계에서 안전성이 검증된 약물을 새로운 기전으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샌디에이고 의과대학 연구진은 미국 NIDDK(National Institute of Diava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와 캐나다의 마니토바 대학교, 세인트 보니
오래 기다려온 미국시장의 바이오시밀러 대체조제가능(interchangeability) 허가규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초안이 드디어 나왔다. 예상보다 보수적으로 발표됐지만 미국시장에 진입하는 셀트리온 램시마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미국식품의약국(FDA)은 지난 17일(현지 시간) 오리지널 약품을 바이오시밀러로 대체조제가능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초안을 내놨다. 가이드라인은 60일간의 의견수렴 기간을 거친 후 3월말에 확정안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가이드라인 초안에는 바이오시밀러가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등한 효능
전세계적인 피해를 입히는 전염성 질병의 대유행을 막기 위해 사전에 백신을 개발하고 비축하고자 연구자들이 힘을 모았다. 지난 18일 잠재적인 전염병의 위험에 대비해 백신의 사전개발 및 비축을 위한 연합연구집단(CEPI, The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이 출범했다. CEPI는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노르웨이, 독일, 일본 등에서 4.6억달러 규모의 초기 지원금을 받았으며 2017년 말까지 5년간의 연구에 필요한 10억달러까지 모집이 가능할 것으로 구성원들은 기대하고 있다
일라이 릴리는 12년전에 라이선스 아웃했던 편두통 신약물질 '라스미디탄(lasmiditan)'을 총 9억6000만 달러에 전액현금으로 인수한다고 18일 밝혔다. 릴리는 지난 2005년에 이 물질을 콜루시드(CoLucid Pharmaceuticals)에 라이선스 아웃했다. 일라이 릴리는 자체 파이프라인으로 임상3상을 진행중인 갈카네주맙(galcanezumab), 타네주맙(tanezumab)에 이어 자체 편두통 신약 파이프라인을 더욱 강화하게 됐다고 이번 딜을 평가했다. 라스미디탄은 심혈관계질환 환자도 복용 가능한 편두통 신약이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딜로이트는 치열한 경쟁과 특허만료 등에 맞선 ‘임상혁신(Clinical innovation)’이 올해 생명과학분야의 핵심이슈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그 다음으로는 오픈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M&A(Mergers and acquisitions)를 꼽았다. 16일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딜로이트(Deloitte)의 '2017년 글로벌 생명과학 전망(2017 global life sciences outlook)'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제약산업은 의료비 증가와 이에 따른 약가규제의 강화, 유전체학의 획
세계 최대의 유전체분석장비업체인 일루미나(Illumina)가 새로운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장비를 공개하고 '유전체 분석 100달러 시대'라는 새로운 세상의 도래를 예고했다. 일루미나는 9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새로운 방식의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플랫폼인 ‘NovaSeq 시리즈’를 발표했다. NovaSeq5000과 NovaSeq6000로 이뤄진 시리즈 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더 많은 처리량과 빠른 처리 속도와 높은 유연성을 제공해 이전보다 더 경제적
장내 미생물을 이용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회사들의 소식이 연초부터 이어지고 있다. 엔터롬 바이오사이언스(Enterome bioscience)는 크론병 치료제에 대한 임상에 돌입할 예정이며, 미국의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회사인 에이오바이옴(AOBIOME)은 대규모 투자를 받았다. 엔터롬은 올해 크론병 치료제 후보물질 EB8018에 대한 임상 1상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최근 밝혔다.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약동력학적 평가와 안전성 및 장내 미생물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예정이며, 올해말에 임상 1상 결과가 나올
지난 2016년 기업간 인수합병 규모는 약 3600조원으로 역대 3번째로 큰 규모였다. 여기에 도날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 인수합병에 세제혜택을 주겠다고 발언을 한뒤 글로벌 대형제약사의 인수합병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다케다는 9일 "first-in-class" 표적항암제라고 주목받는 브리가티닙과 혈액암치료제인 포나티닙 두개의 표적항암제를 보유하고 있는 아리아드를 6.5조원(52억 달러)에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기존의 혈액암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고형암으로까지 치료영역을 넓히겠다는 것. 브리가티닙(brigatin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통해 환자의 치료뿐 아니라 건강관리, 신약개발에도 활용 가능한 새로운 서비스가 미국에서 상용화됐다. 영화 속에서나 친숙하던 AI가 바이오헬스산업에 본격 적용되기 시작했다. 미국 뉴욕의 프로그노스(Prognos) 사는 5일(현지시간), 머크 헬스 이노베이션 펀드(Merck Global Healthcare Innovation Fund)와 세이프가드 사이언티픽스(Safeguard Scientifics)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Prognos Registry’를 론칭했다고 밝혔다.
옵디보, 여보이 등 항암제시장에서 가장 핫한 면역관문억제제(ICI, immune checkpoint inhibitor)를 보유, 면역항암제 분야의 선두주자인 BMS가 추가적인 Immuno-oncology(IO)파이프라인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Five Prime은 4일 BMS와 신규 면역관문 분자를 겨냥하는 항체 연구∙개발을 위한 협력기간을 원래 계약종결 시점인 2017년 3월에서 1년 연장했다고 밝혔다. 또 기존에 공동개발하던 2개의 면역관문억제제 파이프라인에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하나 추가했다는 것. 단, 구체적인 타깃 분자에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을 주력으로 하는 샤이어(Shire)는 자사의 메신저 RNA 플랫폼(messenger RNA platform)인 ‘MRT플랫폼(MRT platform)’을 미국 RNA기반 치료제 개발 생명공학회사 라나 테라퓨틱스(RaNA Therapeutics)에 매각했다고 4일 밝혔다. MRT플랫폼을 개발하던 샤이어의 직원들은 이번 매각에 따라 라나 테라퓨틱스 소속으로 계속 근무하며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 CF) 및 요소 회로 장애(urea cycle disorders, UCD)에 대한 말기 전임상
미국의 대표적인 희귀질환 의약품 개발 회사 알렉시온 파마슈티컬스(Alexion Pharmaceuticals)는 신장 이식 후 지연성 이식 기능(delayed graft function, DGF) 예방(prevention)에 대한 에쿨리주맙(eculizumab, Soliris) 2/3상 연구 PROTECT 결과가 목표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지난해 말 발표했다. 지연성 이식 기능(DGF)은 이식한 장기가 이식 직후에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못하는 이식 장기의 조기 및 중증 합병증이다. PROTECT 연구는 사망 위험이 높은 신장 이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신생 엑소좀' 인텐트, 화이자 前사장 CEO로 합류
SMC 임상의 6人 'ADC 현장'서 본 "4가지 인사이트"
J&J, 블록버스터 기대 ‘프레첼 방출' 방광암 “FDA 승인”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HLB라이프케어, 연세대와 ‘AI 디지털헬스케어’ MOU
큐로셀, '일자리창출 유공 정부포상' 대통령표창 수상
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