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슈(Roche)가 투약시간을 최대 1/30로 줄인 '퍼제타(Perjeta®, pertuzumab)+허셉틴(Herceptin®, trastuzumab)' 조합 단일 피하주사제형 치료제의 임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내놨다. 로슈는 지난 12일(현지시간) 2019 샌안토니오 유방암 심포지엄(2019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SABCS)에서 HER2 양성 초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퍼제타+허셉틴’의 고정 용량 조합(Fixed dose combination, FDC)의 피하주사(subcutaneo
머크(MSD)의 블록버스터 제품 '키트루다'가 KRAS 변이를 가진 비소페포폐암 환자의 사망률을 58% 줄인다는 결과가 나왔다. KRAS 변이 유무와 무관하게 환자의 생존율을 늘렸다. 머크는 이같은 결과를 유럽종양학회 면역항암제회의(ESMO Immuno-Oncology Congress 2019)에서 지난 12일 발표했다. 조나단 쳉(Jonathan Cheng) 머크연구소 부사장은 “비소세포폐암 환자 가운데 약 20%에게서 KRAS 변이가 일어나며, KRAS 변이를 가질 경우 치료제에 낮은 반응률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며 “탐색
길리어드의 카이트파마(Kite Pharma)가 재발성/불응성 외투세포 림프종(Mantle cell lymphoma, MCL) 환자 치료제로 CD19를 표적하는 CAR-T치료제 ‘KTE-X19’에 대한 생물의약품 허가신청서(BLA)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다고 1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카이트는 ZUMA-2 임상2상(NCT02601313)에서 전체반응률(ORR) 93%, 완전반응률(CR) 67%를 확인한 결과에 기반해 BLA를 제출했다. KTE-X19는 B세포 항원인 CD19를 표적하는 CAR-T로, CD19 scFv에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의 HER2 ADC 치료제 'DS-8201'이 6번 이상 치료받은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환자에서 높은 반응률을 보이며 시장 출시 기대감을 높였다. 로슈의 HER2 ADC 치료제 '캐싸일라(Kadcyla®)'가 출시된 후 8년만이다.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다이이찌산쿄(Daiichi Sankyo)는 11일(현지시간) 2019 샌안토니오 유방암학회(2019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SABCS)에서 HER2 양성 전이성 유방암 환자 대상으로 한 D
시애틀제네닉스가 기존 치료제에 불응시 치료대안이 없는 전이성 HER2 유방암에 대한 치료제의 상업화 임상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놨다. 특히 항체 위주인 기존치료제와는 달리 HER2 타깃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뇌로 전이된 유방암 환자에서도 좋은 결과가 나왔다. 이번 결과에 대해 시장에서는 '놀랍다', '게임체인저'라는 등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시애틀제네틱스는 지난 11일(현지시간) 2019 샌안토니오 유방암학회(2019 San Antonio Breast Cancer Symposium, SABCS)에서 전이성 HER-2 양성 유방
얀센(Janssen)이 엑스바이오텍(XBiotech)의 IL-1⍺ 항체 치료제 후보물질 '베르메키맙(Bermekimab)'을 최대 13억5000만달러에 사들이며 파이프라인을 추가했다. 베르메키맙은 현재 임상을 진행중인 유일한 인터루킨-1⍺(IL-1⍺) 타깃 항체 치료제다. IL-1⍺은 질병을 일으키는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이다. 베르메키맙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IL-1⍺을 중화(neutralize)시키는 기전을 가진다. 얀센 바이오텍(Janssen Biotech)은 지난 7일(현지시간) 엑스바이오텍이 피부질환 치료제로 개
유전자가위를 치료제로 구현하기 위한 전달기술을 개발하는 진에딧(GenEdit)이 CRISPR 유전자가위 치료제 개발의 선두주자인 에디타스메디슨(Editas Medicine)과 회사와 라이선스 및 연구협력 딜을 체결했다. 진에딧은 유전자가위를 체내로(in vivo) 전달하는 폴리머 나노입자(polymer nanoparticle) 전달기술과 ‘나노갤럭시(NanoGalaxy™)’ 라이브러리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진에딧은 10일(현지시간) 에디타스메디슨과 Cpf1 기반 기술에 대한 독점적인 라이선스와 나노입자(nanoparticle)
악성 혈액암에 대해 높은 반응률과 완전관해를 보인 CD47 항체 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 결과가 나왔다. 이 임상결과를 발표한 포티세븐(Fortyseven)의 주가는 발표한 후 전일 대비 110% 상승했다 포티세븐은 지난 9일(현지시간) 2019년 미국 혈액암학회(2019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에서 ‘마그롤리맙(magrolimab)+아자시티딘(azacitidine)’ 병용요법으로 골수이형성증후군(Myelodysplastic Syndrome, MDS)과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
