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머크(MSD)가 다양한 감염병 백신과 면역항암제를 개발하는 오스트리아 바이오텍 테미스(Themis)를 인수했다. 머크는 26일(현지시간) 자회사를 통해 테미스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계약에 따라 머크는 자회사를 통해 테미스에 현금을 지불하고 테미스의 모든 발행 주식(outstanding shares)을 매입키로 했다. 거래가 완료되면 테미스는 머크 자회사가 100% 지분을 가진 회사가 된다.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은 지난 3월 490만달러를 테미스, 파스퇴르 연구소, 피츠버그대 백신연구센터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해
피부세포를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해 도파민 전구세포를 만들어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해 운동능력과 삶의 질을 개선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광수(Kwang-Soo Kim) 미국 하버드의대 맥린병원(McLean Hospital) 연구팀과 매사추세츠종합병원(MGH) 연구팀은 지난 14일(현지시간) 파킨슨병 환자의 피부세포로부터 만든 도파민 전구세포(midbrain dopamine progenitor cell)를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NEJM에 게재했다(doi: 10.1056/NEJMoa191
핫스팟 테라퓨틱스(HotSpot Therapeutics)가 면역질환과 희귀대사질환을 대상으로 알로스테릭 약물(allosteric medicines)을 개발하기 위해 6500만달러를 유치했다. 미국 바이오텍 핫스팟은 21일(현지시간) 알로스테릭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6500만달러 규모의 시리즈B를 마감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글로벌제약사 GSK가 설립한 벤처캐피탈인 에스알원 리미티드(S.R. One Limited)가 주도해 이뤄졌으며, 텔카 캐피탈(Telka Capital Management), MRL 벤처펀드(MRL ventu
수노비온 테라퓨틱스(Sunovion Therapeutics)는 22일(현지시간) 파킨슨병 환자의 오프타임 에피소드(off-time episode)에 대한 응급치료제 및 간헐적치료제(intermittent treatment)로 설하 필름(sublinqual film)형 제제인 ‘킨모비(Kynmobi, apomorphine HCI)’에 대한 시판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수노비온은 2016년 시냅서스 테라퓨틱스(Cynapsus Therapeutics)를 6억2400만달러에 인수하며 킨모비에 대한 권리를
로슈(Roche)는 진단용 나노포어 시퀀싱(nanopore sequencing)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 소재의 스트라토스 지노믹스(Stratos Genomics)를 인수했다. 로슈는 22일(현지시간) 초기 단계의 시퀀싱(sequencing) 기술을 가진 회사인 스트라토스 지노믹스(Stratos Genomics)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로슈는 이번 인수로 스트라토스의 SBX™(Sequencing by Expansion™)기술을 자사의 나노포어 시퀀싱 개발에 이용할 계획이다. 로슈의 스트라토스 인수 계약의 세부사항은 공개되지 않았다.
중국 제약사 캉시눠 바이오로직스(康希諾, Cansino biologics)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Ad5-nCov’의 임상 1상 결과가 공개됐다. Ad5-nCov는 임상참여자의 50~75%에서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중화항체를 형성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캉시눠의 Ad5-nCoV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재조합바이러스 백신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생성하는 유전자를 아데노바이러스 5형 벡터에 삽입해 인체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RNA 백신보다는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자체가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는 옥스포드대(Oxford University)와 공동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개발, 생산 및 공급을 위해 미국 정부 산하기관으로부터 10억달러 이상을 지원받는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옥스포드대와 코로나19 백신의 글로벌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이미 미국과 영국 정부에 최소 4억도즈(dose)의 AZD1222를 공급하는 첫 계약을 체결했으며, 현재 10억도즈 이상의 생산용량을 확보한 상태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오는 9월에 코로나19 백신의 공급을 시작할 계획이다. 아
PARP(poly ADP ribose polymerase)저해제 ‘린파자(Lynpazar, Olaparib)’ 난소암, 유방암, 췌장암에 이어 HRR돌연변이(HRRm)을 가진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mCRPC)으로 적응증을 확대했다. 미국 암학회(ACS)에 따르면 미국에서 매년 약 20만명이 전립선암 진단을 받는다. 전체 전립선암환자의 10~20%가 mCRPC(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진단을 받으며 mCRPC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2년 미만이다. mCRPC 환자의
