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FDA가 아일랜드 기반의 생명공학회사 Alkermes의 우울증 신약 후보물질 ‘ALKS 5462'에 대한 신약판매 허가신청(NDA) 검토를 거부하고 추가 임상시험을 진행할 것을 요구했다. Alkermes는 FDA로부터 ALKS 5461에 대한 NDA 검토를 거부하는 편지를 받았다고 2일(현지시간) 인정했다. ALKS 5461 표준 항우울제 치료에 부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환자에서 주요 우울장애(MDD)의 보조적 치료를 위한 1일 1회 경구용 의약품이다. 이 약물은 사미도르판(samidorphan)과 부프레노르핀(buprenor
농업산업에 새로운 장이 열린다. 미국농무부(USDA, US Department of Agriculture)는 식물육종을 가능케하는 유전자편집 기술을 규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29일(현지시간) 성명서를 통해 밝혔다. 과거 오바마 정부는 안전성 이슈로 유전자편집을 한 식물을 규제했지만, 트럼프 당국은 "위험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전에도 USDA는 대부분의 유전자가위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유전자재조합식품(GMO)의 범주에 포함시키지는 않았다. Sonny Perdue 장관은 성명서에서 USDA는 유전자편집과 같은 새로운 육종기
미국 면역세포치료제 전문회사 우넘 테라퓨틱스(Unum Therapeutics)가 나스닥 데뷔를 통해 임상개발에 가속도를 낸다. Unum은 지난 28일 나스닥 시장에서 기업공개(IPO)를 통해 6900만달러(약 735억원)를 모았다고 발표했다. 총 5억7000만주의 보통주는 주당 12달러에 책정됐다. 또한 인수자에게 인수 제안 할인 및 수수료를 제외한 공개 공모가격으로 최대 86만5500주를 추가로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을 30일동안 부여했다. Unum은 기존 CAR-T와 달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차세대 universal
알츠하이머병의 발병율을 높이는 위험인자인 'APOE(Apolipoprotein E)'가 치료타깃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화제가 되고 있다. 인간에서 APOE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날 경우 알츠하이머병 발병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흥미롭게도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연구진은 APOE를 타깃하는 항체인 'HAE-4'가 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 작용이 있음을 증명했다. APOE 유전자 자체를 겨냥하는 이전 연구들과는 차별화된 접근방법이다. 연구팀은 디날리테라퓨틱스(Denali therapeutics)와 공동으로 HAE
로이반트 사이언스(Roivant Sciences)가 Nabriva Therapeutics의 항생제에 대한 중국 판권을 취득하면서 중국 지역에서의 파이프라인 강화에 나선다. 최근 ArQule의 섬유아세포성장인자수용체(FGFR) 억제제인 derazanitinib의 중국 판권을 확보한데 이어 올해만 두 번째다. 항생제 개발 전문회사 Nabriva Therapeutics는 세균성 폐렴 치료를 위한 항생제 후보물질인 Lefamulin의 중국 지역에서 개발과 상업화 권리에 대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계
최근 가장 주목받는 PD-(L)1 약물을 둘러싼 경쟁에서 로슈의 '테센트릭(Tecentriq)'이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로슈는 4기 비소세포폐암(NSCLC)에서 진행한 IMpower150 임상3상에서 전체생존률(OS)이 연장됐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로슈는 이들 환자군에서 1차치료제로서 승인받겠다는 목표다. 임상3상의 1차 총족점으로 OS, 무진행생존기간(PFS)이 설정됐다. 임상 그룹은 크게 3개로, 핵심 임상군인 테센트릭+아바스틴+화학요법 병용투여군에서 OS 연장효과가 있었다. 특히 로슈는 비소세소폐암 환자에서 PD-L1
아블링스(Ablynx)의 항 IL-6R 나노바디인 보바릴리주맙(vobarilizumab)의 용량을 설정하기 위한 임상2상 연구에서 실망스러운 결과가 나왔다. 올해 초 사노피가 48억달러에 인수한 아블링스는 전신홍반루푸스(Activ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치료제 후보물질인 보바릴리주맙의 임상시험 중간결과 1차종결점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26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STEADY 연구는 2015년 8월 시작해 SLE 환자 312명을 대상으로 위약 투여군과 보바릴리주맙 4가지 용량(4주마다
고형암을 겨냥하기위해 고안된 새로운 개념의 T세포치료제의 임상돌입에 속도가 붙고있다. 고형암 및 혈액암을 타깃하는 신규플랫폼을 가진 TCR2 Therapeutics가 시리즈B로 1억2500만 달러(1340억원)을 투자받았다고 지난 20일 밝혔다. 투자금은 고형암을 타깃하는 TRuC-T세포 프로그램의 선두프로그램인 'TC-210'의 임상에서 개념증명(proof-of-concept)하는데 투입된다. TC-210은 다양한 고형암에서 높게 발현하는 메소텔린(mesothelin)을 겨냥하는 T세포 치료제로 올해 임상에 돌입할 예정이다. T