UCB가 개발중인 판상 건선 치료제 '비메키주맙(bimekizumab)'이 치료 효과에서 얀센(Janssen)의 '스텔라라(Stelara)'에 이어 애브비(AbbVie)의 ‘휴미라(Humira)’도 앞지르는 결과를 내놨다. UCB는 지난 7일(현지시간) 중등도에서 중증 판상 건선환자 대상 비메키주맙 임상 3상(BE SURE, NCT03412747) 활성대조(active-controlled) 연구에서 1차ㆍ2차 종결점을 충족시키며, 애브비의 휴미라에 대해 우월성을 입증한 결과를 내놨다. UCB는 2020년 중반 성인 중등도에서 중증
미국 머크(MSD)가 차세대 BTK 저해제를 가진 아큘(ArQule)을 인수하면서 항암제 파이프라인을 다각화에 나섰다. 더불어 이날 아큘은 미국 혈액암학회(ASH) 2019에서 차세대 BTK 저해제의 9명 가운데 8명 환자에게서 약물 반응을 보인 긍정적인 초기 임상 결과를 발표하면서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머크는 아큘(ArQule)의 6일 종가에 100%가 넘는 프리미엄을 붙인 주당 20달러로 책정해 총 27억달러에 인수하키로 결정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거래는 내년 1분기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 소식에 당일 아큘의 주가는 103
노바티스의 '킴리아'와 길리어드의 '예스카르타'에 이은 3번째 CD-19 CAR-T 치료제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BMS의 '리소-셀(lisocabtagene maraleucel, liso-cel)'이 그 주인공으로 B-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당 단백질인 CD19를 타깃하도록 설계된 CAR-T 세포치료제다. 리소-셀은 확산성 거대 B-세포 림프종(diffuse large B-cell lymphomas, DLBCL) 환자에서 완전관해(complete response, CR) 53%로 효과적이면서도 부작용은 킴리아 등 앞선 두 약물에
방광암 치료에서 방광절제술을 대신할 획기적인 치료제가 출시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발률이 높은 고위험도 비근육침습성 방광암과 치료가 어려운 유두종을 가진 방광암에 효과를 보인 유전자 치료제다. 미국 신약개발회사 퍼진(FerGene)은 고위험도 비근육침습성 방광암 유전자 치료제 인스틸라드린(INSTILADRIN®,nadofaragene firadenovec, rAd-IFN/Syn3)의 상업화 임상에서 1차 종결점을 충족시킨 결과를 내놨다. 이 치료제는 현재 미국 FDA에 바이오의약품 허가신청서(Biologic License Appli
존슨앤드존슨 자회사 얀센이 진행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한 BCMA 타깃 CAR-T 치료제 임상 1상 초기 연구에서 객관적반응률(ORR) 100%, 완전관해율(CR) 69%의 결과를 확인했다. 얀센은 현재 임상 2상의 환자등록을 완료했으며 2020년 하반기 임상을 마무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허가 신청서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얀센은 7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올란도에서 개막한 ‘2019 미국 혈액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에서 BCMA 타깃 CAR-T 치료제 'J
셀진이 여러번의 약물치료를 받고 불응하거나 재발한 다발성골수종(r/r multiple myeloma) 환자를 대상으로한 BCMA 이중항체의 ‘first-in-human’ 임상에서 고무적인 결과를 얻었다. 올해 4월 임상에 돌입한 BCMAxCD3 이중항체 'CC-93269'가 그 주인공이다. 마땅한 치료 대안이 없는 말기 다발성골수종 환자에게 CC-93269를 고용량 투여하자 전체 반응률(ORR) 88.9%, 이 가운데 완전반응(sCR/CR) 44.4%라는 높은 반응률을 확인한 것. 완전반응을 보인 모든 환자는 예후가 좋은 MDR-
캐나다 제약회사 오리니아 파마슈티컬스(Aurinia Pharmaceuticals)가 루푸스 신염(lupus nephritis, LN) 치료제 '보클로스포린(Voclosporin)'의 임상3상에 성공했다. 아직까지 루푸스 신염 치료제로 승인 받은 약은 없다. 이 소식으로 미국 나스닥과 캐나다 토론토 증권거래소 TSX에 상장된 오리니아 주식의 주가가 100% 올랐다. 이 회사의 최대주주는 국내 일진그룹 계열사인 일진에스앤티로 15.9%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 소식으로 그룹 지주회사인 일진홀딩스의 주가는 지난 6일 상한가를 기록했
로슈의 PD-L1 면역관문억제제인 '티쎈트릭'이 비소세포폐암(NSCLC) 1차 치료제 시장에서 본격적으로 영역을 넓힐 수 있게됐다. 해당 적응증에서는 머크(MSD)의 키트루다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어 경쟁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로슈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티쎈트릭(Tecentriq, atezolizumab)과 화학치료제(아브락산+카보플라틴)을 병용요법을 EGFR, ALK 변이가 없는 전이성 비편평 비소세포폐암(non-squamous NSCLC) 1차 치료제로 지난 3일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로슈는 지난해 12월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