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와 HER3 이형중합체(heterodimer) 형성을 막는 이중항체가 췌관선암(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환자의 종양을 축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암연구협회(AACR),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유럽암연구및치료기구(EORTC)가 공동으로 개최하는 분자표적 및 암치료 국제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M
레티노산 수용체 알파(retinoic acid receptor alpha) 양성 급성골수성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환자에게 54%의 완전관해율(complete response, CR)을 보인 임상시험 결과가 공개됐다. 포르투갈 이스토릴에서 열린 5회 ESH 국제 급성골수성백혈병 학회에 참석한 시로스 파마슈티컬스(Syros Pharmaceuticals)는,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게 선택성 레티노산 수용체 알파 작용제(selective retinoic acid receptor alpha agonist
아납티스바이오(AnaptysBio)의 IL-33 항체 ‘에토키맙(etokimab)’이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AD) 환자의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호산구(eosinophil) 수치, 호중구(neutrophil) 이동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 연구진은 개념입증(Proof-of-Concept) 연구로 진행된 에토키맙 임상2a상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의 증상개선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23일(현지시간) ‘Science Translational Med
AZ테라피스(AZTherapies)는 신경염증을 타깃해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스미스 테라퓨틱스(Smith Therapeutics)를 인수한다고 2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인수 계약에 대한 금전적인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AZ테라피스는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허혈성 뇌졸중, 루게릭병(ALS)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진행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AZ테라피스는 신경염증이 뇌와 척추에서 나타나는 신경세포의 사멸(neuronal death)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결국 인지 및 운동기능
노바티스(Novartis)가 섬유증(fibrosis) 치료제 개발을 위해 전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인테그린(integrin) 억제제의 개발, 상업화 라이선스를 사들였다. 전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비알콜성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치료후보물질 ‘PLN-1474’와 공개되지 않은 인테그린 표적 물질 3가지에 대해, 플라이언트 테라퓨틱스(Pliant Therapeutics)는 노바티스와 공동개발과 상업화에 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계약에 따르면 플라이언트는 PLN-1
노바티스(Novartis)의 프로스타글란딘 D2 수용체2(prostaglandin D2 receptor 2, DP2) 길항제(antagonist) ‘페비피프란트(fevipiprant)’가 천식(asthma) 환자의 폐 기능 개선에 실패했다. 22일(현지시간) 발표한 2019년 3분기 분기보고서를 통해, 노바티스는 천식 환자에게 페비피프란트를 투여한 2건의 임상3상(NCT03226392, NCT03215758)에서 1차 종결점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공개했다. 노바티스는 ZEAL 연구로 이름을 붙인 2건의 임상3상에서 FEV1(forc
올해 3월 임상3상 실패를 알렸던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아두카누맙'이 되살아났다. 바이오젠과 에자이는 이전 결과보다, 더 큰 규모의 임상 데이터에서 새롭게 분석한 결과, 아두카누맙이 1차, 2차 임상충족점 지표에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인지저하를 늦췄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바이오젠은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논의해 2020년 바이오신약 허가신청서(BLA)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유럽, 일본을 포함한 전세계 규제당국과 신약허가를 위한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바이오젠은 EMERGE 임상3상(NCT02484547)