로슈가 단백질 분해 약물을 개발하기 위해 새로운 E3 리가아제 타깃 발굴에 나섰다. 비비디온 테라퓨틱스(Vividion Therapeutics)는 19일(현지시간) 새로운 E3 리가아제나 다양한 암, 면역질환 치료 타깃에 대한 저분자화합물을 발굴하기 위해 로슈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로슈가 비비디온의 단백질체학(proteomics) 스크리닝 플랫폼과 저분자화합물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는 독점적 사용권 및 라이선스에 대한 계약이다. 이를 통해 비비디온은 개발 초기단계에서 약물을 발굴하고 선별한 프로그램에 대한 전임상 개발
화이자는 15일(현지시간) 뒤센 근위축증(DMD)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 치료제 후보물질 ‘PF-06939926’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한 임상1b상(NCT03362502)의 예비결과를 발표했다. 임상적 효능 개선 및 조절가능한 안전성을 확인했다는 결과다. 이번 결과는 6세 이상 12세 이하(평균 8세) DMD 남아 환자 9명의 치료 12개월차 데이터를 분석한 임상 결과다. 화이자는 지난해 처음 발표한 환자 6명 및 추가 환자 3명의 업데이트 결과를 5월12일부터 15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된 미국 유전자치료
베링거인겔하임이 면역항암제 포트폴리오 확장을 위해 종양미세환경(TME)을 타깃하는 초기 개발단계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2종을 사들였다. 베링거인겔하임은 14일(현지시간) 캐나다 바이오텍 노던 바이오로직스(Northern Biologics)로부터 전임상 단계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2종을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베링거인겔하임은 계약금, 개발 마일스톤 등을 노던 바이오로직스에 전달할 예정인 가운데 구체적인 계약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번 계약으로 노던 바이오로직스는 사명을 유지하며 계속해서 후보물질 중 하나의 특정 전임상 개발을 진행하
미국 신약개발기업 모더나(Moderna)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 1상 중간 결과, 45명 임상참가자 전원에서 항체 형성을 확인했다. 평가가능한 8명에서는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중화항체도 형성됐다. 모더나는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한 데이터도 확보했다. 모더나는 18일(현지시간) 미국 국립알레르기 및 전염병연구소(NIAID)와 진행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mRNA-1273'의 긍정적인 임상 1상 중간결과를 공개했다. mRNA-1273은 SARS-CoV-2 표면에 발현한 스파이크 단백질(s
ADC 테라퓨틱스(ADC Therapeutics)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나스닥시장 기업공개(IPO)를 통해 약 2억3270만달러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ADC는 주당 19달러로 총 1224만5631주를 공모했다. 나스닥에서 ADC 테라퓨틱스의 주식은 ‘ADCT’로 거래된다. ADC 테라퓨틱스는 IPO를 통해 공모한 자금으로 미만성 거대B세포림프종(DLBCL)와 호지킨림프종에 대한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s, ADC)를 개발할 계획이다. ADC 테라퓨틱스는 PBD(pyrrolobenzodiazepi
알로진(Allogene Therapeutics)는 비호지킨림프종(NHL)에 대한 임상 1상에서 전체반응률(ORR) 78%를 나타낸 초기결과를 내놨다. 알로진은 13일(현지시간) 미국 임상종양학회(ASCO) 2020에서 재발성/불응성 비호지킨림프종(relapsed/refractory non-hodgkin lymphoma)을 대상으로 CD52 항체 ‘ALLO-647’과 동종유래(allogeneic) CD19 CAR-T 치료제 후보물질 ‘ALLO-501’을 병용한 임상 1상(NCT03939026)의 초기 결과 초록을 공개했다. 알로진의
존슨앤존슨(Johnson&Johnson)의 자회사 얀센 파마슈티컬(Janssen Pharmaceutical)이 BCMA(B-cell maturation antigen) 타깃 CAR-T 치료제의 임상 1b/2상에서 전체반응률(ORR) 100%, 완전관해(CR) 86%, 무진행생존기간(PFS) 9개월의 결과를 내놨다. 얀센은 13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2020 미국 임상종양학회(2020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2020 ASCO)에서 다른 치료제가 듣지 않는(heavily pre
미국 바이오텍 가미다셀(Gamida cell)이 혈액암 치료를 위한 골수이식 세포치료제 임상 3상에서 호중구 생착(neutrophil engraftment) 시간을 단축시키며 1차 종결점을 충족시킨 탑라인 결과를 발표했다. 가미다셀은 12일(현지시간) 골수이식이 필요한 혈액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세포치료제 ‘오미두비셀(omidubicel)’이 임상 3상에서 호중구 생착 시간을 단축시키며 1차 종결점을 충족시켰다고 밝혔다. 가미다셀은 2020년 4분기에 오미두비셀에 대한 생물의약품 허가신청서(BLA)를 미국 식품의약국(FDA)
리가켐, 美고테라퓨틱스서 "ADC 신규항체 도입"
에이비엘, 'CLDN18.2x4-1BB' 위암1차 "확대..2상 추진"
中항서, 이번엔 ‘심혈관’ NewCo와 “10.8억弗 L/O 딜”
BMS 베팅 '이중항체 ADC+타그리소' 폐암 1차 "ORR 95%"
롯데바이오, 송도 바이오캠퍼스 '1공장 상량식' 개최
세르비에, 카에루스서 ‘BK채널 조절제’ 4.5억弗 인수
루닛, 프랑스 최대 공공의료 조달기관 "입찰 수주"
릴리, 'AI 약물발굴 플랫폼' 출시 "스타트업에 제공"
엘젠, KRAS·HMT1 TPD “내년 전임상 진입” 목표
ENGAIN’s Varicose Vein Medical Device Nears Clinical Trial Completion, Poised to Hit Market
[인사]더바이오
차바이오그룹 부회장에 차원태 전 총장 선임
[새책]로이 바젤로스 『메디신, 사이언스 그리고 머크』
[창간설문]韓바이오 36.7%, 이젠 “인력채용 확대”
셀트리온, 고용노동부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SG바이오, 넥셀과 ‘hiPSC+오가노이드’ 항암제 평가 협력
보령, 안산 캠퍼스 '페니실린 생산시설' 증설
일동제약, 印尼칼베와 고지혈증 ‘드롭탑’ 공급계약 확대
동국생명과학, 제이앤제이와 'MRI 소프트웨어' 공급계약