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바티스는 건선성 관절염(Psoriatic arthritis, PsA) 환자를 대상으로 ‘코센틱스®(Cosentyx, 성분명: secukinumab)’와 애브비의 ‘휴미라®(Humira, 성분명: adalimumab)’를 직접 비교한 EXCEED 임상3상(NCT02745080) 결과를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치료 52주차에 임상의 1차 종결점으로 환자의 부종 및 압통 관절 수(swollen and tender joint count)가 최소 20% 감소하는 ‘ACR20(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바이오젠(Biogen)과 앨커미스(Alkermes)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재발성 다발성 경화증(MS) 환자의 경구용 치료제로 ‘부메리티(Vumerity, 성분명: diroximel fumarate)’를 승인받았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다발성 경화증은 피로, 통증, 시력상실, 운동기능 손상 등을 일으키며, 중추신경계(CNS)를 손상시킬 수 있는 자가면역질환이다. FDA는 505(b)(2) 심사 절차를 거쳐 부메리티에 대한 신약승인신청(NDA)을 승인했다. 바이오젠은 ‘부메리티’와 ‘텍피데라(Tecfide
사노피(Sanofi)는 전립선암과 폐암 환자 대상으로 PD-1항체 립타요(Lybtayo, cemiplimab)와 CD38 항체 이사툭시맙(isatuximab) 병용요법 임상 3상(NCT03367819) 진행을 지난달 31일(현지시간) 2019년 3분기 결과보고를 통해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비만, 당뇨병 치료제 SAR441255 임상 1상 중단 소식도 포함됐다. 립타요+이사툭시맙 병용요법 임상 3상은 표준치료를 받았으나 실패했거나 반응이 없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
아스텔라스(Astellas)는 판디온 테라퓨틱스(Pandion Therapeutics)와 제1형 당뇨병(type 1 diabetes) 및 췌장 자가면역질환(pancreas autoimmune disease) 대상 면역조절제(immunomodulator) 개발을 위해 7억9500만달러 규모의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계약에 따라 아스텔라스는 판디온에게 연구 및 전임상 단계를 위한 계약금 및 선급금으로 4500만달러를 지급하게 된다. 판디온은 향후 마일스톤에 따라 7억5000만달러와 로열티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새로운 미국 식품의약국(FDA) 국장(Commissioner)에 스티븐 한(Stephen Hahn) MD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 최고의료책임자(Chief Medical Executive, CME)를 지명했다. 이번 지명은 노만 샤플리스(Norman Sharpless)가 FDA 국장대행을 맡은 지 7개월 만에 이루어졌다. 노만 샤플리스는 지난 4월 스콧 고틀립(Scott Gottlieb)이 물러난 후 FDA 국장대행으로 일해왔다. 이번 FDA 국장 지명 이후
로슈(Roche)가 디서나 파마슈티컬스(Dicerna Pharmaceuticals)의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감염 치료제 ‘DCR-HBVS’에 관한 공동연구 및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양사가 체결한 계약 규모는 최대 16억7000만달러에 이른다. 로슈와 디서나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임상 1상(NCT03772249)이 진행중인 HBV 감염 치료제 DCR-HBVS에 대한 전세계 개발 및 상업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계약에 따르면 로슈는 디서나의 DCR-HBV
항생제 내성률 증가문제가 심각해지는 가운데 기존 항생제와 차별화된 작용기전을 가진 항생제 임상 3상 소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GSK(GlaxoSmithKline)는 비뇨생식기 임질(urogenital gonorrhoea, GC) 환자와 급성방광염으로 알려진 단순요로감염(uncomplicated urinary tract infection, uUTI)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계열의 첫 항생제(antibiotics)인 게포티다신(gepotidacin) 임상 3상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지난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게포티다신은 박
진행성 심혈관 석회화 장애 치료에 중점을 둔 스페인 기업 사니핏(Sanifit)은 자사의 신약후보물질 'SNF472'가 혈액 투석 중인 말기 신장질환 환자(end stage kidney disease, ESKD) 대상 국제 임상 2b상(NCT02966028, CaLIPSO)에서 1차 종결점을 충족했다고 지난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SNF472는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지는 선택적 석회화 억제제(calcification inhibitor)다. SNF472는 석회 침전물(calcification deposit)의 주성분인 하이드록시