시애틀제네틱스(Seattle Genetics)가 타이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 TKI) ‘투카티닙(tucatinib)’을 HER2 양성 유방암 환자에게 투여한 주요(pivotal) 임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2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시애틀제네틱스의 발표에 따르면, 주요 임상으로 진행된 임상2상(HER2CLIMB, NCT02614794)에서 ‘투카티닙+카페시타빈(capecitabine)+트라스투주맙(trastuzumab)’ 투여그룹의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면역항암제가 잇따른 임상실패로 고배를 마셨던 간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1차 치료제 세팅의 임상결과에서 희소식이 나왔다. 소라페닙(제품명: 넥사바)이 10년 넘게 간암 표준치료법으로 처방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치료옵션을 제시할 것이라는 기대다. 로슈는 절제불가능한 간암 환자 501명을 대상으로 한 IMbrave150 임상3상(NCT03434379)에서 1차 치료제로 티쎈트릭(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베바시주맙) 병용요법이 소라페닙 대비 일차 충족점인 전체 생존률과 무진행생존기간을 모두 늘렸다고
레버씨 선천성 흑암시10(Leber’s congenital amaurosis 10, LCA10)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네덜란드 프로큐알(ProQR)이 우선심사 바우처(Priority Review Voucher, PRV)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획득했다. 프로큐알은 레버씨 선천성 흑암시10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한 RNA 기반 올리고뉴클레오티드(oligonucleotide) 치료후보물질 ‘세포파센(Sepofarsen, QR-110)’이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희귀소아질환(Rare Pediatric Disease, RPD) 치
미국 예일대학 연구진이 CRISPR 기술로 암 관련 유전자(cancer-related gene)의 발현을 활성화할 수 있는 항암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연구진은 ‘CRISPR 활성화(CRISPR activation, CRISPRa)’ 플랫폼 기술이 기존 면역항암제가 놓칠 수 있는 형태의 종양을 체내 면역계가 인지해 공격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돕는다며, ‘Multiplexed activation of endogenous genes by CRISPRa elicits potent antitumor immunity’를 주제로 국제
로슈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로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을 투과하는 이중항체 임상을 시작했다. 로슈는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 Aβ) 항체 '간테네루맙(gantenerumab)'의 임상3상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혈뇌장벽(BBB) 투과성을 높인 형태의 간테네루맙' 임상을 시작한 것이다. 로슈는 지난 16일 열린 3분기 실적발표 자료에서 임상1상에 들어간 프로그램을 소개하면서, 최근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로 간테네루맙에 뇌 셔틀(brain shuttle)을 붙인 'RG6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아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급성 이식편대숙주병(acute graft-versus-host disease, GVHD) 환자에게 JAK1/2 억제제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인사이트(Incyte Corporation)는 스테로이드-불응성 급성 이식편대숙주병 환자에게 '자카피(Jakafi, 성분명: ruxolitinib)'를 투여한 임상3상(REACH2, NCT02913261)에서 전체반응률(overall response rate, ORR)을 개선해 종결점을 충족했다고 지난 16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노
UCB는 중등도 및 중증 만성 판상형 건선(plaque psoriasis) 성인환자에게 이중항체 신약 후보물질 ‘비메키주맙(Bimekizumab)’을 적용한 BE VIVID 임상3상(NCT03370133)의 결과를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치료 16주차에 비메키주맙으로 치료받은 환자의 건선 증상이 90% 감소한 결과로 UCB는 임상의 1차 종결점을 충족했다. 또한 비교군으로 설정한 얀센(Janssen)의 ‘스텔라라(Stelara, 성분명: Ustekinumab)’ 및 위약 대비 우수한 결과로 2차 종결점도 충족했다. 비메키주맙
시로스 파마슈티컬스(Syros Pharmaceuticals)가 2개의 CDK7 저해제 포트폴리오 중 정맥주사(IV)용 ‘SY-1365’ 개발을 중단한다고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경구용 CDK7 저해제 ‘SY-5609’의 항종양 활성이 SY-1365보다 강력하고, CDK7을 보다 선택적으로 저해한다는 점에서 내린 결정이다. 시로스는 SY-1365의 임상 초기 결과도 공개했다. 발표 이후 시로스의 주가는 30%이상 하락했다. CDK7은 유전자의 전사과정, 세포주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자다. CDK7을 저해하면 암세포가
바이러스 벡터 없이 T세포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기술을 적용해 주목받았던 세포치료제가 아스날바이오(ArsenalBio)를 통해 데뷔를 앞두고 있다. 올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설립된 아스날바이오는 3세대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CRISPR)로 유전자를 편집한 T세포 치료제를 사용해 암 치료에 도전한다. 아스날바이오는 85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고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투자에는 웨스트레이크 빌리지 바이오파트너스(Westlake Village BioPartners), PICI(Parker Institute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