노바티스가 새로운 형태의 암백신을 위한 전달 플랫폼기술 개발에 나선다. 면역조절 인자가 탑재된 이식 및 주사투여가 가능한 생체물질 시스템(biomaterial system)이다. 노바티스는 차세대 항암면역요법 전달을 위한 생체물질 시스템 개발을 위해 하버드대학 기술연구소(Wyss Institute)와 다나-파버 암 연구소(Dana-Farber Cancer Institute)와 협력키로 했다고 20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생체물질 시스템(biomaterial system)은 체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 공격을 지속시킬 수 있
면역항암제 개발 전문회사 Five Prime이 벨기에 회사 UCB에 염증성 질환 약물 후보물질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기술수출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염증질환에 대한 비공개 약물 타깃이라는 내용만 발표되고 계약의 세부사항과 타깃은 공개되지 않았다. Five Prime은 지난 2013년 UCB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5년간의 공동 연구를 통해 잠재적인 약물 표적 또는 염증성 질환의 약물 후보가 될 수 있는 단백질을 발견한 것이다. 이때 Five Prime의 독보적인 단백질 라이브러리와 맞춤형
T세포를 이용한 항암치료제를 개발하는 영국의 Adaptimmune이 지난 15일(현지시각), 4명의 점액성 원형세포 지방육종(myxoid/round cell liposarcoma; MRCLS) 환자에 NY-ESO SPEAR T-cell 치료제를 적용한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 Adaptimmune은 암세포의 항원 부위와 결합하는 T세포 수용체 부분에 펩타이드를 추가함으로써 T세포 수용체를 더욱 활성화해 결합 효율을 증가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다양한 암종에 적용 가능한 T세포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GSK와 공동으로
글로벌 제약회사 룬드벡(Lundbeck)은 지난 16일(현지시간) 프렉스턴 테라퓨틱스(Prexton therapeutics)를 인수하기 위한 최종 합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를 통해 룬드벡은 기존의 중추신경계 치료제 개발 파이프라인에 프렉스턴이 보유하고 있던 파킨슨병 치료 후보물질 'Foliglurax'를 추가하게 됐다. 2012년 머크의 벤처 자회사로 설립된 프렉스턴 테라퓨틱스는 스위스 제네바와 네덜란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분자적, 화학적 기술을 통한 새로운 접근법으로 파킨슨병과 다른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신항원 암백신 전문기업인 아드백시스(Advaxis)가 진행하던 병용투여 임상에서 환자가 사망해 이슈가 불거지고 있다. 아드백시스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암백신인 'axalimogene filolisbac(axal)'와 아스트라제네카의 PD-1 항체인 '임핀지(Imfinzi)'를 병용투여하는 임상1/2상에서 1명의 환자가 5등급 부작용인 호흡부전(respiratory failure)으로 사망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에따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임상보류조치를 내렸다. 이날 아드백시스의 주가는 31% 급락했으며, 52주만에 최저치
유전자 교정 기술인 CRISPR-Cas9을 이용해 근위축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전두측두엽치매(Frontotemporal dimentia; FTD)와 같은 신경학적 질환들의 유전적 비밀을 밝혀낼 수 있다는 것이 발표됐다. 미국 스탠포드 연구진은 인간세포와 마우스 뇌세포를 대상으로 CRISPR-Cas9 스크리닝을 이용해 변형된 C9ORF72 디펩타이드-반복(Dipeptide-repeat; DPR) 단백질의 독성을 측정한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Nature Genetics'에 게
중국 CAR-T(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전문기업인 칼스젠테라퓨틱스(CARsgen Therapeutics)가 6000만달러 규모의 자금을 유치했다. 현재 보유중인 CAR-T의 임상돌입과 차세대 CAR-T 연구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다. Photon Fund가 이번 라운드를 리드했으며 KTB네트워크, Jolly Innovation Ventures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 지난 2016년에 진행된 시리즈B에서는 KTB네크워크가 리드해 총 3000억달러의 자금을 투자한 바 있다. Zonghai Li
바이오젠(Biogen)은 지난 12일(현지시간), 화이자(Pfizer)의 조현병 관련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CIAS) 치료 후보물질인 'PF-04958242'를 도입함으로써 신경과학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PF-04958242는 글루타민산 수용체 중 하나인 AMPA(α-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propionic acid) 수용체 강화제로 신경전달(Neurotransmission)을 가능케 하도록 고안됐다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J&J, 블록버스터 기대 ‘프레첼 방출' 방광암 “FDA 승인”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