글로벌 의료기기 회사 메드트로닉(Medtronic)은 미국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개최된 삼성 개발자 컨퍼런스 2019(Samsung Developer Conference 2019)에서 자사의 뇌 심부 자극(Deep Brain Stimulation, DBS) 치료를 위한 의료기기 '악티바(Activa™)'를 공개하는 자리를 가졌다고 지난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악티바는 지난 7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다. 메드트로닉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약 15만명 이상의 파킨슨병 환자가 증상과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DBS 기
노바티스(Novartis)의 척수성근육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SMA) 치료제 ‘졸겐스마(Zolgensma, 성분명: onasemnogene abeparvovec-xioi)’가 최고가 논란, 데이터 조작 파장에 이어 부작용 문제까지 나타나며 잇단 악재를 겪고 있다. '척수주사형' 졸겐스마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노바티스는 제2형 척수성근육위축증 환자의 수막공간내투여(intrathecal administration, IT)하는 임상1/2상(STRONG, NCT03381729)을 진행하려 했다
헵시딘(hepcidin) 신호 경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혈구 관련 질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디스크 메디슨(Disc Medicine)이 투자자들과 글로벌 제약기업의 주목을 받고 있다. 디스크 메디슨은 시리즈A를 통해 5000만달러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번 디스크 메디슨의 시리즈A 투자에는 노보홀딩스 A/S(Novo Holdings A/S), 액세스바이오테크놀로지(Access Biotechnology) 그리고 창립 투자자인 아틀라스벤처(Atlas Venture)가 참여했다. 같은 날, 디스크 메
TG테라퓨틱스(TG Therapeutics)는 자사의 PI3K-δ(phosphoinositide-3-kinase-δ) 억제제 움브랄리십(umbralisib, TGR-1202)이 여포성 림프종(Follicular Lymphoma, FL) 환자대상 임상 2b상(NCT02793583, UNITY-NHL)에서 1차종결점을 충족했다고 지난 2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움브랄리십은 2019년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림프종 치료를 위한 혁신 치료제(Breakthrough Therapies, BT)로 지정된 신약후보물질이다. 이번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 후보 물질로 임상2상을 진행하던 IL-17C 항체 ‘MOR106’ 개발이 중단됐다. MOR106의 약효에 대해 무용성(futility) 판단이 내려졌기 때문이다. MOR106을 공동으로 개발하던 모포시스 AG(MorphoSys AG)와 갈라파고스 NV(Galapagos NV)는 지난 28일(현지시간) MOR106 개발중단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현재 진행하고 있던 MOR106 관련 임상시험은 모두 종료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개발중단의 근거로 MOR106 임상2상(IGUANA, NCT03568071) 중간분석(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는 글림스바이오(Glympse Bio)의 생체 내 감지기술(in vivo sensing technology)을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임상개발에 이용하기 위해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8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세부적인 계약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글림스바이오는 섬유증(fibrosis), 암(cancer), 감염병(infectious disease)등과 관련된 질병 관련 효소(ex, 프로테아제(protease)) 특
지오팜(Ziopharm)과 MD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가 손을 잡고, 트랜스포존(transposon)으로 제작하는 TCR(T cell receptor)-T세포 치료제에 관한 공동연구에 들어갔다. 지오팜은 28일(현지시간) 발표를 통해서, ‘Sleeping Beauty’ 기술을 적용한 TCR-T세포 치료제에 관한 공동연구계약을 MD앤더슨 암센터와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KRAS, TP53, EGFR 등의 돌연변이와 신항원(neoantigen)을 표적하는 TCR-T세포 치료제로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와 갈라파고스(Galapagos)가 함께 개발 중인 JAK-1억제제 '필고티닙(filgotinib)'이 루푸스(Lupus)와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환자의 증상 개선에 실패했다. 길리어드는 2019년 3분기 결과 보고자리에서 필고티닙을 투여한 루푸스와 쇼그렌 증후근 환자 대상 임상 2상에서 1차 종결점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지난 24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루푸스는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으로 피부 점막의 염증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바이오엔텍-BMS, ‘PD-L1xVEGF’ 글로벌 2상 “히트”
노보노디스크 "후폭풍 감내", 9000명 해고 '결단'
뷰노, 마이허브에 ‘골연령 분석 AI’ 27억 "매각"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